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xper 11월 정기 모임에 다녀와서

국내에서 가장 활발하고 가장 유명한 Agile 커뮤니티 하면.. 역시 김창준님이 메인 시삽으로 계시는 xper가 아닐까 싶다..

여담으로 테스터들의 가장 큰 커뮤니티는 sten이다..

xper는 매달 한번씩 모여 사례공유를 하는 정기 모임을 얼마전부터 가져오고 있다.

그런데 이 정기 모임은 한달은 평일에 그 다음달은 주말에 이런 식으로 퐁당 퐁당 운영되고 있다.

난 요즘 주말마다 교육을 받고 있기 때문에 지난 달에는 참석하지 못하고(솔직히 지난 달이 더 참석하고 싶은 내용이었다. ㅠㅠ) 이번달 정기 모임에 어제 참석하고 왔다.

사실 어제 아침부터 다시 편도선이 붓고 혀가 부으면서 감기가 심해져서(지난주부터 도무지 감기가 떨어지지 않는다. 체온도 아주 미열로 올라갈뿐.. 별다른 증상은 없어서 그냥 감기약으로 버티고 있는데.. 이 무슨 돌려 막기도 아니고 목감기에서 몸살감기로 그 다음에는 코감기로 가더니 지금은 두통에 시달리고 있다..ㅠㅠ) 가지 말까? 싶기도 했다.

그러던 차에 김기웅님하고 TOC 모임에 대해 메일을 주고 받으면서 모임에서 만나기로 하는 바람에 죽기 아니면 까무러치기로 참여하게 되었는데.. 막상 김기웅님하고는 말 한마디 섞어보지 못했다..ㅡㅡ 뭥미?

어쨌든 어제 모임에는 정말 많은 사람이 참여했었고 2분의 발표자가 사례를 공유해 주셨다.

첫번째 발표자 분은 드래곤플라이의 스페셜포스 2의 팀장이신 고성원님이었다.

고성원님은 팀에 스크럼을 도입했던 사례를 발표해 주셨다. 흥미있는 발표였고 무엇보다 고성원님의 포스가 정말 팀장님의 포스였다.

발표 내용만으로도 정말 저런 팀에서 한번 일해보는 것도 좋지 않을까? 하는 마음을 갖게 만드는 발표셨다.

게임업계에서 사회 생활을 시작했지만 지금은 한 가정의 아버지로서 허구헌날 돈 벌어 처자식을 먹여살리느라.. 예전에는 1년에 2번도 하던 컴퓨터 업그레이드는 고사하고 게임 한번 제대로 못하는 나에게 게임 업계는 일종의 향수병과 같은 느낌이 남아있다.

하지만 정작 지금 게임업계로 돌아가겠느냐고 묻는다면.. 글쎄요? 하지만 날 불러줄 데도 있을리 만무하고.. 지금 하는 일에 충실해야하지 않을까나?

무엇보다도 부러웠던 것은 스크럼 마스터 자격증이 아닌가 싶다.. 나도 너무나도 기다리고 듣고 싶었던 것이지만 주말마다 듣고 있는 교육에 지출이 너무 커져서 현재 여유자금이 없는 관계로 듣지 못했던 강의이기 때문에 더 아쉬움이 큰것이 아닌가 싶다. 과연 다음 기회는 언제쯤이 될런지...

발표 내용 중 가장 기억이 남는 것이 있다면 보상에 대해 커뮤니케이션의 만족도를 포함시켰다는 것이 무엇보다도 신선했다. 커뮤니케이션의 만족도 즉 자신에게 노출되는 정보의 양과 질에 따른 만족도가 보상이 될 수 있다는 개념은 좀 더 고민해 보면 좋은 측정 지표가 될 수도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다.

두번째 발표자 분은 SK C&C 모바일솔루션 사업팀 과장이신 민신현님이었다.

혹자는 국내 IT 산업의 발전의 주역이자 최후의 보루로 SI업체를 꼽는 분들도 있지만 내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정부의 말도 안되는 규제와 표준의 벽에 갇혀 썩을대로 썩어버린 건설 하청 피라미드 구조와 하등 다를바 없는 SI  업체 역시 사라져야 할 필요악이라고 생각한다.

무엇보다 현재의 SI의 실상으로 가감없이 보여주신 PPT 는 정말 공감 100%였다. 무엇보다 PPT 내용이 얼마나 탐나던지.. 얻을 수 있다면 정말 얻고 싶은 자료들이었다.

특히나 Agile을 도입하기 가장 어려운 성역중의 성역이라 불리는 SI 업계에 감리사와 각종 꼬장맨들의 꼬장의 어려움 속에서도 고객 동의라는 무기로 일구어내신 결과라서 그런지 더욱더 공감이 되었다.

두분의 발표 중에서는 나에게는 두번째 발표가 더 마음에 와 닿는 사례였고.. 더 많은 얘기를 나누어 보고 싶은 사례였다.

기억이라는 것은 휘발성이 있어서 벌써 하룻밤이 지났는데도 많은 것들이 희미하게 남아 있다.

하지만 현실에 맞는 Agile 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원하시던 민신현 과장님의 이야기는 쉽사리 잊혀지지 않을 것 같다.

아픈 몸이었지만 뜻 깊은 자리였고 이 모임이 TOC 정기 모임처럼 100회를 넘어 쭈욱 계속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마지막으로 몸이 너무 안좋아서 회고를 하지 못하고 종종걸음으로 집으로 향했던 것이 못내 아쉬운 모임이었다.

다음 모임은 기년회로 진행한다고 하는데.. 참석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

더 좋은 모임을 기대하면서.. 모임 후기는 여기서 그만...


댓글

  1. trackback from: xper 11월 정기모임 회고
    11월의 마지막날 xper 정기모임을 강남역 근처에 위치한 토즈에서 진행하였습니다. 거의 60명에 가까운 분들이 참여하신것 같습니다. 평일 모임이라 시간이 부족한 까닭에 바로 발표를 진행하셨습니다. xper(http://xper.org/wiki/xp/)에서는 매월 정기모임을 갖습니다. xper 메일링 리스트에 가입하시면 자세한 공지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조직관리와 스크럼 - 고성원 Dragonfly사의 Special Force 2 팀장님이신 고..

    답글삭제
  2. 저랑 공감하신 부분들이 매우 비슷하신 것 같습니다~

    후기 잘 읽었습니다~^^ 빨리 쾌차하시길 바랍니다~!

    답글삭제
  3. trackback from: xper 11월 정기모임 후기
    xper 정기모임 다녀왔습니다. 첫번째 발표 기적의 사과 동영상 두번째 발표. 모두에게서 받은 느낌은 이 모든것이 다 사람이 하는 일이라는것. 결국 중요한건 사람이라는 것입니다.

    답글삭제
  4. 민신현님의 PPT 자료는 온오프믹스에서 구하실수 있습니다. 이 귀한 자료를 공유해 주신 민신현님께 다시한번 고마움을 표합니다.



    온오프믹스는 아래 주소로 가시면 됩니다. 자료는 맨 아래쪽에 있습니다.



    잘 찾아보세요. 이 정보는 박계홍님이 제공해 주셨습니다.



    http://www.onoffmix.com/e/xper/1223

    답글삭제
  5. trackback from: 2009 년 11 월 xper 모임 후기(1/2)입니다.
    2009 년 11 월 xper 모임 후기입니다.

    () 는 제가 추가한 내용입니다.



    Special Force II 팀장님인 고성원님이 팀에 Scrum 을 도입한 경험과 감상에 대해 공유해 주셨습니다.



    20091130 Xper PresentationView more presentations from swko.Scrum 을 도입하게 된 배경

    개발 및 조직 관리 효율화

    매너리즘 방지, 집중도 향상

    스케줄 완수 성공률 증가

    성과 측정...

    답글삭제
  6. 더 다양한 후기들이 http://xper.org/wiki/xp/Xper_c1_a4_b1_e2_b8_f0_c0_d320091130 에 올라오고 있습니다. 더 자세한 정보는 xper 메일링 리스트(http://groups.google.com/group/xper)에 가입하시면 받으실 수 있습니다.^^

    답글삭제
  7. trackback from: xper 에자일 세미나에 참석하다.
    어느날 갑자기 한통의 메일이 도착했다.* 세미나 와서 당신의 경험을 공유해주세요.순간 망설임과 함께 개발자 초기때 수많은 모임 쫒아 다니던 기억이 나서 쉽게 응해버린다.* 속으로는 현재 진행형 프로젝트들과 고객들과의 약속과 기타 등등등 어찌 다 할까? 고민 한참을 했다.그리고는 2006년부터로 거슬러 올라가서 왜 Agile이라는 것에 맛이 갔는지에 대해서 주저리 주저리 써나간다.Agile을 어떻게 떠들어야 할지 잘 몰라서 다시 공부공부 (Wiki...

    답글삭제
  8. 참석못해서 궁금했는데, 후기 감사합니다~

    답글삭제
  9. trackback from: 2009년 11월 XPER 모임 후기
    전반적인 정리와 다른 분들의 후기는 박PD님의 블로그에 잘 링크가 되어 있다. 2009년 11월 xper 모임 후기(1/2)입니다. 2009년 11월 xper 모임 후기(2/2)입니다. 발표자 두 분 모두에게서 아 저건 진심이구나, 하는 느낌을 받았고, 정말 감동적인 경험이었다. SK C&C 민신현 과장님의 사례 발표에서는 오랜 기간 동안 프로젝트를 이끌며 엄청나게 괴로워하고 고민하다가 드디어 답을 찾아 낸 사람의 희열을 느낄 수 있었고, 스페셜 포..

    답글삭제

댓글 쓰기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테슬라 구매 과정 후기

올해 제 인생 최대 지름이 될.. 테슬라 구매를 했습니다. 스파크만 13년을 몰았는데... 내자분이 애들도 컸고.. 이젠 스파크가 좁고 덥고 힘들다면서... 4월 6일 하남 테슬라 전시장에서 새로 나온 업그레이드 된 모델 3를 보고 4월 7일 덜컥 계약을 해버리게 되었습니다. 이후에 4월 11일에 보조금 설문 조사 문자를 받았습니다. 그리고 다시 기다림의 시간이.. 사실, 처음에 하얀색을 계약을 했다가 하얀색은 관리하기가 너무 힘들거 같아 4월 20일에 블루로 변경을 했었는데.. 다른 사람들은 하나 둘 차량을 인도 받는데.. 아무리 기다려도 인도 일정이 배정이 되지 않아서... 혹시나 하고 4월 25일 하얀색으로 변경하자마자 VIN이 배정되고 4월 29일 인도 일정 셀프 예약 문자가 왔습니다. 파란색이 정말 인기가 없었나 봅니다. (그런데, 소문에 듣자하니.. 파란색은 5월 첫주부터 인도 일정 셀프 예약 문자가 왔었다고 합니다.. 크흑.. ㅠㅠ) 덕분에 기다리고 기다리긴 했지만 아무 준비도 없던 와중에 이제부터 정말 실제 차량을 인도받기 위한 질주가 시작되었습니다. 4월 30일 셀프 인도 예약 완료 문자가 왔고 5월 2일 오전 10시 5분에 전기자동차 구매지원 자격 부여 문자가 오고 오후 3시 5분에 전기차 보조금 지원 대상자 확정 문자를 받았습니다. 사실 기다림의 시간이 제일 힘든건.. 보조금을 못받으면 어떻게 하지?라는 초조함이었습니다. 얼마 안되는 보조금이라고 하더라도 한푼이 아쉬운 입장에서는 정말 필요한 돈이었는데.. 다행히 큰 문제 없이 지원 대상자가 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5월 2일 오후 4시 12분에 차량 대금을 후다닥 결제를 진행했습니다. 유투브와 네이버 카페 등을 열심히 읽어두었지만 막상 진행해보니 다른 설명과는 좀 다르게 진행되어서 불안했었는데.. 큰 문제 없이 결제가 완려되었습니다. 이미 차량 인도는 5월 14일로 결정되었기 때문에 이제는 차량 등록에 대한 기다림이 시작되었습니다. 드디어 5월 8일 오후 2시 23분에 등록 대행 비용 및...

테슬라 악세사리 구매 후기

테슬라를 구매하면서 알리와 네이버 페이에서 이런 저런 악세사리를 정말 엄청나게 구매했습니다. 스파크 13년의 경험을 총동원해서 어머 이건 꼭 사야지~~ 라고 생각되는건 모두 구매해봤습니다. 실제 비용은 쿠폰과 포인트로 조금씩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구매한 제품과 구매 링크 그리고 간단한 후기만 남겨보도록 하겠습니다. 1. 하이패스(AP500S) 뭐.. 얼마 안 있으면 하이패스가 필요없어진다는 얘기도 있지만.. 시범 사업 이후에 전국 고속도로에 설치되려면 아직 멀었고 뭐.. 말이 필요없는 필수품이죠.. 테슬라 카페이서 추천하는거 구매해봤습니다. TKC에서 공구하는건 이걸 구매하고 나서 알게 되었네요.. 네이버 공식샵에서 구매했습니다.  설치 후 동작은 잘 되는데.. 센터 콘솔 안에 위치한 시거잭에 설치하고 뚜껑을 닫았더니.. 음량을 최대 5로 설정해도 동작음이 잘 들리지를 않습니다. 그래서 이게 제대로 결제가 된건지 안된건지 알 수 없는게 유일한 불만이고.. 작고 잘 동작하고 좋습니다. https://smartstore.naver.com/gair/products/4776415369 2. 액정 보호 필름(스코코) https://brand.naver.com/skoko/products/9882239107 좋다고 해서 구매해봤는데.. 솔직히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미묘하게 크기가 안맞습니다. 테슬라 모니터 테두리가 곡면이라서 그런것 같습니다. 샵에서 붙여 달라고 했는데.. 제래도 붙지 않고 계속 기포가 생깁니다. 점착력이 떨어지는건지.. 혹시 몰라서 한번 더 구매해서 다시 붙여보려고 합니다. 무엇보다 비싸기 때문에.. 무반사 이런거에 큰 관심 없으시면 다른 적당히 저렴한거 구매하시는게 나을 것 같기도 합니다. 3. 도어 커버(카마루) https://blessauto.kr/products/37263 생각보다 얇고 얘도 생각보다 잘 안맞습니다. 미묘하게 좀 큽니다. 제가 똥손이라서 잘 못붙여서 그런것일 수도 있습니다. 막상 붙이고 나면 감촉도 좋고.. 관리하기 편합니...

스위치봇 & 스위치봇 허브 미니 간단 사용기

제 블로그에 예전부터 오셨던 분들은 제가 사브작 사브작 홈 오토메이션을 어설프게 해온 것을 아실겁니다. 작년부터 너무 하고 싶었던 도어락 자동화에 도전해봤습니다. 우리 나라에 자체 서비스로 앱을 통해 도어락을 제어하는 제품은 꽤 있습니다. 게이트맨도 있고, 키위도 있고, 삼성도 있죠.. 그런데.. 전 그것보다 구글 어시스턴트를 지원하는 도어락이 필요했는데... 그런건 안만들더라구요.. 꼭 필요한건 아니지만 웬지 해보고 싶은데... 언제 제품이 출시될지도 몰라서.. 가능한 방법을 찾아보다가.. 스위치봇이라는 제품으로 도어락을 버튼을 꾹 누르는 방법을 찾아서 스위치봇이 직구가 아닌 국내에 출시되었길래 낼름 구매해서 도전해봤습니다. 스위치봇 제품에 대한 내용이나 구매는  https://www.wakers.shop/  에서 하시면 됩니다. 저는 스위치봇에 스위치봇을 구글 홈에 연결시키기 위해 스위치봇 허브 미니까지 구매했습니다. 스위치봇 허브 미니가 없으면 스위치봇을 외부에서 제어하거나 구글 홈에 연결할 수 없습니다. 그리고 제가 스위치봇 허브 미니를 구매한 이유 중 다른 하나는 이 제품이 RF 리모컨 기능이 지원됩니다. 집에 있는 모니터를 제어할 필요가 있어서 이참 저참으로 같이 구매했습니다. 제품 등록은 어렵지 않습니다. 여기서는 스위치봇 허브 미니에 RF 리모컨을 등록해서 구글 어시스턴트로 제어하는 방법을 소개해드릴까 합니다. 제가 스위치봇 허브 미니로 모니터를 제어하고 싶었던 부분은 컴퓨터에서 크롬캐스트로 외부 입력을 때에 따라 바꿔야 하는데.. 그때마다 리모컨을 찾는게 너무 불편해서였습니다.  어차피 리모컨은 외부 입력 바꿀 때 빼고는 쓸 일도 없는지라.. 매번 어디로 사라지면 정말 불편해서 이걸 자동화 하고 싶었습니다. 그런데, 처음에 스위치봇 허브 미니를 등록하고 여기에 리모컨을 등록하니.. 구글 홈에 등록된 리모컨이 자동으로 등록이 됩니다. 그런데, 등록된걸 확인해보니 전원 On/Off만 제어되는 것이고, 나머지 버튼은 구글 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