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전 구글에서는 Chrome OS에 대한 발표를 단행했다.
그리고 얼마 후에는 실제로 가상 머신에서 구동할 수 있는 수준의 Chrome OS가 유출되기도 했다.
구글을 날로 거대해지고 있다. 그들이 웹 위에 구축한 제국의 영토는 지금도 확장되고 있다. 성공한 전투가 있는가 하면 실패한 전투도 있었지만 전쟁이라는 거대한 틀 안에서 구글은 아직까지는 승전중이다.
구글은 왜? OS에 손을 뻗친것일까?
내 기억이 맞다면 웹기반의 OS는 구글이 처음 시도한 것은 아닌 것으로 기억하고 있다.
하지만 이전의 시도는 내 기억이 맞다면 모두 실패 수준이다. 그런 영역에 왜 구글을 발을 담근 것일까? 구글은 MS, 애플, 리눅스, 유닉스 등 이미 기본 진영이 탄탄한 그들과 싸워 과연 이겨낼수 있다고 생각하는 걸까?
내 예상이 맞다면 이길 수도 있다. 하지만 절대 쉬운 전투가 될 수는 없을 것이고, 아직 해결해야할 과제는 너무나 많다.
개인적으로 구글이 OS 라는 이 전장에 뛰어든 첫번째는 바로 구글이 웹이라는 제약에 묶여 있기 때문이라고 본다.
웹이란 무엇인가? 우리가 이제는 아무런 인지도 없이 물처럼 쓰고 있는 인터넷이란 무엇인가? 무엇이 우리를 웹 모바일에 폐쇄적인 국내 통신사를 상대로 광분하게 하는 것일까?
구글은 웹 위에 세워진 제국이다. 하지만 이 웹이라는 것은 실제로 접근하기 위해서는 제약이 상당히 많다. 그리고 실체 또한 분명치 않다.
무슨 말인고 하니.. 만약 지금 당신이 웹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어떤 과정을 따르는가?
우선 웹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이 있어야 한다. 넷북이든 모바일이든 우선은 단말기가 있어야만 한다. 이것이 첫번째 제약이다. 구글은 이 제약을 제거하기 위해 현재 안드로이드에 올인 중이다. 안드로이드를 탑재한 단말 전쟁을 일으킴으로써 이 제약을 극복하고자 한다.
그 다음은 접속을 위한 경로를 확보해야 한다. 무선이든 기존 통신망이든 유선이든 무엇이든 간에 경로를 확보해야만 한다. 이것이 두번째 제약이다. 웹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어떤 식으로든 경로가 확보되어야 한다. 구글은 이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 막대한 광고 수익을 기반으로 무료 무선 인터넷 보급에 열중하면서 다른 쪽으로는 기존 통신망을 이용한 모바일 인터넷에 전력 투구 중이다.
그 다음은 OS다. 아직까지 우리가 단말과 경로만 확보된다고 해서 인터넷에 바로 접속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환경이 모바일이든 데스트탑이든 어디든 간에 우선은 OS 가 구동되어야 하고 그 다음에 인터넷으로 접속하기 위한 브라우저를 기동시켜야만 한다.
이 브라우저가 바로 네번째 제약이다.
이 세번째 제약과 네번째 제약을 해결하기 위해 초기에 던진 주사위가 안드로이드였다면 그 다음 주사위는 Chrome이었다.
그리고 마지막 주사위가 바로 Chrome OS다. 구글은 기존에 사용자가 단말과 경로를 확보하고 OS 를 기동하고 브라우저를 기동시킨 뒤 접속해야 하는 상황에서 누수되는 사용자 대부분을 흡수하기 위해서 OS 기동과 동시에 사용자들이 인지하지 못한 상황에서 웹에 접속되는 경로를 구축하려고 한다.
이러한 것이 가능해질수 있도록 구글은 기존의 오프라인 상에서 구동되던 많은 수의 어플리케이션 경험을 웹으로 이식하는 작업을 지금도 진행중이고 그러한 것을 지원하기 위한 언어로 AJAX를 개발하기도 했다. 그리고 또다른 적토마를 양성하기 위해 구글 기어즈를 버리는 초강수를 두면서 HTML 5에 표준으로서 오프라인 기능에 전격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즉, 구글은 사용자와 자신의 제국 사이에 낑겨 있던 OS 와 브라우저라는 2가지 장벽을 한방에 제거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자신의 제국에 들어올 수 있는 길을 만들고 있는 셈이다.
만약 Chrome OS가 엄청난 성공을 거두게 된다면 파이어폭스나 오페라와 같은 기존의 OS의 제약에 묶여 있는 브라우저들 역시 OS 시장에 뛰어들 가능성도 충분하다고 본다.
그렇게만 된다면 OS 시장은 기존의 MS와 애플, 리눅스로 이루어지는 진영과 OS에서 독립선언을 이루어내고자 하는 브라우저 OS 시장으로 양분될수도 있다고 본다.
분명 넘어야 할 산은 많다. 하지만 현재의 기술 발전 속도로 본다면 절대 불가능한 세상은 아니다. 아직까지는 우리는 웹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약간의 경로를 거쳐야 하겠지만 멀지 않은 미래에는 우리의 세상과 웹이 맞붙을 수도 있다고 본다.
하지만 그러한 세상이 되기 위해서는 OS와 브라우저라는 제약 이전에 단말과 경로 그리고 에너지에 대한 제약도 해결해야할 것이다.
과연 우리의 세상은 어디까지 발달하게 될까? 언제 어디서나 웹에 접속할 수 있는 세상이 곧 오는것일까?
그리고 얼마 후에는 실제로 가상 머신에서 구동할 수 있는 수준의 Chrome OS가 유출되기도 했다.
구글을 날로 거대해지고 있다. 그들이 웹 위에 구축한 제국의 영토는 지금도 확장되고 있다. 성공한 전투가 있는가 하면 실패한 전투도 있었지만 전쟁이라는 거대한 틀 안에서 구글은 아직까지는 승전중이다.
구글은 왜? OS에 손을 뻗친것일까?
내 기억이 맞다면 웹기반의 OS는 구글이 처음 시도한 것은 아닌 것으로 기억하고 있다.
하지만 이전의 시도는 내 기억이 맞다면 모두 실패 수준이다. 그런 영역에 왜 구글을 발을 담근 것일까? 구글은 MS, 애플, 리눅스, 유닉스 등 이미 기본 진영이 탄탄한 그들과 싸워 과연 이겨낼수 있다고 생각하는 걸까?
내 예상이 맞다면 이길 수도 있다. 하지만 절대 쉬운 전투가 될 수는 없을 것이고, 아직 해결해야할 과제는 너무나 많다.
개인적으로 구글이 OS 라는 이 전장에 뛰어든 첫번째는 바로 구글이 웹이라는 제약에 묶여 있기 때문이라고 본다.
웹이란 무엇인가? 우리가 이제는 아무런 인지도 없이 물처럼 쓰고 있는 인터넷이란 무엇인가? 무엇이 우리를 웹 모바일에 폐쇄적인 국내 통신사를 상대로 광분하게 하는 것일까?
구글은 웹 위에 세워진 제국이다. 하지만 이 웹이라는 것은 실제로 접근하기 위해서는 제약이 상당히 많다. 그리고 실체 또한 분명치 않다.
무슨 말인고 하니.. 만약 지금 당신이 웹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어떤 과정을 따르는가?
우선 웹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이 있어야 한다. 넷북이든 모바일이든 우선은 단말기가 있어야만 한다. 이것이 첫번째 제약이다. 구글은 이 제약을 제거하기 위해 현재 안드로이드에 올인 중이다. 안드로이드를 탑재한 단말 전쟁을 일으킴으로써 이 제약을 극복하고자 한다.
그 다음은 접속을 위한 경로를 확보해야 한다. 무선이든 기존 통신망이든 유선이든 무엇이든 간에 경로를 확보해야만 한다. 이것이 두번째 제약이다. 웹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어떤 식으로든 경로가 확보되어야 한다. 구글은 이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 막대한 광고 수익을 기반으로 무료 무선 인터넷 보급에 열중하면서 다른 쪽으로는 기존 통신망을 이용한 모바일 인터넷에 전력 투구 중이다.
그 다음은 OS다. 아직까지 우리가 단말과 경로만 확보된다고 해서 인터넷에 바로 접속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환경이 모바일이든 데스트탑이든 어디든 간에 우선은 OS 가 구동되어야 하고 그 다음에 인터넷으로 접속하기 위한 브라우저를 기동시켜야만 한다.
이 브라우저가 바로 네번째 제약이다.
이 세번째 제약과 네번째 제약을 해결하기 위해 초기에 던진 주사위가 안드로이드였다면 그 다음 주사위는 Chrome이었다.
그리고 마지막 주사위가 바로 Chrome OS다. 구글은 기존에 사용자가 단말과 경로를 확보하고 OS 를 기동하고 브라우저를 기동시킨 뒤 접속해야 하는 상황에서 누수되는 사용자 대부분을 흡수하기 위해서 OS 기동과 동시에 사용자들이 인지하지 못한 상황에서 웹에 접속되는 경로를 구축하려고 한다.
이러한 것이 가능해질수 있도록 구글은 기존의 오프라인 상에서 구동되던 많은 수의 어플리케이션 경험을 웹으로 이식하는 작업을 지금도 진행중이고 그러한 것을 지원하기 위한 언어로 AJAX를 개발하기도 했다. 그리고 또다른 적토마를 양성하기 위해 구글 기어즈를 버리는 초강수를 두면서 HTML 5에 표준으로서 오프라인 기능에 전격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즉, 구글은 사용자와 자신의 제국 사이에 낑겨 있던 OS 와 브라우저라는 2가지 장벽을 한방에 제거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자신의 제국에 들어올 수 있는 길을 만들고 있는 셈이다.
만약 Chrome OS가 엄청난 성공을 거두게 된다면 파이어폭스나 오페라와 같은 기존의 OS의 제약에 묶여 있는 브라우저들 역시 OS 시장에 뛰어들 가능성도 충분하다고 본다.
그렇게만 된다면 OS 시장은 기존의 MS와 애플, 리눅스로 이루어지는 진영과 OS에서 독립선언을 이루어내고자 하는 브라우저 OS 시장으로 양분될수도 있다고 본다.
분명 넘어야 할 산은 많다. 하지만 현재의 기술 발전 속도로 본다면 절대 불가능한 세상은 아니다. 아직까지는 우리는 웹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약간의 경로를 거쳐야 하겠지만 멀지 않은 미래에는 우리의 세상과 웹이 맞붙을 수도 있다고 본다.
하지만 그러한 세상이 되기 위해서는 OS와 브라우저라는 제약 이전에 단말과 경로 그리고 에너지에 대한 제약도 해결해야할 것이다.
과연 우리의 세상은 어디까지 발달하게 될까? 언제 어디서나 웹에 접속할 수 있는 세상이 곧 오는것일까?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