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murianwind의 트위터 - 2010년 03월 25일

  • 삼성은 싫다.. 하지만 연아양은 좋다. 내가 연아양을 응원한다고 삼성마저 응원하는 것은 아니다. 연아양을 응원할때마다 가슴에 일장기를 숨겨야 했던 손기정 선생님이 생각나는 건 왜일까? - 16:34 #
  • RT @techbard0: http://bit.ly/a7gs22 "소프트웨어가 자동차산업 판도 바꾼다" 흥미 있는 기사네요. 기자가 SW 테스트가 뭔지 알아 보고 쓴 듯... - 16:43 #
  • RT @jamescheon: 정보는 음식과 같다. 소화시키거나 남에게 줘야 한다. 잠시 냉장고에 둘 수는 있지만, 그 역시 조만간 소화시켜야 한다. 아니면, 불안과 중독에 시달리게 된다. - 16:43 #
  • RT @devenirs: 소장감 지도. RT @hcshin: 세계의 낙태 합법화 여부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지도를 만들어봤습니다. 미술팀에서 나라별로 하나하나 색칠을 했답니다. http://bit.ly/bx7YhE - 16:45 #
  • RT @taijinJung: RT @CLEBUS: UXCampSeoul 기사가 올라왔습니다! "사람을 향합니다 - UXcampseoul" http://spedr.com/5whnn - 17:9 #
  • RT @UXCampSeoul: [UXcamp seoul] '내 삶 속의 TV, TV의 미래' 발표자료 http://ubong.co.kr/237 - 17:15 #
  • RT @UXCampSeoul: UXCamp 후기 - 돈은 돌아서 돈이니라(donidonda.com) http://blog.naver.com/nnl39?Redirect=Log&logNo=110081688809 - 17:15 #
  • RT @UXCampSeoul: UXCampSeoul 의 "사용자는 정말 멍청한가?" 발표자료 http://alankang.tistory.com/267 - 17:16 #
  • 저는 주변에 항상 그런 뉘앙스로 QA를 얘기하고는 하죠.. RT @jungho83: 어쩌면 QA라는 단어가 Tester 라는 빈약한 편견을 가진 이름의 고급스러운 포장이 아니었을까..? - 17:17 #
  • 우리가 어떤 결정을 내릴 때 우선 내가 맞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이 세상에 맞다고 주장할 수 있는 존재가 있다면 신 뿐이다. 이 세상에 진실과 절대적 기준은 없다. 우선 내가 틀리다는 가정에서 출발해보자. - 17:27 #
  • RT @swtestingcamp: SW Testing Camp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홈페이지를 임시로 오픈하였습니다. 많이 찾아와 주세요. http://barcamp.org/SW-Testing-Camp #swtc - 17:27 #
  • 최종 소비자.. 그 상황에 있어서 최종 소비자에게.. RT @andgoon: 가치를 어디에 두고 테스트 작업을 해야할까요.. - 17:28 #
  • @andgoon 단위 테스트를 한다면 개발자에게 사용성 테스트를 한다면 사용자와 디자이너에게 인수테스트를 한다면 인수이해관계자에게 가치를 둬야 한다고 봅니다. - 17:29 #
  • RT @soundyou: 대한민국에는 프로세스라는 개념이 낯설다. 시스템은 존재하는 데 프로세스는 없는 경우가 많다. 즉 현실이나 환경과 동떨어진 시스템을 만들어 놓고 그것에 맞춰서 일하라고 이야기한다. 프로세스 없는 시스템은 실패와 같다. - 17:34 #
  • @geohanjogyo @jungho83 저는 Testing의 최종 진화 단계가 QA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 17:35 #
  • 경영혁신의 단계로 보았을 때 우리 나라의 많은 조직은 딱 분업화 까지 진행된듯 하다.. 이제 TQC 단계로 접어들어야 하는데.. 하는 걸 보면 그 단계는 우선 건너뛰고 6시그마, 린같은걸 논한다. 그러니 생산성이 좋아질리가 없다. - 17:36 #
  • @andgoon 물리적인 독립성을 갖출수 있겠지만 정책, 프로세스 등의 완전한 독립성은 애시당초 불가능하겠죠. 마차의 바퀴와 같은 존재니까요. - 17:38 #
  • RT @criticak: @hongss 오늘 디스쿼스와 유사한 라이브리 라는 사이트에서 소개가 들어왔는데 재밌더라구요. http://bit.ly/51DvmB 이제 댓글로 소셜시대네요. - 17:39 #
  • @bottop17 님 축하합니다. "테스팅에 관심있는 트위터 1만명 사귀기" 모임에 가입승인 되었습니다. 가입인사 꼭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http://bit.ly/cgpdlI - 17:40 #
  • 기존 블로그에 쉽게 적용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기존 블로그의 댓글도 가져올 수 있었으면 좋겠네요.. 지금으로는 약간 결함이 있기도 하네요.. 흠흠.. http://www.livere.co.kr/s?n=94 #livere - 17:42 #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스위치봇 & 스위치봇 허브 미니 간단 사용기

제 블로그에 예전부터 오셨던 분들은 제가 사브작 사브작 홈 오토메이션을 어설프게 해온 것을 아실겁니다. 작년부터 너무 하고 싶었던 도어락 자동화에 도전해봤습니다. 우리 나라에 자체 서비스로 앱을 통해 도어락을 제어하는 제품은 꽤 있습니다. 게이트맨도 있고, 키위도 있고, 삼성도 있죠.. 그런데.. 전 그것보다 구글 어시스턴트를 지원하는 도어락이 필요했는데... 그런건 안만들더라구요.. 꼭 필요한건 아니지만 웬지 해보고 싶은데... 언제 제품이 출시될지도 몰라서.. 가능한 방법을 찾아보다가.. 스위치봇이라는 제품으로 도어락을 버튼을 꾹 누르는 방법을 찾아서 스위치봇이 직구가 아닌 국내에 출시되었길래 낼름 구매해서 도전해봤습니다. 스위치봇 제품에 대한 내용이나 구매는  https://www.wakers.shop/  에서 하시면 됩니다. 저는 스위치봇에 스위치봇을 구글 홈에 연결시키기 위해 스위치봇 허브 미니까지 구매했습니다. 스위치봇 허브 미니가 없으면 스위치봇을 외부에서 제어하거나 구글 홈에 연결할 수 없습니다. 그리고 제가 스위치봇 허브 미니를 구매한 이유 중 다른 하나는 이 제품이 RF 리모컨 기능이 지원됩니다. 집에 있는 모니터를 제어할 필요가 있어서 이참 저참으로 같이 구매했습니다. 제품 등록은 어렵지 않습니다. 여기서는 스위치봇 허브 미니에 RF 리모컨을 등록해서 구글 어시스턴트로 제어하는 방법을 소개해드릴까 합니다. 제가 스위치봇 허브 미니로 모니터를 제어하고 싶었던 부분은 컴퓨터에서 크롬캐스트로 외부 입력을 때에 따라 바꿔야 하는데.. 그때마다 리모컨을 찾는게 너무 불편해서였습니다.  어차피 리모컨은 외부 입력 바꿀 때 빼고는 쓸 일도 없는지라.. 매번 어디로 사라지면 정말 불편해서 이걸 자동화 하고 싶었습니다. 그런데, 처음에 스위치봇 허브 미니를 등록하고 여기에 리모컨을 등록하니.. 구글 홈에 등록된 리모컨이 자동으로 등록이 됩니다. 그런데, 등록된걸 확인해보니 전원 On/Off만 제어되는 것이고, 나머지 버튼은 구글 홈...

프로젝트의 3요소 - Project Management

프로젝트는 예산, 일정, 품질 3가지 요소로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물론 위 3가지 요소 외에도 개발 범위, 팀워크, 자원 조달 등 여러가지 요소들도 고려해 볼 수 있지만, 가장 중요한 요소를 꼽는다면 예산, 일정, 품질일 것이다. 위에서 말한 여러가지 요소들은 프로젝트를 계획하여 완료하는 순간까지 복합적으로 작용해서 프로젝트의 성과를 제한하게 된다. 위의 요소들을 잘 통제한다면 성공적인 프로젝트가 되는 것이고 그렇지 못한다면 실패하거나 사라지게 될 것이다. 프로젝트 관리란 그런 면에서 제한된 자원을 가지고 목적한 바를 제한된 기간내에 최소의 비용으로 완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을 도식화 한다면 아래와 같은 그림으로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위의 그림에 보는 것처럼 일정과 품질, 예산은 우리의 프로젝트가 목적하는 바를 달성하도록 하기 위해 상호 연관되어 작용하게 된다. 우리가 접하게 되는 많은 방법론들의 가정에는 위의 요소들을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에 대한 기본적인 가정들이 설정되어 있다. 조직에서 어떤 특정한 방법론을 도입한다는 것은 그런 가정에 동의하는 것이고 그러한 철학을 받아들인다는 것이기 때문에, 방법론을 채택하기 전에 조직의 근본 문제와 문화에 대해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그리고 위의 요소들 외에 고려해 볼 사항은 위의 요소들은 변동성과 불확실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비용과 예산, 목적은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가변할 가능성이 매우 큰 요소들이다. 대부분의 방법론은 이러한 변동성에 대한 안전장치들을 가정해서 세워져 있다. 변동성의 측면에서 위의 요소들을 다시 살펴본다면 아래와 같이 가정할 수 있다. 위의 그림을 일부 해석해 본다면 일정이 늘어난다면 비용은 늘어나게 된다. 범위가 변경되어도 비용은 늘어나게 된다. 범위와 일정은 상호 의존적이 된다. 만약 위 3가지 요소의 변동성을 통제하지 못하게 된다면 프로젝트는...

일본 출장 갔다 온 후기

어쩌다 보니.. 우연치 않게.. 일본으로 2박 3일 짧은 출장을 다녀왔습니다. 태어나 처음으로 일본을 가보게 되었고.. 한 6년만에 나가본 외국이라서.. 난리도 아니었습니다. 출장 일정을 착각해서 1박 2일로 잡았던 항공편 일정 변경하고 숙박업소 찾느라.. 에휴.. 어쨌든 오랜만에 나가본 외국이고 처음 가본 일본이라 다녀오고 알게 된 몇가지 사실은 이미 인터넷을 찾아보면 쉽게 찾을 수 있지만 그래도 기록으로 남겨보고자 합니다. 1. 여행용 멀티 어뎁터를 더 이상 공항 로밍 센터(김포 공항 기준)에서 무료로 대여를 안해주더라구요. 로밍 요금을 가입해야 빌려준다는데.. 쩝.... 가장 가까운 다이소도 롯데몰까지 걸어가기에는 멀고.. 공항 편의점에서 파는데 정말 더럽게 비싸더라구요. 그러니 미리미리 다이소에서 구매하시거나 인터넷에서 싼걸로 장만하시는게 좋습니다. 일본에서도 편의점이나 100엔샵 뒤져보았지만 안팔더라구요. 돈키호테에서는 판다고 하는데.. 거기까지 가기에는 출장 일정 상 이동하기 쉽지 않아서.. 정말 무겁게 노트북 들고가서 켜보지도 못했습니다. 물론 웬만한 모텔급 이상 숙박업소에서는 프론트에 얘기하면 무료로 빌려주기는 하는데.. 낮에는 플러그가 없으니 충전이.. ㅠㅠ 그래서 만약에 한국에서 준비를 못해간걸 일본에서 깨달았다면.. 어떻게 하느냐... 이미 공항을 떠나셨다면 주변에서 BIC 이라는 전자 제품 파는 곳에서 구매하시면 되고..  하네다 공항 3번 터미널 출국장 위쪽 4F에 가시면 BIC 가게가 있고 거기서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한 300엔 했던 걸로 기억합니다.  2. 애플 페이로 교통카드를 하시려면 현재로는 현대카드 마스터 카드가 있어야 합니다. 비자 카드로 충전이 안되어서 애플 페이로 교통카드를 만들 수 없습니다. 일본에서 지하철을 애플 페이로 타보고자 했던 저의 꿈은 파사삭... 스이카 앱으로는 비자 카드로 충전이 된다고 하는데.. 귀찮습니다. ㅠㅠ 한국에서 스이카 웰컴 카드를 구매해 가시는 것도 방법인데.. 이 카드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