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테스팅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murianwind의 트위터 - 2010년 03월 19일 http://goo.gl/fb/KoB7 - 0:10 #
- Agile Testing – Ensuring Quality in Projects Following the Agile Model http://bit.ly/aeXrPH - 15:4 #
- UX디자인과 유져빌리티에 대한 정의 = 마법 http://bit.ly/a6UcGF - 15:5 #
- Eye Tracking: Best Way to Test Rich App Usability http://bit.ly/aCHKaQ - 15:15 #
- 미래의 GUI는 어떻게 진화될 것인가? http://bit.ly/csyOKZ - 21:14 #
- '촛불'이란 단어 때문에 금지곡? http://bit.ly/aWJqZa - 21:20 #
- 미쳤어? 취직도 안되는 그런 과에 왜 가니? http://bit.ly/bpZho7 - 21:36 #
- 저도 사실은 천문학과가 너무 가고 싶었지만 못갔었는데.. 짧은 시간동안 꿈을 수도 없이 바꾸었네요.. 단지 먹고 살기 위해서.. - 21:37 #
- 대학교 갈때는 그저 과학자가 되고 싶었고 대학교 가서는 게임 기획자가 되고 싶었죠. 그래서 대학원에 갔는데.. 지금은 테스터를 하고 있죠.. 흠.. - 21:37 #
- 한때는 선생도 하고 싶었는데.. 학교의 썩어빠진 조직과 교장부터 교감까지 학교 공금 횡령해서 자기 배를 불리고 인사고과에 불리한 점수 받지 않기 위해 비굴해지는 교사가 되고 싶지 않아 때려쳤습니다. - 21:38 #
- @Stepania_ Facebook 어플리케이션에서 트위터를 검색하셔서 추가하시면 됩니다. - 21:50 #
프로젝트는 예산, 일정, 품질 3가지 요소로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물론 위 3가지 요소 외에도 개발 범위, 팀워크, 자원 조달 등 여러가지 요소들도 고려해 볼 수 있지만, 가장 중요한 요소를 꼽는다면 예산, 일정, 품질일 것이다. 위에서 말한 여러가지 요소들은 프로젝트를 계획하여 완료하는 순간까지 복합적으로 작용해서 프로젝트의 성과를 제한하게 된다. 위의 요소들을 잘 통제한다면 성공적인 프로젝트가 되는 것이고 그렇지 못한다면 실패하거나 사라지게 될 것이다. 프로젝트 관리란 그런 면에서 제한된 자원을 가지고 목적한 바를 제한된 기간내에 최소의 비용으로 완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을 도식화 한다면 아래와 같은 그림으로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위의 그림에 보는 것처럼 일정과 품질, 예산은 우리의 프로젝트가 목적하는 바를 달성하도록 하기 위해 상호 연관되어 작용하게 된다. 우리가 접하게 되는 많은 방법론들의 가정에는 위의 요소들을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에 대한 기본적인 가정들이 설정되어 있다. 조직에서 어떤 특정한 방법론을 도입한다는 것은 그런 가정에 동의하는 것이고 그러한 철학을 받아들인다는 것이기 때문에, 방법론을 채택하기 전에 조직의 근본 문제와 문화에 대해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그리고 위의 요소들 외에 고려해 볼 사항은 위의 요소들은 변동성과 불확실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비용과 예산, 목적은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가변할 가능성이 매우 큰 요소들이다. 대부분의 방법론은 이러한 변동성에 대한 안전장치들을 가정해서 세워져 있다. 변동성의 측면에서 위의 요소들을 다시 살펴본다면 아래와 같이 가정할 수 있다. 위의 그림을 일부 해석해 본다면 일정이 늘어난다면 비용은 늘어나게 된다. 범위가 변경되어도 비용은 늘어나게 된다. 범위와 일정은 상호 의존적이 된다. 만약 위 3가지 요소의 변동성을 통제하지 못하게 된다면 프로젝트는...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