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사용성 테스팅 교육과정을 만들면서 시간이 날때마다 ISO에서 관련 표준을 찾고 있습니다.
표준을 찾으면서 문득 표준이란 무엇일까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최근 아이폰을 기점으로 촉발된 인터넷 뱅킹에서의 액티브 엑스 문제도 긴 연장선상에 보면 표준에 관한 전쟁이라고 할 수도 있습니다.
이전에도 한번 표준에 대한 의견을 썼던 적이 있는데, 제가 항상 생각하는 것은 표준이 과연 필수인가? 선택인가? 에 대한 문제입니다.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실제 대답이야 어떻든 간에 많은 경우 표준은 항상 필수적인 요소로 동작합니다.
하지만 정말로 표준은 필수인것일까요? 표준이라는 것이 항상 이롭고 좋기만 한것일까요?
잘 생각해 보면 꼭 그렇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경우에 따라 다르겠지만 표준이라는 것이 꼭 좋기만 한 것은 아닌 경우도 있습니다.
어떤 경우에는 표준이라는 것이 기술의 발전과 혁신을 지연시키기도 하고 더 나은 기술들이 사장되어버리기도 합니다.
표준이라는 것 자체가 어떤 효과와 효율에 대한 검증과 검토를 통해서 정해진다기 보다는 정치와 군중에 의해서 정해지기 때문에 그럴 것입니다.
특히나 장비 등에 관한 하드웨어의 표준보다 프로세스와 같은 무형의 요소들에 대한 표준은 좀 더 애매모호합니다.
많은 업체들이 ISO 9000 인증이나 CMMI, TMMi와 같은 인증에 매달리는 경우를 많이 볼 수 있습니다.
그러한 인증과 표준들이 과연 경영과 생산성의 혁신을 보장하는 것일까요?
그러한 인증을 얻음으로써 우리가 실제로 얻는 이익과 가치는 무엇일까요?
저는 프로세스와 같은 무형의 요소에 대한 표준은 Best Practice 에 불과하다고 생각합니다.
ISO 9126, ISO 25000, ISO 29119와 같은 표준들은 수많은 기업체들과 전문가들의 경험을 통해 보편타당하고 생각되는 요소들만을 모아 만들어진 Bet Practice 일 뿐, 그것이 강제나 필수가 되어서는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비유로 든다면, 위와 같은 표준은 매실원액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웬만한 사람들은 매실원액을 그대로 마시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식초원액이라고 생각하더라도 마찬가지입니다.
매실원액이나 식초원액과 같은 것을 사람이 먹기 위해서는 적정량의 물을 섞어주어야 합니다.
즉, 위와 같은 표준을 조직과 회사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조직의 성숙도를 명확히 알고 있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그렇다고 저런 표준이 의미가 없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그냥 맹물보다 매실원액과 같은 것을 섞어 마시는 물이 더 맛있는 법이니까요.
다만, 3000CC 잔에 물을 가득 담고 매실원액 1방울을 떨어뜨린다고 그 물이 매실차가 되지는 않을 것입니다.
맛있는 매실차가 되기 위해서는 적절한 비율로 맹물과 원액을 섞을 필요가 있습니다.
그렇다면 과연 어느정도의 비율로 섞어야 가장 맛있는 매실차가 되는 것일까요?
가장 맛있는 매실차의 비율을 알아내는 방법은 2가지 정도를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첫번째는 가장 맛있는 비율을 알아낼때까지 몇번이고 만들어 보는 것입니다. 하지만 실제 현장에서 실패를 반복해서 가장 맛있는 비율을 알아내기는 힘든 것이 사실입니다.
그래서 가장 많이 선호하는 방식이 바로 컨설팅을 받는 것입니다.
풍부한 경험을 통해 가장 맛있는 비율을 알고 있는 컨설턴트에게 의뢰해서 배우는 방법이 어떻게 보면 가장 확실하고 간단한 방법처럼 보이는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이때 주의해야할 것이 있습니다.
모든 컨설턴트들이 가장 맛있는 비율을 알고 있는 것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어떤 컨설턴트는 3000CC 큰 잔에 매실원액 1방울 떨어뜨려놓고 이것이 매실차라고 부득부득 우기는 컨설턴트가 있습니다.
이런 컨설턴트는 쉽게 알아볼 수 있기 때문에 큰 문제는 없습니다. 회사는 조금의 손해는 보겠지만 계약을 파기하면 되기 때문입니다.
가장 무서운 컨설턴트는 각종 인공착향료를 섞어서 정말로 매실원액을 맛있는 비율로 섞어 만든 매실차가 거의 똑같은 맛을 내는 컨설턴트입니다.
이런 컨설턴트는 매실 원액을 맛있는 비율로 섞어 마셔본 적이 없는 조직이나 회사로서는 알아낼 방법이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이런 컨설턴트를 가려내기 위해서는 조직이나 회사도 컨설팅을 받고자 하는 대상에 대해 열심히 공부하는 방법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가장 황당한 컨설턴트는 무조건 매실원액을 들이부으려고 하는 컨설턴트입니다. 저는 이런 컨설턴트들을 별로 좋아하지 않습니다.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여러분 조직에 적용하고 있는 표준이나 경영혁신 기법들을 어떻게 적용하고 계신가요?
여러분이 지금 컨설팅을 받고 계시다면 여러분의 컨설턴트는 어떤 컨설턴트인가요?
왜 많은 경우 표준이 강제적으로 필수적으로 적용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걸까요?
왜 표준을 적절하게 변형하여 적용하는 것을 생각하지 못하는 것일까요?
표준을 찾으면서 문득 표준이란 무엇일까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최근 아이폰을 기점으로 촉발된 인터넷 뱅킹에서의 액티브 엑스 문제도 긴 연장선상에 보면 표준에 관한 전쟁이라고 할 수도 있습니다.
이전에도 한번 표준에 대한 의견을 썼던 적이 있는데, 제가 항상 생각하는 것은 표준이 과연 필수인가? 선택인가? 에 대한 문제입니다.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실제 대답이야 어떻든 간에 많은 경우 표준은 항상 필수적인 요소로 동작합니다.
하지만 정말로 표준은 필수인것일까요? 표준이라는 것이 항상 이롭고 좋기만 한것일까요?
잘 생각해 보면 꼭 그렇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경우에 따라 다르겠지만 표준이라는 것이 꼭 좋기만 한 것은 아닌 경우도 있습니다.
어떤 경우에는 표준이라는 것이 기술의 발전과 혁신을 지연시키기도 하고 더 나은 기술들이 사장되어버리기도 합니다.
표준이라는 것 자체가 어떤 효과와 효율에 대한 검증과 검토를 통해서 정해진다기 보다는 정치와 군중에 의해서 정해지기 때문에 그럴 것입니다.
특히나 장비 등에 관한 하드웨어의 표준보다 프로세스와 같은 무형의 요소들에 대한 표준은 좀 더 애매모호합니다.
많은 업체들이 ISO 9000 인증이나 CMMI, TMMi와 같은 인증에 매달리는 경우를 많이 볼 수 있습니다.
그러한 인증과 표준들이 과연 경영과 생산성의 혁신을 보장하는 것일까요?
그러한 인증을 얻음으로써 우리가 실제로 얻는 이익과 가치는 무엇일까요?
저는 프로세스와 같은 무형의 요소에 대한 표준은 Best Practice 에 불과하다고 생각합니다.
ISO 9126, ISO 25000, ISO 29119와 같은 표준들은 수많은 기업체들과 전문가들의 경험을 통해 보편타당하고 생각되는 요소들만을 모아 만들어진 Bet Practice 일 뿐, 그것이 강제나 필수가 되어서는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비유로 든다면, 위와 같은 표준은 매실원액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웬만한 사람들은 매실원액을 그대로 마시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식초원액이라고 생각하더라도 마찬가지입니다.
매실원액이나 식초원액과 같은 것을 사람이 먹기 위해서는 적정량의 물을 섞어주어야 합니다.
즉, 위와 같은 표준을 조직과 회사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조직의 성숙도를 명확히 알고 있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그렇다고 저런 표준이 의미가 없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그냥 맹물보다 매실원액과 같은 것을 섞어 마시는 물이 더 맛있는 법이니까요.
다만, 3000CC 잔에 물을 가득 담고 매실원액 1방울을 떨어뜨린다고 그 물이 매실차가 되지는 않을 것입니다.
맛있는 매실차가 되기 위해서는 적절한 비율로 맹물과 원액을 섞을 필요가 있습니다.
그렇다면 과연 어느정도의 비율로 섞어야 가장 맛있는 매실차가 되는 것일까요?
가장 맛있는 매실차의 비율을 알아내는 방법은 2가지 정도를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첫번째는 가장 맛있는 비율을 알아낼때까지 몇번이고 만들어 보는 것입니다. 하지만 실제 현장에서 실패를 반복해서 가장 맛있는 비율을 알아내기는 힘든 것이 사실입니다.
그래서 가장 많이 선호하는 방식이 바로 컨설팅을 받는 것입니다.
풍부한 경험을 통해 가장 맛있는 비율을 알고 있는 컨설턴트에게 의뢰해서 배우는 방법이 어떻게 보면 가장 확실하고 간단한 방법처럼 보이는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이때 주의해야할 것이 있습니다.
모든 컨설턴트들이 가장 맛있는 비율을 알고 있는 것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어떤 컨설턴트는 3000CC 큰 잔에 매실원액 1방울 떨어뜨려놓고 이것이 매실차라고 부득부득 우기는 컨설턴트가 있습니다.
이런 컨설턴트는 쉽게 알아볼 수 있기 때문에 큰 문제는 없습니다. 회사는 조금의 손해는 보겠지만 계약을 파기하면 되기 때문입니다.
가장 무서운 컨설턴트는 각종 인공착향료를 섞어서 정말로 매실원액을 맛있는 비율로 섞어 만든 매실차가 거의 똑같은 맛을 내는 컨설턴트입니다.
이런 컨설턴트는 매실 원액을 맛있는 비율로 섞어 마셔본 적이 없는 조직이나 회사로서는 알아낼 방법이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이런 컨설턴트를 가려내기 위해서는 조직이나 회사도 컨설팅을 받고자 하는 대상에 대해 열심히 공부하는 방법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가장 황당한 컨설턴트는 무조건 매실원액을 들이부으려고 하는 컨설턴트입니다. 저는 이런 컨설턴트들을 별로 좋아하지 않습니다.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여러분 조직에 적용하고 있는 표준이나 경영혁신 기법들을 어떻게 적용하고 계신가요?
여러분이 지금 컨설팅을 받고 계시다면 여러분의 컨설턴트는 어떤 컨설턴트인가요?
왜 많은 경우 표준이 강제적으로 필수적으로 적용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걸까요?
왜 표준을 적절하게 변형하여 적용하는 것을 생각하지 못하는 것일까요?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