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T @productionkim: 테스팅을 잘 하기 위해선.. 소프트웨어 개발의 전반적인 사항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 하다. 테스팅에 관한 공부도 중요하지만.. 프로젝트 관리나 혹은 조직 관리등을 공부 해보는 것이 시야를 넓히는데 큰 도움이 된다.. - 8:7 #
- 21세기 노비 44만원 세대. 10대 알바생들 http://bit.ly/aB81PM - 8:19 #
- Bye Bye Flash: Network Graph is now Canvas http://bit.ly/cO4o6E - 8:22 #
- 테러리스트 '안중근' http://bit.ly/bfGGHa - 8:27 #
- 5 Reasons You Stopped Using Google Buzz http://bit.ly/aUlON3 - 11:49 #
- ZeuApp Downloads 82 Awesome Open Source Apps [Downloads] http://bit.ly/bimrcp - 11:49 #
- 트위터 서울 날씨 봇에 황사 관련 내용도 나왔음 좋겠다는.. 밖에 나가고 싶긴 한데 황사려나? - 12:1 #
- 트위터와 미투데이를 모두 써본 결과 미투데이가 조금 한국적인 취향이 더 많이 적용되어 있는 건 좋은데.. 좀 답답한 플랫폼이고.. 트위터는 자유로운데 좀 외로운 플랫폼이라는 생각이.. - 12:2 #
- 우리 모두는 안중근 열사에게 사죄를 해야한다. 그 분은 하나된 조국을 위해 독입운동을 하셨는데.. 우리는 100년이 지나도 싸우느라 바쁘지. 통일할 생각은 없다. - 12:6 #
- 통일은 양국 당사자의 의지이건만 왜 UN 부터 주변 찌그레기까지 다 달라붙어 배 놔라 감놔라 하는지 몰겠다. 자주적인 독입의 길은 아직 멀다. - 12:6 #
프로젝트는 예산, 일정, 품질 3가지 요소로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물론 위 3가지 요소 외에도 개발 범위, 팀워크, 자원 조달 등 여러가지 요소들도 고려해 볼 수 있지만, 가장 중요한 요소를 꼽는다면 예산, 일정, 품질일 것이다. 위에서 말한 여러가지 요소들은 프로젝트를 계획하여 완료하는 순간까지 복합적으로 작용해서 프로젝트의 성과를 제한하게 된다. 위의 요소들을 잘 통제한다면 성공적인 프로젝트가 되는 것이고 그렇지 못한다면 실패하거나 사라지게 될 것이다. 프로젝트 관리란 그런 면에서 제한된 자원을 가지고 목적한 바를 제한된 기간내에 최소의 비용으로 완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을 도식화 한다면 아래와 같은 그림으로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위의 그림에 보는 것처럼 일정과 품질, 예산은 우리의 프로젝트가 목적하는 바를 달성하도록 하기 위해 상호 연관되어 작용하게 된다. 우리가 접하게 되는 많은 방법론들의 가정에는 위의 요소들을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에 대한 기본적인 가정들이 설정되어 있다. 조직에서 어떤 특정한 방법론을 도입한다는 것은 그런 가정에 동의하는 것이고 그러한 철학을 받아들인다는 것이기 때문에, 방법론을 채택하기 전에 조직의 근본 문제와 문화에 대해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그리고 위의 요소들 외에 고려해 볼 사항은 위의 요소들은 변동성과 불확실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비용과 예산, 목적은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가변할 가능성이 매우 큰 요소들이다. 대부분의 방법론은 이러한 변동성에 대한 안전장치들을 가정해서 세워져 있다. 변동성의 측면에서 위의 요소들을 다시 살펴본다면 아래와 같이 가정할 수 있다. 위의 그림을 일부 해석해 본다면 일정이 늘어난다면 비용은 늘어나게 된다. 범위가 변경되어도 비용은 늘어나게 된다. 범위와 일정은 상호 의존적이 된다. 만약 위 3가지 요소의 변동성을 통제하지 못하게 된다면 프로젝트는...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