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초우량기업들의 경영혁신 200년

초우량 기업들의 경영혁신 200년 - 8점
윤덕균 지음/민영사
'초우량 기업들의 경영혁신 200년'은 1776년 아담 스미스의 분업론과 전문화부터 1999년 P&G 사의 ERP 까지 세계적 기업들의 경영혁신 기법을 소개하고 있는 책이다.

이 책은 시대 순으로 각 경영혁신 기법들의 배경과 간략한 내용들에 대하여 소개하고 있다.

하지만 단순히 여러 경영혁신 기법들을 소개하고자 하는 것이 이 책의 목표는 아니다.

이 책이 말하고자 하는 것은 우리가 이러한 수많은 경영혁신 기법 중에서 어떤 경영혁신 기법을 선택하고 또 어떤 수서로 도입할 것인가에 대한 해답을 찾을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데 목적이 있다.

실제로 이 책에는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호손 실험, 통계정 품질 관리, CPM, TQC, TPM, 고객만족, JIT(Lean Development), TOC, 6시그마,  ERP 등 이미 한번쯤은 도입을 했거나 도입을 고려하고 있을만한 기법들이 가득 소개되어 있다.

그런데 위와 같은 방법론을 실제 조직에 도입했을 때 성공적이라기보다는 끊임없이 시행착오를 반복하거나 실패하는 경우가 많다.

왜 그런것일까?

그것은 우리들이 이러한 경영혁신 기법들을 도입할 때 접근 방법이 틀렸기 때문이다.

어느 기업에서 성공했다는 사실이 다른 기업에서의 성공까지를 보장하는 것은 아님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사실을 간과하고 우리들은 각각의 경영혁신 기법들을 유행처럼 무비판적으로 수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우물가에서 숭늉을 찾는다고 숭늉이 그 자리에서 나올 수 없는 것처럼 가장 최신의 기법이 가장 좋다는 사고에서 벗어나야 한다.

조직과 회사가 그 기법에 맞는 상태에 도달하지 않은 상태로 무조건 특정 기법을 도입한다면 실패는 당연한 것이다.

때문에 이 책에서는 각 경영혁신 기법들의 역사적 배경, 도입의 동기, 수행 과정, 그리고 성공과 실패의 결과를 제시하고 자신의 조직이나 회사에 어떤 기법들을 도입하는 것이 좋은지에 대해 고민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 목적이다.

이책의 표현을 빌리면 경영혁신 기법은 환경의 변화에 맞춰 변신하는 카멜레온과 같은 것이어야 한다.

따라서 우리 실정에 맞는 생산성 혁신의 방법론을 개발할 필요성이 있지 않을까?

이 책에 5점 만점에 4점을 부여하는 바이다.

각각의 경영혁신 기법을 개괄적으로 정리하고 조직과 회사의 발전에 따라 알맞은 기법들을 고민하고자 하시는 분들께 이 책을 추천해드립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비츠 스튜디오 버즈 플러스(투명) 사용 후기

제 내자분은 아직도 유선 이어폰을 쓰고 있습니다. 그게 좋다고 하시더라구요. 작년에 혹시나 해서 앤커 사운드코어 라이프Q35를 구매해서 조공해봤지만 결국은 안쓰시더라구요. 그래서 작년 추운 겨울에 제가 귀마게 용으로 잘 사용해왔는데.. 여름이 되니.. 와.. 이건 너무 덥고 무거워서 못쓰겠더라구요. 아이폰도 사고 애플 워치도 샀으니.. 다음은 에어팟인데.... 노이즈 캔슬링이 된다는 에어팟 프로 2는 ... 네... 너무 비싸더라구요... 이건 내자분께 얘기해봐야 결제가 될리가 없어서... 고민하고 있던차에.. 네.. 저는 봐버리고 말았습니다. 비츠 스튜디오 버즈 플러스의 그 영롱한 투명 버전의 자태를... 급 뽐뿌가 왔지만.. 여전히 20만원의 고가더라구요... 초기 출시 시기에 이벤트로 16만원 정도 했던거 같은데.. 그정도 가격이면 선 결제 후 보고 하면 될거 같은데.. 20만원은 너무 너무 비싸서 침만 삼키던 차에.. 당근에 15만원에 올라온 물건을 덥석 물었습니다. 애플 뮤직 6개월 프로모션 코드도 사용하지 않은 따끈따끈한 제품이라서 그냥 질렀습니다. 이상하게 인터넷이 실제 리뷰 게시물을 찾기 힘들어서.. 고민을 잠깐 했지만.. 그 투명하고 영롱한 자태에 그만... 어쨌든 구매하고 한달 정도 사용해본 후기를 간단하게 남겨봅니다. 1. 노이즈 캔슬링은 기대한 것과는 좀 다르고 앤커 사운드코어 라이프Q35 정도 되는 것 같습니다. 노이즈 캔슬링은 활성화하면 이게 소리를 막아준다기보다는 주변의 작은 소음만 제거해준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러니까 옆에서 소근 거리는 소리나 선풍기 바람 소리 같은 작은 소리들이 사라지고 음악 같은 내가 듣고자 하는 소리가 굉장히 뚜렸해지만 지하철 안내 방송 같은 조금 큰 소리는 그냥 들립니다. 그래서 주변음 허용 모드를 켜보면 너무 시끄러워서 안쓰게 되더라구요. 전 에어팟 프로 2를 사용해 본적이 없어서 비교할 수는 없지만.. 아주 못쓸 정도의 성능은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2. 저는 귓구멍이 너무 작아서 XS 사이즈의 이어팁

테스트 케이스와 체크리스트의 차이가 뭐여?

테스트 실무에서 가장 혼돈되어 사용되는 용어 중 하나가 테스트 케이스와 체크리스트입니다. 많은 경우 체크리스트를 테스트 케이스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로 인터넷 커뮤니티나 블로그, ISO, IEEE, ISTQB 등등을 검색해보시면 테스트 케이스와 체크리스트에 대한 구분이 다 제각각입니다. 각각에 대한 정의가 다 제각각입니다. 사정이 이러하다보니 많은 사람들이 테스트 케이스와 체크리스트를 잘 구분하지 못하고 혼동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물과 기름처럼 테스트 케이스와 체크리스트를 정확하게 구분할 수는 없겠지만.. ISTQB를 기준으로 말씀드리면 설계 기법을 통해 도출된 것은 테스트 케이스 그렇지 않은 것은 체크리스트라고 생각하시면 쉽습니다. 예를 들면 아래는 결정 테이블 테스팅 기법을 통해 도출된 테스트 케이스의 예제입니다. 실제 테스트 케이스는 위보다 복잡하겠지만 어쨌든 얘기하고 싶은 것은 위와 같이 설계 기법을 통해서 도출된 것은 테스트 케이스라고 합니다. 그런데 딱 보시면 아시겠지만 실제 테스트에서는 저 정도로는 테스트 커버리지를 충분히 만족했다고 얘기하기 힘듭니다. 그렇습니다. 어떤 분들은 테스트 케이스가 전가의 보도, 은 총알 쯤으로 생각하시는데.. 테스트 케이스는 일종의 마지노 선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최소한 제품을 테스트 할때 이정도는 해줘야 한다는 최후의 방어선 정도라고 보시면 됩니다. 전쟁에서 최후의 방어선은 물러설 수 없는 마지막 보루입니다. 하지만 최후의 방어선만 지킨다고 전쟁에서 승리할 수는 없습니다. 프랑스는 마지노 요새만 믿고 있다가 독일에게 깔끔하게 발렸던 과거가 있지요. 전쟁에서 승리하려면 앞으로 나가야하고 치밀한 전략과 전술이 뒷받침 되어야 합니다. 더 높은 커버리지를 도달하고, 충분히 좋은 테스트가 수행되려면 테스트 케이스는 기본이 되어야 하고 거기에 더해서 체크리스트가 따라와 줘야 합니다. 이러한 체크리스트는 팀의 경험과 과거 프로젝트의 데이

애플 워치 수면 추적 기능에 대한 간단 리뷰

LG 폰이 지구상에서 사라지고.. 삼성폰은 사고 싶지 않아서.. 어쩔 수 없이 아이폰을 구매한지도 2년이 되어 갑니다. 아이폰을 구매하고 1년간은 애플 워치에 대한 필요성을 크게 느끼지 못하고 잘 살았습니다. 하지만 업무 중에 폰을 사용하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타이머와 현재 시간을 보고 싶다는 이상한 필요성과 끊임 없는 뽐뿌에 시계는 좋아하지도 않고.. 손목에 무언가를 차는 것도 싫어해서 스마트 밴드도 안하고 다니던 제가 애플 워치를 질렀습니다. 이렇게 저도 앱둥이가 되어가고 있네요.  4월 말에 애플 워치를 구매해서 이제 3개월 정도 사용해본 간단한 소감은.. 내 건강과 건강한 습관을 유지하는데는 정말 좋은 선택이라고 생각합니다. 애플 워치를 구매하고 규칙적으로 몸을 움직이고 물을 마시고 손을 씻고 양치를 하게 되었습니다. 애플 워치를 사용한다고 해서 무조건 건강해지고 그런건 아니지만 적어도 내 몸을 돌아보고 규칙적인 습관을 가지는데 도움이 많이 되는건 분명합니다. 그리고 굳이 폰이 없어도 간단한 활동은 워치로 할 수도 있고 음악이나 동영상, 카메라의 리모컨처럼 쓸 수 있는게 너무 편합니다. 그 중에서 저는 수면 추적 기능에 참 관심이 많아졌습니다. 정확도는 모르겠지만 적어도 내가 잠을 어떻게 자고 있는지 볼 수 있어서 참 좋더라구요. 다만 이게 꼭 수면 모드를 활성화해야만 추적이 되는거라서.. 중간에 오토슬립이나 Pillow라는 앱도 사용해보았지만 결국은 순정 수면 추적 기능만 사용하고 있습니다. 3개월 정도 사용해본 소감을 아래와 같이 짧게 남겨봅니다. 1. 우선 아이폰과 워치의 수면 추적 기능은 2가지 조건이 만족되어야만 추적이 됩니다. 첫번째는 수면 모드가 활성화되어야 하고 두번째는 최소한 4시간 이상 수면을 취해야 합니다. 때문에 4시간 이하로 수면을 취하는 낮잠과 같은 경우에는 추적이 되지 않습니다. 이게 문제가 되는 경우는 자다가 중간에 깨었다가 다시 잠이 드는 경우 그 시간이 적어도 2시간 이상은 되어야 연속으로 수면 추적이 됩니다.  그러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