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murianwind의 트위터 - 2010년 03월 23일

  • 재정적자는 ‘만악의 근원’이 아니다 http://bit.ly/cDSoXg(twi2me) 2010-03-23 10:00:49
  • 앰네스티 사진 속의 노신사, 드디어 찾았습니다 http://bit.ly/bi6xND(twi2me) 2010-03-23 10:00:50
  • Agile Documentation: Is There Clarity? http://bit.ly/c9fDKU(twi2me) 2010-03-23 10:00:50
  • 5월 29일 열리는 SW Testing Camp에도 모두 모두 관심과 열정을 모아줍시다. 우리 나라에 테스팅의 붐을 일으켜보아요.. ~~ http://is.gd/aO39o http://bit.ly/cgpdlI(twi2me) 2010-03-23 10:00:51
  • 독일정부 FireFox 사용하지 말 것을 권고 http://bit.ly/b0ZEqa(twi2me) 2010-03-23 10:30:53
  • 보안에 관심은 많지만 의욕만 앞서는 테스터입니다. 전 하드웨어적인 보안보다는 사람과 소통하는 보안에 더 관심이 많습니다. 신뢰와 보안 그리고 사용성의 관계를 늘 고민하는 테스터입니다. http://bit.ly/bKaZDf(twi2me) 2010-03-23 10:30:53
  • Certified Scrum Developer — Really? http://bit.ly/cL2wOT(twi2me) 2010-03-23 10:30:54
  • [테스팅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murianwind의 트위터 - 2010년 3월 23일 http://goo.gl/fb/2Qs2(twi2me) 2010-03-23 10:30:54
  • Why UX is really just good marketing - 52 Weeks of UX http://goo.gl/hq79(twi2me) 2010-03-23 10:45:57
  • 진리를 넘어… 카카오톡(kakao talk) http://bit.ly/cXdDWZ(twi2me) 2010-03-23 11:01:11
  • 구글차이나 결국 검열 거부…홍콩으로 포워딩 시작 http://bit.ly/afTO64(twi2me) 2010-03-23 11:01:11
  • [테스팅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테스팅에 관심있는 트위터 1만명 사귀기 - 그룹팔로우 http://goo.gl/fb/4gwq(twi2me) 2010-03-23 11:01:12
  • 몰랐는데 t2b 서비스가 중단되었네요. 해당 서비스 페이지는 존재하지만 로그인 자체도 안되네요. 다시 가입해야하는걸까요? 기존 가입자들에게 먼가 공지라도 있었으면 좋겠는데.. 흠..(twi2me) 2010-03-23 11:15:58
  • 제 구형 손전화기에서는 미투데이에서 제가 쓴 글은 보이지만 제가 구독하는 글은 안보이네용.. 좋다 말았어..ㅠㅠ 2010-03-23 11:27:56
  • LGT는 투넘버서비스라고 비싼돈 쳐먹으면서 뭐하나 제대로 서비스해주는건 없다. 필요에 의해 쓰고 있지만 정말 열불 뻗친다. 몇번이고 고객센터에 컴플레인 해보았지만 억울하면 쓰지마라. 본사 지침이다. 이 앵무새들…(twi2me) 2010-03-23 11:30:58
  • 오늘따라 왜 이렇게 스팸 문자가 많이 오는건지.. 저주의 LGT(twi2me) 2010-03-23 11:30:58
  • [테스팅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구글 버즈와 트위터에 대한 단상 http://goo.gl/fb/sLfA(twi2me) 2010-03-23 12:00:45
  • 세상을 보는 검은 눈, Skyjet : 다음커뮤니케이션, 웹툰에서 출판 만 http://skyjet.textcube.com/334(twi2me) 2010-03-23 12:31:34
  • 하라군의 세상 : 애니메이션 세계의 컴퓨터들 http://harasworld.wo.tc/209(twi2me) 2010-03-23 12:31:34
  • 일상에서 느낄수 있는 모든 것에 대한 이야기 : 야간택시 기사님 http://youngminc.com/913(twi2me) 2010-03-23 12:31:35
  • 음력은 지원하지 못하기 때문에. 캔슬.. RT ryueyes11님: 트위터 친구간에 생일을 축하해 줄 수 있는 확장사이트 TwitBrithdays.com 소개 http://bit.ly/bicnDQ #tb_twitter(twi2me) 2010-03-23 13:15:53
  • 우리는 왜 알기쉽고 이해하기 쉬운 것을 저급하다 말하는 것일까?(twi2me) 2010-03-23 13:15:54
  • 저도 제 블로그의 팬페이지를 페이스북에 개설했습니다. 많은 분들이 팬이 되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http://bit.ly/cVjGHp(twi2me) 2010-03-23 13:15:54
  • RT drchoi님 DRCHOI BLOG :: 페이스북(facebook)에 블로그 공식 팬 페이지 개설하는 방법. http://bt.io/EivN(twi2me) 2010-03-23 13:15:55
  • 가까운 미래에는 어쩌면 해리포터에서 나오는 그런 신문이 가능해질지도.. 각자 자신의 e-링크 단말을 가지고 다니다 지하철이나 버스정류장에서 최신의 소식을 그때 그때 다운로드 받아서 보게될지도..(twi2me) 2010-03-23 13:30:46
  • 스마트폰과 RSS 전체공개 http://bit.ly/9bpRUD(twi2me) 2010-03-23 14:15:51
  • 안녕하세요. 변방의 테스터입니다. 정보는 언제나 환영합니다. http://bit.ly/cCyi0d(twi2me) 2010-03-23 14:45:56
  • 트위터나 야머를 사용해서 테스트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시도를 해보는 것도 재미있을 듯.. 흠…(twi2me) 2010-03-23 14:45:56
  • 제약이론에 대해 관심을 자기고 같이 스터디를 하실 분들은 가입해 주세요. http://bit.ly/dwIxmM(twi2me) 2010-03-23 14:45:57
  • 테스팅에 관심있는 트위터 1만명 사귀기 현재 가입이 되는 것 같습니다. 가입하실 분은 가입해 보세요. http://bit.ly/cgpdlI(twi2me) 2010-03-23 14:45:57
  • 그룹 목표인 1만 트위터는 상징적인 목표로 가져가야할듯.. 300명이 모두 차면 1번 그룹, 2번 구룹 이런식으로 나눠야 할려나? 300명 채우면 좋겠네요.. http://bit.ly/cgpdlI(twi2me) 2010-03-23 15:00:46
  • Follower를 늘리기위한 무분별한 개설, 가입을 방지하고자 최근 24시간동안 2개의 그룹에 가입할 수 있으며, 그룹의 최대허용 회원수는 그룹내에서 작성한 트윗수의 1/2 입니다. 그룹최고 회원수는 300명 입니다. 라고 공지에 떳네요.(twi2me) 2010-03-23 15:00:47
  • 지금 현재 2분의 추가 가입을 받을 수 있습니다. 가입하신 분들은 승인이 되시고 나면 꼭 가입 인사를 그룹창에서 남겨주시면 다른 분들이 편안하게 가입하실 수 있으실것 같습니다. http://bit.ly/cgpdlI(twi2me) 2010-03-23 15:00:47
  • 트윗 2개당 1명의 추가 가입자를 받을 수 있다는 결론이군요.. 그렇다면 이 트윗으로 1명의 추가 가입자를 더 받을 수 있게 되는걸까요? http://bit.ly/cgpdlI(twi2me) 2010-03-23 15:00:48
  • 그 사이에 또 공지가 바뀌고 있네요. 이 그룹의 최대허용 회원수는 15명(트윗수 * 1/2) 입니다. 그룹내에서 트윗을 많이 작성할수록 최대허용회원수는 올라갑니다. 라고 합니다 흠.. http://bit.ly/cgpdlI(twi2me) 2010-03-23 15:00:48
  • 당분간 트윗은 이곳에 적고 올라오는 트윗들은 믹세로를 통해서 보는 이중 생활을 해야할것만 같은.. http://bit.ly/cgpdlI(twi2me) 2010-03-23 15:00:49
  • 그런데 도데체 얼마나 트윗을 적어야 최대허용회원수가 올라갈가요? 이래저래 안내가 부족하고 정보를 어디서 긁어와야 할지 알수가 없네요.. http://bit.ly/cgpdlI(twi2me) 2010-03-23 15:00:49
  • 이미 가입하신 분들이 그룹 페이지로 오셔서 트윗을 좀 많이 해주셔야 다른 테스팅에 관심을 가지고 계신 분들이 가입을 할 수 있겠습니다. 가입을 원하시는 분들도 오셔서 트윗을 보태주세요.. http://bit.ly/cgpdlI(twi2me) 2010-03-23 15:00:50
  • 테스트 계정으로 확인 결과 이 그룹의 최대허용 회원수는 10명입니다. 그룹내에서 트윗을 많이 작성할수록 최대허용회원수는 올라갑니다. 라고 하는 군요. http://bit.ly/cgpdlI(twi2me) 2010-03-23 15:00:50
  • http://is.gd/aLtea ISTQB Advanced Level 과 Expert Level Syllabus 문서를 번역하고 스터디하실 분을 찾습니다. 중도에 포기 없이 꾸준이 하실 수 있는 분을 찾습니다. http://bit.ly/cgpdlI(twi2me) 2010-03-23 15:15:52
  • [Transmind 이일준] 사람은 왜 인정받고 싶어 하는가? (인정받고 싶은 욕구 - 인정 욕구) http://bit.ly/auEIVb(twi2me) 2010-03-23 15:46:05
  • 매일 400m 높이의 줄을 타고 학교가는 9살 소녀 http://bit.ly/cMGYyz 우리나에 오시면 유격장 조교로 뛰실 기세..(twi2me) 2010-03-23 16:16:02
  • 헉.. 순식간에 최대허용회원수가 1분 남았네요.. 모두들 그룹 창에 트윗 좀 올려보아요.. ^^ http://bit.ly/cgpdlI(twi2me) 2010-03-23 16:16:03
  • 과학이라믄 말 대신 격물학이라는 용어가 더 많이 사용되면 좋겠다..(twi2me) 2010-03-23 16:16:03
  • 1980년의 20GB 스토리지 vs 2010년의 32GB 스토리지 http://bit.ly/c4z0WW(twi2me) 2010-03-23 16:30:52
  • UX디자인차트 - 유져의 경험중심 VS 기능중심 http://bit.ly/cztr5F(twi2me) 2010-03-23 16:45:52
  • “이명박 대통령 2주 연속 상승, 48%” http://bit.ly/6keLOa 역시 현실과 트위터에서 본 세상은 틀리다는..(twi2me) 2010-03-23 17:00:45
  • 그룹 팔로우는 단순히 팔로우를 늘리기보다는 관심이 있는 사람들끼리 모여서 새로운 리스트를 만드는 것에 더 초점을 맞추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twi2me) 2010-03-23 17:00:45
  • 그런데 실제적으로 현업에서는 가장 필요없는 얘기이기도 합니다. 현업에서 가장 목타는 것은 당장 테스팅을 어떻게 수행할 것이냐는 문제겠죠..(twi2me) 2010-03-23 17:15:49
  • 제가 쓰고 있는 블로그도 실제적으로 테스팅을 어떻게 수행해야하는지 기법이나 도구 사용법에 대한 얘기는 거의 없습니다. 거의 모든 포스트들이 프로세스 구축, 일정 추정, 정책 및 전략에 대한 얘기들입니다.(twi2me) 2010-03-23 17:15:50
  • 저는 대체로 테스팅을 어떻게 하느냐에 대한 얘기보다는 테스팅을 왜 해야하는냐에 좀 더 특화된 사람입니다. 정책 및 전략/전술 개발, 프로세스 구축 등이 제가 집중하는 분야입니다. 관련해서 궁금하신 분이 계시면 언제든지 질문과 토론은 환영합니다.(twi2me) 2010-03-23 17:15:50
  • 저는 사실 테스팅을 잘 알지 못합니다. 특히 테스팅을 어떻게 하느냐에 대한 물음에는 거의 쥐약입니다. 핑계를 댄다면 테스팅을 어떻게 하느냐는 정황과 상황에 따라 천차만별이기 때문입니다. 이 세상의 수많은 소프트웨어와 자동화 도구를 모두 알수는 없잖아요(twi2me) 2010-03-23 17:15:50
  • 그룹팔로우 서비스에 대한 트윗이 오고가면서 느낀 것이 최근에 트위터와 같은 SNS 서비스의 열풍이 한국에서 일어나는 원인으로는 빨리빨리 문화와 인맥, 학연, 지연으로 얽힌 사회구조가 한몫을 하는거라는 생각이 드네요..(twi2me) 2010-03-23 17:15:51
  • 에버노트가 원노트처럼 잉크 노트에 타자를 칠 수 있다면 정말 저도 주변에 미친듯이 소개할텐데 가장 아쉬운 기능 중 하나..(twi2me) 2010-03-23 17:15:51
  • 그룹팔로우에 가입을 신중히 생각해야할 것 같습니다. 만약 잘못 가입했다면 그 많은 사람들을 어떻게 언팔로우 할 것인지 고민해봐야할듯..(twi2me) 2010-03-23 17:30:48
  • 트위터에서 제약이론에 대한 얘기를 하게 된다면 어떤 얘기가 좋을까요? 흠…. http://bit.ly/dwIxmM(twi2me) 2010-03-23 18:15:51
  • 옆에서화상통화로수화로통화하시는분이계시네요영상통화비쌀텐데웬지모르게기술이발전해줘서다행이다라는생각이들었습니다(me2mobile 수화 화상통화) 2010-03-23 18:31:46
  • 제손전화는구형이라서띄어쓰기엄청불편하네요그럼에도불구하고이무슨짓거리인지그래도잼나요(me2mobile) 2010-03-23 18:34:02
  • 배고프네요집에전화해서오늘의메뉴를물어봐야겠네요(me2mobile 오늘의메뉴) 2010-03-23 18:35:40
  • [테스팅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초우량기업들의 경영혁신 200년 http://goo.gl/fb/50xd(twi2me) 2010-03-23 21:45:49
  • [테스팅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표준에 대한 단상 http://goo.gl/fb/R0Ew(twi2me) 2010-03-23 22:16:30
  • 패턴 테스팅은 호불호가 갈리는 테스팅 방법론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반대 입장입니다. 득보다 실이 많다는 것이 제 생각입니다.(twi2me) 2010-03-24 00:02:48

이 글은 murian님의 2010년 3월 23일에서 2010년 3월 24일까지의 미투데이 내용입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스위치봇 & 스위치봇 허브 미니 간단 사용기

제 블로그에 예전부터 오셨던 분들은 제가 사브작 사브작 홈 오토메이션을 어설프게 해온 것을 아실겁니다. 작년부터 너무 하고 싶었던 도어락 자동화에 도전해봤습니다. 우리 나라에 자체 서비스로 앱을 통해 도어락을 제어하는 제품은 꽤 있습니다. 게이트맨도 있고, 키위도 있고, 삼성도 있죠.. 그런데.. 전 그것보다 구글 어시스턴트를 지원하는 도어락이 필요했는데... 그런건 안만들더라구요.. 꼭 필요한건 아니지만 웬지 해보고 싶은데... 언제 제품이 출시될지도 몰라서.. 가능한 방법을 찾아보다가.. 스위치봇이라는 제품으로 도어락을 버튼을 꾹 누르는 방법을 찾아서 스위치봇이 직구가 아닌 국내에 출시되었길래 낼름 구매해서 도전해봤습니다. 스위치봇 제품에 대한 내용이나 구매는  https://www.wakers.shop/  에서 하시면 됩니다. 저는 스위치봇에 스위치봇을 구글 홈에 연결시키기 위해 스위치봇 허브 미니까지 구매했습니다. 스위치봇 허브 미니가 없으면 스위치봇을 외부에서 제어하거나 구글 홈에 연결할 수 없습니다. 그리고 제가 스위치봇 허브 미니를 구매한 이유 중 다른 하나는 이 제품이 RF 리모컨 기능이 지원됩니다. 집에 있는 모니터를 제어할 필요가 있어서 이참 저참으로 같이 구매했습니다. 제품 등록은 어렵지 않습니다. 여기서는 스위치봇 허브 미니에 RF 리모컨을 등록해서 구글 어시스턴트로 제어하는 방법을 소개해드릴까 합니다. 제가 스위치봇 허브 미니로 모니터를 제어하고 싶었던 부분은 컴퓨터에서 크롬캐스트로 외부 입력을 때에 따라 바꿔야 하는데.. 그때마다 리모컨을 찾는게 너무 불편해서였습니다.  어차피 리모컨은 외부 입력 바꿀 때 빼고는 쓸 일도 없는지라.. 매번 어디로 사라지면 정말 불편해서 이걸 자동화 하고 싶었습니다. 그런데, 처음에 스위치봇 허브 미니를 등록하고 여기에 리모컨을 등록하니.. 구글 홈에 등록된 리모컨이 자동으로 등록이 됩니다. 그런데, 등록된걸 확인해보니 전원 On/Off만 제어되는 것이고, 나머지 버튼은 구글 홈...

코디에서 클라우드 저장소 연동해서 비디오 라이브러리 생성하기

저희 집에는 TV가 없습니다. 모니터만 있지요.. 몇년 전까지만 해도 IPTV를 이용했지만.. 자주 보는 것도 아니고.. 비용도 비용인지라.. 그냥 TV를 없앴습니다. 사실은 기레기 시키들 보기 싫어서 KBS 수신료 내는거 싫어서 그냥 TV를 없애버렸습니다. 대신에 스마트폰에서 OTT 서비스 실행해서 크롬캐스트로 전송해서 보고 싶은 프로그램만 봤었는데 슬슬 불편해서 고민고민하다 그냥 질렀습니다. TV 보는 것도 불편했지만 다른 이유는 PC에 저장된 동영상을 보고 싶을 때 매번 PC를 켜야하는 것도 불편하더라고요. 저희 집 컴이 이제 10년이 넘어서.. 부팅 부터가.. ㅠㅠ 그래서 오피스 365 월결제를 끊으면 원드라이브 1테라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원드라이브에 제가 가지고 있는 영화 200여편을 몽땅 올렸는데.. 원드라이브에 있는 영화를 스마트폰에서 실행해서 크롬캐스트로 전송하는 것도 불편하더군요. 어쨌든 이런 저런 이유로 너무 불편해서.. 지금은 사라진 TELEBEE 의 미박스 3에 글로벌 롬을 올려서 싸게 판다는 정보를 입수하고 그냥 질렀습니다. 싸다고 하는데 싼지는 모르겠지만.. 크롬캐스트 울트라보다는 싸더라구요. 넷플릭스를 이용하지는 않지만 조건만 맞으면 4K도 재생되고 국내 AS도 된다고 해서 질렀습니다. 관련 정보는 네이버 카페 [Eddy Lab] UHD 미니 PC 포럼 에서 보실 수 있고, 지금도 구매가 가능한지는 모르겠지만 MiBox3-EddyLab 에디션 안드로이드 셋탑 에서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안드로이드 셋탑은 질렀는데.. 국내 IPTV처럼 친절하게 설정되어 있는 셋탑이 아닌지라 처음 켜보고 뭐부터 해야할지 참 막막하더라구요. 우선은 중요한건 TV를 편하게 보고 싶은것과 원드라이브의 영화를 편하게 감상하는 것이기 때문에 여기에 중점을 두고 네이버 카페와 구글을 하염없이 떠돌아다녀보니.. 코디라고 하는 앱이 가장 정보가 많다는 것을 알게되었습니다. 그래서 우선 무작정 코디를 설치했습니다. 코디...

프로젝트의 3요소 - Project Management

프로젝트는 예산, 일정, 품질 3가지 요소로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물론 위 3가지 요소 외에도 개발 범위, 팀워크, 자원 조달 등 여러가지 요소들도 고려해 볼 수 있지만, 가장 중요한 요소를 꼽는다면 예산, 일정, 품질일 것이다. 위에서 말한 여러가지 요소들은 프로젝트를 계획하여 완료하는 순간까지 복합적으로 작용해서 프로젝트의 성과를 제한하게 된다. 위의 요소들을 잘 통제한다면 성공적인 프로젝트가 되는 것이고 그렇지 못한다면 실패하거나 사라지게 될 것이다. 프로젝트 관리란 그런 면에서 제한된 자원을 가지고 목적한 바를 제한된 기간내에 최소의 비용으로 완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을 도식화 한다면 아래와 같은 그림으로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위의 그림에 보는 것처럼 일정과 품질, 예산은 우리의 프로젝트가 목적하는 바를 달성하도록 하기 위해 상호 연관되어 작용하게 된다. 우리가 접하게 되는 많은 방법론들의 가정에는 위의 요소들을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에 대한 기본적인 가정들이 설정되어 있다. 조직에서 어떤 특정한 방법론을 도입한다는 것은 그런 가정에 동의하는 것이고 그러한 철학을 받아들인다는 것이기 때문에, 방법론을 채택하기 전에 조직의 근본 문제와 문화에 대해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그리고 위의 요소들 외에 고려해 볼 사항은 위의 요소들은 변동성과 불확실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비용과 예산, 목적은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가변할 가능성이 매우 큰 요소들이다. 대부분의 방법론은 이러한 변동성에 대한 안전장치들을 가정해서 세워져 있다. 변동성의 측면에서 위의 요소들을 다시 살펴본다면 아래와 같이 가정할 수 있다. 위의 그림을 일부 해석해 본다면 일정이 늘어난다면 비용은 늘어나게 된다. 범위가 변경되어도 비용은 늘어나게 된다. 범위와 일정은 상호 의존적이 된다. 만약 위 3가지 요소의 변동성을 통제하지 못하게 된다면 프로젝트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