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테스팅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murianwind의 트위터 - 2010년 01월 24일 http://goo.gl/fb/Vfi9 - 0:11 #
- 추억의 윈도우 3.11을 체험해 보세요 http://bit.ly/4KQpo2 - 7:32 #
- Learn By Project : 시즌 2를 시작합니다 http://bit.ly/7SKBFY - 7:34 #
- UX Camp 트위터 계정이 오픈되었습니다. @uxcampseoul 모두 Follow 하세요.. - 7:37 #
- 일관성 http://bit.ly/5i43hs - 14:19 #
- [경험담] 워크샵에서 '비상식회의' 진행하기 http://bit.ly/6JiEIp - 14:23 #
- 트위터로 용돈 벌어 보실래요? http://bit.ly/89U4im - 14:24 #
- Testing hierarchy http://bit.ly/5h5kUf - 14:24 #
- 졸리와 피트의 이혼설, 그리고 조니뎁. http://bit.ly/6aLEri - 14:36 #
- 네트워크 연결 브리지를 통해 한 컴퓨터에서 2개의 네트워크 사용하기 http://bit.ly/5x32YH - 15:26 #
- 다양한 스마트폰을 지원하는 자동 동기화 웹하드 서비스 - SugarSync http://bit.ly/7NpIXZ - 15:46 #
- 워크샵 와서 일하고 있습니다. 한때 700 방점을 찍었던 followers 분들이 680대로 주저않았네요.. 계속 줄어들고 있는데.. 이유를 모르겠군요.. ㅡㅡ 그나저나 following 분들은 언제 367분이나 되었던 것일까요? - 15:47 #
- 제가 following 하시는 분들을 보니 봇을 제외하고 매일 1분씩만 만난다 해도 1년은 만나야 할 숫자가 되었네요.. - 15:47 #
- 넷북, 가상화, 웹프로그램에 의해 변화하는 윈도우OS http://bit.ly/5l53td - 17:15 #
- 삼성이 바다를 출시해서는 안되는 이유 http://bit.ly/6qORwq - 17:17 #
- 달라진 모습의 윈도우용 에버노트 3.5 버젼 릴리즈 http://bit.ly/5hvdnn 잉크 노트에 텍스트 입력하는 기능을 바랬었는데 여전히 안되네요.. 아쉽다는.. - 19:2 #
- 작업전환(task-switching)의 비용 http://bit.ly/6nUyPI - 20:21 #
- 한참을 쉬었다 다시 컴백.. http://bit.ly/5QIrwR - 20:51 #
- @gedwarp_Hyungil 제가 읽어서 이해하기로는 페차쿠차와는 조금 틀린듯 하고 실제로 ㅣ런 회의를 기획한다는 거 자체가 엄청난 용기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 20:52 #
- 저녁 먹구 또다시 열심히 회의 모드.. 집에서 감기로 골골거리고 있을 아내 걱정에 머릿속은 다른 세상.ㅡㅡ - 20:54 #
- @Kuwolsan 죽전역으로 이사하시거나 건강을 위해 걸어보시는 것이 좋은 해결책인것 같습니다. 흐흐흐... - 20:56 #
- @uxcampseoul 혹시 어떤 실제 사례라 경험이 아니라 그냥 제가 고민하고 있는 컨셉에 대한 발표도 괜찮을까요? 현재 소원의 나무라는 것을 구상중인데.. 공유해보고 싶습니다. - 20:59 #
- @uxcampseoul 저는 수요일까지 워크샵이라 두번째 모임에도 웬지 참석하기 힘들것 같습니다. 아.. 이거 자꾸 빠지면 안되는데요.. 큰일났네요.. 전 현장 지원쪽으로 빠져야 할까요? 명함 나눠주고 등록 받고.. 그런거 해야할듯.. - 21:1 #
- @Kuwolsan 가장 좋은 것은... 종점으로 이사가시면 해결될듯 합니다. - 21:10 #
프로젝트는 예산, 일정, 품질 3가지 요소로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물론 위 3가지 요소 외에도 개발 범위, 팀워크, 자원 조달 등 여러가지 요소들도 고려해 볼 수 있지만, 가장 중요한 요소를 꼽는다면 예산, 일정, 품질일 것이다. 위에서 말한 여러가지 요소들은 프로젝트를 계획하여 완료하는 순간까지 복합적으로 작용해서 프로젝트의 성과를 제한하게 된다. 위의 요소들을 잘 통제한다면 성공적인 프로젝트가 되는 것이고 그렇지 못한다면 실패하거나 사라지게 될 것이다. 프로젝트 관리란 그런 면에서 제한된 자원을 가지고 목적한 바를 제한된 기간내에 최소의 비용으로 완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을 도식화 한다면 아래와 같은 그림으로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위의 그림에 보는 것처럼 일정과 품질, 예산은 우리의 프로젝트가 목적하는 바를 달성하도록 하기 위해 상호 연관되어 작용하게 된다. 우리가 접하게 되는 많은 방법론들의 가정에는 위의 요소들을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에 대한 기본적인 가정들이 설정되어 있다. 조직에서 어떤 특정한 방법론을 도입한다는 것은 그런 가정에 동의하는 것이고 그러한 철학을 받아들인다는 것이기 때문에, 방법론을 채택하기 전에 조직의 근본 문제와 문화에 대해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그리고 위의 요소들 외에 고려해 볼 사항은 위의 요소들은 변동성과 불확실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비용과 예산, 목적은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가변할 가능성이 매우 큰 요소들이다. 대부분의 방법론은 이러한 변동성에 대한 안전장치들을 가정해서 세워져 있다. 변동성의 측면에서 위의 요소들을 다시 살펴본다면 아래와 같이 가정할 수 있다. 위의 그림을 일부 해석해 본다면 일정이 늘어난다면 비용은 늘어나게 된다. 범위가 변경되어도 비용은 늘어나게 된다. 범위와 일정은 상호 의존적이 된다. 만약 위 3가지 요소의 변동성을 통제하지 못하게 된다면 프로젝트는...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