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테스팅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murianwind의 트위터 - 2010년 02월 23일 http://goo.gl/fb/1Kqj - 0:29 #
- Right-click Extender for Windows 7 adds useful options to your context menu http://bit.ly/ctDTby - 7:5 #
- [포롤] 8. 트위터 탐구생활 -고수편- http://bit.ly/a0OjEQ - 13:35 #
- @2hmhm @tedpark @flowerdjeon1 @colt532 마트는 홈플러스로만 가야하는건가요? - 13:54 #
- 조선일보식 나라망신과 오션스 일레븐 http://bit.ly/dr3MB6 - 14:54 #
- 1등 이승훈선수를 번쩍 들어올린 아름다운 2.3등 http://bit.ly/9t075I - 14:55 #
- RT @TOCGoldratt: Theory of Constraints News #TOC Weekly No. 17 - http://us1.campaign-archive.com/?u=48c90b4dd5f1fd2b8a8c3bd58&id=fc38797a97 - 14:59 #
- 지도 정보로 링크를 해주었으면 더 좋았을듯.. 그래도 정말 대단.. RT @5foe: 대단합니다.....^^ RT @_nu !! RT @terestra: 맛대맛총정리 구글 DOC 공유 ~! http://bit.ly/dfxL0N - 15:11 #
- 인터넷에 떠돌던 고모의원 짤방 밑의 댓글 압권.. 서울 양재동 ‘시민의 숲’의 이름을 윤봉길 의사의 호를 따 '매헌공헌'으로 바꾸려 하자 그 지역의 지역구 국회의원인 고모모 한나라당 의원과, 관할 지자체인 서초구가 제동을 걸고 나선 것으로 확인됐다. - 15:35 #
- @HRG @UXCampSeoul 샴페인은 나중에..... - 15:40 #
- 마루날의 雜學辭典|잡학사전 :: 트위터 1월 통계 - tweetrend.kr http://ithelink.net/648 - 15:52 #
- 트위터 사용법-트위터 통계로 계정을 분석하고 살펴볼수 있는 Twitter Analyzer, TweetStats http://bit.ly/9lz7hf - 16:0 #
- @bbjoony 저는 품질이라는 말보다는 회사의 가치라는 말을 더 좋아합니다. - 16:34 #
- 웹2.0을 다시 생각하며 http://bit.ly/9oi2Em - 16:35 #
- 텍스트큐브닷컴 블로그에 구글 버즈 공유 버튼 추가하는 방법에 대해 아시는 분은 정보 좀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부탁드립니다. - 17:15 #
- @hegler02 되는게 없네용.. 첫페이지에서 트위터 버튼도 작동 안하는 마당에. 킁.. - 17:26 #
- @productionkim Nice!! ㅡㅡ 삼가 조의를... - 17:57 #
- @bbjoony 요즘은 딱 부러지게 블랙박스, 화이트박스로 구분하지 않고 기능, 비기능과 같이 나누기도 하죠.. 관련해서 저도 글 한번 써야하나? - 18:21 #
- @productionkim 형상관리를 하지 않은 것일뿐.. 과연 어느것이 최신 빌드일까요? - 18:23 #
- 여기저기 까이는 IE6.. 과연 웹표준때문에 까이는 걸까요? 아니면 여타 브라우저 벤더들이 마이크로소프트의 브라우저 영향력을 약화시킬 목적으로 벌이는 상황극일까요? 진실은 어디에? - 18:24 #
프로젝트는 예산, 일정, 품질 3가지 요소로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물론 위 3가지 요소 외에도 개발 범위, 팀워크, 자원 조달 등 여러가지 요소들도 고려해 볼 수 있지만, 가장 중요한 요소를 꼽는다면 예산, 일정, 품질일 것이다. 위에서 말한 여러가지 요소들은 프로젝트를 계획하여 완료하는 순간까지 복합적으로 작용해서 프로젝트의 성과를 제한하게 된다. 위의 요소들을 잘 통제한다면 성공적인 프로젝트가 되는 것이고 그렇지 못한다면 실패하거나 사라지게 될 것이다. 프로젝트 관리란 그런 면에서 제한된 자원을 가지고 목적한 바를 제한된 기간내에 최소의 비용으로 완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을 도식화 한다면 아래와 같은 그림으로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위의 그림에 보는 것처럼 일정과 품질, 예산은 우리의 프로젝트가 목적하는 바를 달성하도록 하기 위해 상호 연관되어 작용하게 된다. 우리가 접하게 되는 많은 방법론들의 가정에는 위의 요소들을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에 대한 기본적인 가정들이 설정되어 있다. 조직에서 어떤 특정한 방법론을 도입한다는 것은 그런 가정에 동의하는 것이고 그러한 철학을 받아들인다는 것이기 때문에, 방법론을 채택하기 전에 조직의 근본 문제와 문화에 대해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그리고 위의 요소들 외에 고려해 볼 사항은 위의 요소들은 변동성과 불확실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비용과 예산, 목적은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가변할 가능성이 매우 큰 요소들이다. 대부분의 방법론은 이러한 변동성에 대한 안전장치들을 가정해서 세워져 있다. 변동성의 측면에서 위의 요소들을 다시 살펴본다면 아래와 같이 가정할 수 있다. 위의 그림을 일부 해석해 본다면 일정이 늘어난다면 비용은 늘어나게 된다. 범위가 변경되어도 비용은 늘어나게 된다. 범위와 일정은 상호 의존적이 된다. 만약 위 3가지 요소의 변동성을 통제하지 못하게 된다면 프로젝트는...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