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테스팅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murianwind의 트위터 - 2010년 02월 02일 http://goo.gl/fb/xzbL - 0:11 #
- 하라군의 세상 : Windows 7 대학생 할인! http://bit.ly/bxyvMu 이런 행사를 보면.. 대학생 후배 하나 제대로 사귀어두지 못한것이 한스러울 뿐입니다. 크헉... 누가 저 대신 질러주시면 좋을텐데.. 커미션 돌라고 하겠죠.. - 5:32 #
- 아쿠아테라의 UX세상 : 서지수가 가진 것들과 가지지 못한 것들 http://bit.ly/bCAlLJ 이분.. 아직 은퇴 안하셨군요.. 커흑.. - 5:36 #
- 보라빛비가 내리는 숲속에 : 혁신과 UX http://bit.ly/9zhGlh - 5:38 #
- iPad User Experience Guidelines http://bit.ly/dAVwnS - 5:44 #
- HTML5의 모든 것 http://bit.ly/cXvpcz - 10:59 #
- [스크랩] UX 분야의 선구자들 http://bit.ly/b39PN2 - 11:1 #
- 회사가 원하는 직급별 인재상 http://bit.ly/9k2OL2 - 11:1 #
- Prologue: 심리학에 대한 오해, 독심술이나 철학이 아닙니다. http://bit.ly/bIrmsI - 11:1 #
- 어도비 에어 2.0 베타 2 공개 http://bit.ly/df9V5M - 12:22 #
- 구글 태블릿 vs. 아이패드 자존심 격돌 http://bit.ly/a4MF9L - 12:22 #
- 아이패드, 킨들, 그리고 돌덩이를 비교해보다!? http://bit.ly/9dZ3oD - 12:24 #
- Nexus One에서 멀티터치가 가능해지다. http://bit.ly/8ZvRJE - 12:24 #
- @oJangyeon 역량이 클 수 있는 사람을 뽑아 역량을 키워주거나 조직이 집중해야할 부분 외에는 포기하는 것이 현실적인 방법 아닐까요? - 12:27 #
- 애플-플래시-HTML5를 둘러싼 ‘갑론을박’ 관전법 http://bit.ly/bOBxAG - 17:36 #
- 주류 언론 외면한 '삼성을 생각한다', 누리꾼들이 판매 독려. http://bit.ly/chkTmW - 17:38 #
- 개인의 전문성과 조직의 지속가능성 http://bit.ly/9PaoUm 짧은 글로 제 생각을 말한다면 분수와 주제에 맞게 행동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17:45 #
- 바다소년의 세상바라보기 :: The First Android Phone MOTOROI in Korea By Motorola-국내 첫 안드로이 http://conshin.tistory.com/97 - 17:57 #
프로젝트는 예산, 일정, 품질 3가지 요소로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물론 위 3가지 요소 외에도 개발 범위, 팀워크, 자원 조달 등 여러가지 요소들도 고려해 볼 수 있지만, 가장 중요한 요소를 꼽는다면 예산, 일정, 품질일 것이다. 위에서 말한 여러가지 요소들은 프로젝트를 계획하여 완료하는 순간까지 복합적으로 작용해서 프로젝트의 성과를 제한하게 된다. 위의 요소들을 잘 통제한다면 성공적인 프로젝트가 되는 것이고 그렇지 못한다면 실패하거나 사라지게 될 것이다. 프로젝트 관리란 그런 면에서 제한된 자원을 가지고 목적한 바를 제한된 기간내에 최소의 비용으로 완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을 도식화 한다면 아래와 같은 그림으로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위의 그림에 보는 것처럼 일정과 품질, 예산은 우리의 프로젝트가 목적하는 바를 달성하도록 하기 위해 상호 연관되어 작용하게 된다. 우리가 접하게 되는 많은 방법론들의 가정에는 위의 요소들을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에 대한 기본적인 가정들이 설정되어 있다. 조직에서 어떤 특정한 방법론을 도입한다는 것은 그런 가정에 동의하는 것이고 그러한 철학을 받아들인다는 것이기 때문에, 방법론을 채택하기 전에 조직의 근본 문제와 문화에 대해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그리고 위의 요소들 외에 고려해 볼 사항은 위의 요소들은 변동성과 불확실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비용과 예산, 목적은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가변할 가능성이 매우 큰 요소들이다. 대부분의 방법론은 이러한 변동성에 대한 안전장치들을 가정해서 세워져 있다. 변동성의 측면에서 위의 요소들을 다시 살펴본다면 아래와 같이 가정할 수 있다. 위의 그림을 일부 해석해 본다면 일정이 늘어난다면 비용은 늘어나게 된다. 범위가 변경되어도 비용은 늘어나게 된다. 범위와 일정은 상호 의존적이 된다. 만약 위 3가지 요소의 변동성을 통제하지 못하게 된다면 프로젝트는...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