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테스팅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murianwind의 트위터 - 2010년 02월 16일 http://goo.gl/fb/wCHM - 0:31 #
- @OEHAN 고정관념이나 편견보다는 사람들이 기본적으로 학습되어 익숙해져 있는 관례적 형식을 이용한다고 합니다. 이건 양날의 검이죠.. 좋을 수도.. 나쁠 수도.. - 7:28 #
- @OEHAN 지역과 사회 국가에 따라 UI등이 틀려지는건 그 지역의 문화, 관습, 교육의 영향이 큽니다. 소프트웨어에 지역화 작업이 꼭 필요한 이유죠.. 구글도 예전보다는 한국 지역화에 많은 힘을 기울이고 있죠. - 7:30 #
- All the Smartphone OSes: A Beginners' Guide [Smartphones] http://bit.ly/dq6Gtd - 7:32 #
- Which Social Network Is Right For You? [Lifehacker Explains] http://bit.ly/cwfKns - 7:33 #
- 구글, 소셜검색 강화위해 아드바크(Aardvark) 인수 http://bit.ly/beMOhY - 7:34 #
- iPhone은 악성코드 발생이 불가능한 시스템인가? http://bit.ly/bBxrrw - 7:36 #
- 강남에 내과병원이 적은 이유는? http://bit.ly/ahb4Lo - 9:37 #
- Microsoft Cloud Conference http://goo.gl/vi2u - 11:24 #
- 새삼스러운 일도 아닌데요. 머.. RT @kiyong2: 왠지 이번 올림픽이 끝이나고 나서 선수들이 귀국을 하면 메달을 딴 선수와 따지 못한 선수들의 대접이 극과 극이 아닐까 한다. 늘그랬듯이... - 12:53 #
- 최근의 스마트폰 전쟁을 보면 이건 절대 사용자를 위한 전쟁은 아니다. 아이폰은 애플에 윈도폰은 MS에 안드로이드는 구글에 노예계약이나 다름없다. 플램폼위에 내가 원하는 것들로 마음껏 뛰놀 수 있는 그런 스마트폰은 나올 수 없는 것일까? 노키아는? - 12:56 #
- 최근의 모바일 플랫폼들이 공유와 상생 대신에 자기만의 생태계 구축에 올인하는데.. 지금은 좋아보일지 모르지만 조만간 개발사들의 모가지를 옥죌것이다. 증가하는 개발비 감당은 생각도 못하고 모바일의 세계로 가자고 부르짖는 이 상황이 매우 우습다. - 12:59 #
- 내가 가장 싫어하는 부류의 사람 중 대표적인 직군은 기자와 정치인이다.. 모든 사람이 그렇지는 않지만 지조와 절개는 없고 사기치고 몸싸움 하는데는 달인인.. 사람들이 너무 많다... - 13:6 #
- 오픈 API는 개방의 탈을 뒤집어쓴 또 다른 노예계약일 뿐이다... - 13:12 #
- 일반 기업의 분식회계도 별반 다를바 없는.. RT @euckr: RT: @mrtrendwatcher: [블로그]재정적자를 숨기는 방법, 월가에서 알려드립니다 http://durl.me/bh2q - 13:25 #
- 구글의 데이터와 페북의 사람.. 과연 승자는 누가 될까요? - 13:27 #
- 모든 것이 표준화 되어버린다면.. 그 다음에는 기업들은 무엇으로 먹고 살게 될까? - 13:28 #
- 이 세상의 모든 서비스는 어차피 사일로 효과에 따라 움직인다. - 13:33 #
- 내가 가지고 있는 소박한 꿈 중 하나는 나중에 돈 좀 모이면 국제 민박집 한번 해보는 것이다. 외국의 백패커들을 위한 민박집을 한번 해보고 싶다. - 13:34 #
- 탄신일 감축.. 드립니다. RT @xiyinghy: 생일생일~~추카해주세요오~~~ - 13:37 #
- 초기 스마트폰은 일정관리, 업무 관리와 같은 특정 기능에 특화된 단말기였다면 아이폰은 이것을 각종 앱을 자유자재로 쓸 수 있는 단말기라는 것으로 개념 자체를 바꾸어 버렸다. 그런데 솔직히 스마트폰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대답하기가 쉽지 않다. - 13:46 #
- @golbin 비쥬얼보다는 보여질 영상이 거의 인간의 한계를 시험하는 장면들 뿐이라서 혐오감이 들지도.. 무한 철야.. 무한 회의.. 감동도 없고 - 14:28 #
- @doax 삼성이라면 돈을 줘서 우선 바람잡이를 할만한 개발자들을 양성할 수도 있죠.. 언론 플레이까지 겹쳐준다면 금상첨화겠죠..ㅡㅡ - 14:29 #
- 머.. 이런 기사는 한두번 보는 것도 아니고.. RT @pr1vacy: 한국이 버린 천재 스케이터, 안현수 선수의 비극 http://j.mp/cWLMjz - 14:35 #
- @HyunYong @kwang82 애플은.. 꿈일듯.. - 14:37 #
- 윈도우 모바일 7이 하위호환성을 포기했다는 사실은 득이 될 것인가? 독이 될 것인가? 하위 호환성을 포기한다는 것은 모든 것을 처음부터 새로 쌓아야만 하는데.. 윈도이기에 가능해 보이는 것도 사실이다. 삐딱하게 바라보면 윈도의 오만처럼 보인다. - 15:4 #
- 우리는 수년 내로 정말로 궁극의 컴퓨터를 만날 수도 있다. 전원 걱정 없고 부팅 시간을 기다릴 필요도 없고 별다른 입력도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고 별다른 사용법을 배우지 않아도 된다. 어디서 많이 본 듯한 컴퓨터가 생각나지 않는가? - 15:7 #
- 저희 집은 공중파 방송을 보지 않고 IPTV만을 시청하고 있는데.. 이런 경우에도 KBS 시청료를 내야 하는 것인가요? - 15:22 #
- ㈜웨슬리퀘스트(www.wesleyquest.com)라는 컨설팅 회사가 유명한 회사인가요? TOC 컨설팅/ 생산혁신/ 경영전략 프로젝트 3년 이상 경력을 지닌 Senior 이상의 컨설턴트를 구하고 있습니다. 해당 되시는 분은 저에게 연락을.. - 15:44 #
- @Lovely_Kenneth 집.. 자동차.. 여자..돈... - 15:50 #
- 한국전력공사에 우리집 TV는 컴퓨터 모니터로 쓸 뿐 TV로 쓰지 않는다고 KBS 시청료 안내게 해달라고 떼써볼까? 킁.... - 15:52 #
- MyLGTV 구형 셋탑박스.. 소비자센터에 전화하면 신형으로 교체해줄까요? 큼.. 지금 알았는데.. 신형 셋탑박스는 디자인이 멋지구리 한데요.. - 15:53 #
- @Lovely_Kenneth 사는 것이 다 그래요.. - 15:53 #
- @premist @nowni 이건 안드로이드도 현재 마찬가지 상황 아닌가요? - 16:0 #
- @Lovely_Kenneth 제가 볼 책도 돈 없어 못보고 있습니다. 저도 맘 같아서는 선물 하나 해드리고 싶지만 제 목이 찢어질 지경입니다. 그 뒤에 미나 주임님 구글에 좀 들어와 달라고 해주세용.. ^^ - 16:1 #
- @cdecl @sewoosil 굳이 한국어로 번역하지 않아도 영어 원문쯤은 가뿐하게 읽을 수 있는 실력자들만 있기 때문인듯... - 16:40 #
- UX를 악용하여 낚시하는 UI를 너무너무 사랑하는 오픈마켓 http://bit.ly/9MaAiA - 17:32 #
- 결론은 미괄식으로.. RT @jwmx: 매우 잘 쓴 글 "MB정권이 노무현 대통령을 겨냥할 수 밖에 없는 이유" http://bit.ly/aHYupg - 17:41 #
- @jwmx 애플의 입장에서 본다면 자신들의 생태계를 파괴하는 바이러스는 퇴치하는게 당연한거겠죠.. - 17:56 #
- 그냥 백신이 필요없는 세상에 살고 싶다는 RT @HRG: 한국 MS에서도 내일 새벽 2시부터 가정용 무료 백신 배포 시작. 영국 PC Advisor 매거진에서 2010년 최고의 무료 소프트웨어로 꼽혔다는 그 프로그램. http://ow.ly/18a6P - 17:58 #
- 유럽은 스마트폰의 지배력을 어떻게 잃었는가 http://bit.ly/b2lqS6 - 21:15 #
프로젝트는 예산, 일정, 품질 3가지 요소로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물론 위 3가지 요소 외에도 개발 범위, 팀워크, 자원 조달 등 여러가지 요소들도 고려해 볼 수 있지만, 가장 중요한 요소를 꼽는다면 예산, 일정, 품질일 것이다. 위에서 말한 여러가지 요소들은 프로젝트를 계획하여 완료하는 순간까지 복합적으로 작용해서 프로젝트의 성과를 제한하게 된다. 위의 요소들을 잘 통제한다면 성공적인 프로젝트가 되는 것이고 그렇지 못한다면 실패하거나 사라지게 될 것이다. 프로젝트 관리란 그런 면에서 제한된 자원을 가지고 목적한 바를 제한된 기간내에 최소의 비용으로 완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을 도식화 한다면 아래와 같은 그림으로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위의 그림에 보는 것처럼 일정과 품질, 예산은 우리의 프로젝트가 목적하는 바를 달성하도록 하기 위해 상호 연관되어 작용하게 된다. 우리가 접하게 되는 많은 방법론들의 가정에는 위의 요소들을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에 대한 기본적인 가정들이 설정되어 있다. 조직에서 어떤 특정한 방법론을 도입한다는 것은 그런 가정에 동의하는 것이고 그러한 철학을 받아들인다는 것이기 때문에, 방법론을 채택하기 전에 조직의 근본 문제와 문화에 대해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그리고 위의 요소들 외에 고려해 볼 사항은 위의 요소들은 변동성과 불확실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비용과 예산, 목적은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가변할 가능성이 매우 큰 요소들이다. 대부분의 방법론은 이러한 변동성에 대한 안전장치들을 가정해서 세워져 있다. 변동성의 측면에서 위의 요소들을 다시 살펴본다면 아래와 같이 가정할 수 있다. 위의 그림을 일부 해석해 본다면 일정이 늘어난다면 비용은 늘어나게 된다. 범위가 변경되어도 비용은 늘어나게 된다. 범위와 일정은 상호 의존적이 된다. 만약 위 3가지 요소의 변동성을 통제하지 못하게 된다면 프로젝트는...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