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테스팅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murianwind의 트위터 - 2010년 02월 03일 http://goo.gl/fb/Fs8s - 0:8 #
- Cloud Computing and QA http://bit.ly/amfxC2 - 7:40 #
- 외상으로 책 사세요. http://bit.ly/94ifiV - 7:41 #
- 일은 아침부터가 아닌 전날 저녁부터 시작하는 생산성 향상을 위한 방법 http://bit.ly/bw4d92 - 7:50 #
- Do-Not-Do 하지않은 일 체크하기 http://bit.ly/9MerWK - 7:51 #
- Toward a better tablet OS, part 1 http://bit.ly/cZ4bU8 - 9:38 #
- Software Testing Quiz http://bit.ly/9J0yDw - 15:28 #
- 적분 푸는 법 좀 알려주세요. - 15:32 #
- (2x-3)dx를 1부터0 구간에서 적분하면 어떻게 풀어야할까요? - 15:46 #
- Microsoft 무료 유해 사이트 차단 Windows Live FSS http://bit.ly/djGdsg - 17:16 #
- STEN 광장 > 광고및 관련행사 소개 > 2월 23일 STEN 야간 세미나가 열립니 http://goo.gl/Qd1J - 18:18 #
- 인터넷전화 SSID, 'myLGnet'보다 'myLG070'이 더 심각하다 http://bit.ly/aKRSEu - 18:37 #
- 공학용 계산기를 빌리지 못해 내일 시험에는 미적분을 손전화 계산기로 풀어야 하려나 봅니다. 에휴..ㅠㅠ - 19:1 #
- 삼성에서 나온다는 국내 최초의 안드로이드폰...(국내 제작사 제작 기준으로..) SK향이군요.. 버림받은 LGT.. 저주받은 LGT .. 지금 기분이라면 삼성 제품이라도 살것만 같은. - 19:2 #
- 제 손전화가 드디어 사망 일보 직전입니다. 어제부터 액정 백화 증세가 나타나더니 오늘 진동 기능이 죽고 액정이 죽어버렸습니다. 수리를 해야할 것인지 아니면 그냥 써야 할것인지 심각하게 고민하고 있습니다. ㅠㅠ - 19:3 #
- @archjang 아직 살 수 있는 스마트폰도 없는데 고장나면 안되는 겁니다. 망할 LGT는 아직 스마트폰 출시하려면 반년은 더 기다려야할겁니다. ㅠㅠ - 19:7 #
- 미래를 예측하는데.. 현재의 기술은 족쇄다.. 미래를 예측하는 원동력은 소원을 비는 사람, 꿈을 꾸는 사람이다. 꿈은 이루어진다. - 19:8 #
- 난이도가 있다(X) 난이도가 높다(X) … 난이도는 일본말! http://bit.ly/caa29D - 19:44 #
- 미래의 이러닝을 위한 탈(脫)플래시 프로젝트 http://bit.ly/aiiUuN - 20:32 #
- SlingPlayer iPhone App Finally Allowed to Stream Video Over 3G [At&t] http://bit.ly/bAzBfl - 23:12 #
- 가벼운 백신 찾기 :: 속도 & 메모리 효율성 벤치마크 (106개 제품) http://bit.ly/czZSwQ - 23:24 #
프로젝트는 예산, 일정, 품질 3가지 요소로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물론 위 3가지 요소 외에도 개발 범위, 팀워크, 자원 조달 등 여러가지 요소들도 고려해 볼 수 있지만, 가장 중요한 요소를 꼽는다면 예산, 일정, 품질일 것이다. 위에서 말한 여러가지 요소들은 프로젝트를 계획하여 완료하는 순간까지 복합적으로 작용해서 프로젝트의 성과를 제한하게 된다. 위의 요소들을 잘 통제한다면 성공적인 프로젝트가 되는 것이고 그렇지 못한다면 실패하거나 사라지게 될 것이다. 프로젝트 관리란 그런 면에서 제한된 자원을 가지고 목적한 바를 제한된 기간내에 최소의 비용으로 완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을 도식화 한다면 아래와 같은 그림으로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위의 그림에 보는 것처럼 일정과 품질, 예산은 우리의 프로젝트가 목적하는 바를 달성하도록 하기 위해 상호 연관되어 작용하게 된다. 우리가 접하게 되는 많은 방법론들의 가정에는 위의 요소들을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에 대한 기본적인 가정들이 설정되어 있다. 조직에서 어떤 특정한 방법론을 도입한다는 것은 그런 가정에 동의하는 것이고 그러한 철학을 받아들인다는 것이기 때문에, 방법론을 채택하기 전에 조직의 근본 문제와 문화에 대해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그리고 위의 요소들 외에 고려해 볼 사항은 위의 요소들은 변동성과 불확실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비용과 예산, 목적은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가변할 가능성이 매우 큰 요소들이다. 대부분의 방법론은 이러한 변동성에 대한 안전장치들을 가정해서 세워져 있다. 변동성의 측면에서 위의 요소들을 다시 살펴본다면 아래와 같이 가정할 수 있다. 위의 그림을 일부 해석해 본다면 일정이 늘어난다면 비용은 늘어나게 된다. 범위가 변경되어도 비용은 늘어나게 된다. 범위와 일정은 상호 의존적이 된다. 만약 위 3가지 요소의 변동성을 통제하지 못하게 된다면 프로젝트는...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