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테스팅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murianwind의 트위터 - 2010년 02월 05일 http://goo.gl/fb/14Li - 0:19 #
- Google Apps highlights – 2/5/2010 http://bit.ly/dtxEjc - 6:15 #
- Toward a better tablet OS, part 2 http://bit.ly/aua3zE - 6:37 #
- 50 Free UI and Web Design Wireframing Kits, Resources and Source Files http://ff.im/-fsX1K - 6:38 #
- 점심 메뉴로 딱 좋은 맛있는 일본 라멘집 3곳 http://bit.ly/cgxsXv - 6:40 #
- Scrum Alliance -Can Scrum Support Six Sigma? http://bit.ly/cBNvSM - 10:24 #
- ATI + HD audio = BlueScreen 젠장... http://bit.ly/dBDMTy - 10:29 #
- @Neiras R&R 을 명확하게 하는 작업부터 할 것 같습니다. - 11:54 #
- @Neiras 저는 어느 경우든 상관이 없다고 봅니다. 중요한건 조직이 테스트를 먼저 생각하는가? 하지 못하는가? 라고 봅니다. - 13:27 #
- 현재 SSD 생산 업체 중 가장 신뢰할만한 업체가 어딘지 추천 좀 해주세요. 삼성은 빼고… - 14:43 #
- @HRG 저는 조만간 형태소 유추(반추) 검색의 신뢰도가 획기적으로 개산되어 검색엔진의 성능 기준이 될거라고 생각합니다. - 14:46 #
- Software tester Salary http://bit.ly/bnB87Y - 15:4 #
- @Lawyer_KOREA 전 태양열 반전보다 핵융합 발전에 전념하는게 더 낫다고 생각합니다. - 15:10 #
- 모토로이 출시하기도 전에 영상통화 가능한 삼성 안드로이드 단말기 떡밥은 그다지 좋을것 같지 않다. - 15:14 #
- 집중이란, “한 가지만 하는 것이다.” http://bit.ly/9dI71h - 15:33 #
- I just voted for http://tweetphoto.com/10546828 check it out! #TweetPhoto - 15:56 #
- 국내 최고의 소프트웨어 테스팅 컨설턴트이자 STA 컨설팅 대표이신 @imwonil 님이 트위터에 입성하셨네요. 많이 Follow 해주세요. - 22:30 #
- 오픈소스의 열렬한 지원자였던 SUN의 몰락을 지켜보는 마음이 참 씁쓸하다.. - 23:15 #
- 기업의 목적은 오늘도 내일도 모레도 지속적으로 돈을 벌어들이는 것이다. 하지만 그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지속적으로 유지되는것이다. 그것은 고객에 대한 신뢰의 문제이다. - 23:16 #
- 해와달이 사는 집 - 황실문화는 골동품 아닌 자산… 제대로 알리고파 http://bit.ly/dxpRUj - 23:40 #
- @2hmhm 오라클로 인수되었고 오라클은 오픈소스에 그리 열성적인 편은 아니니.. 어찌 보면 몰락이라고 볼 수도 있지 않을까요? - 23:45 #
프로젝트는 예산, 일정, 품질 3가지 요소로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물론 위 3가지 요소 외에도 개발 범위, 팀워크, 자원 조달 등 여러가지 요소들도 고려해 볼 수 있지만, 가장 중요한 요소를 꼽는다면 예산, 일정, 품질일 것이다. 위에서 말한 여러가지 요소들은 프로젝트를 계획하여 완료하는 순간까지 복합적으로 작용해서 프로젝트의 성과를 제한하게 된다. 위의 요소들을 잘 통제한다면 성공적인 프로젝트가 되는 것이고 그렇지 못한다면 실패하거나 사라지게 될 것이다. 프로젝트 관리란 그런 면에서 제한된 자원을 가지고 목적한 바를 제한된 기간내에 최소의 비용으로 완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을 도식화 한다면 아래와 같은 그림으로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위의 그림에 보는 것처럼 일정과 품질, 예산은 우리의 프로젝트가 목적하는 바를 달성하도록 하기 위해 상호 연관되어 작용하게 된다. 우리가 접하게 되는 많은 방법론들의 가정에는 위의 요소들을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에 대한 기본적인 가정들이 설정되어 있다. 조직에서 어떤 특정한 방법론을 도입한다는 것은 그런 가정에 동의하는 것이고 그러한 철학을 받아들인다는 것이기 때문에, 방법론을 채택하기 전에 조직의 근본 문제와 문화에 대해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그리고 위의 요소들 외에 고려해 볼 사항은 위의 요소들은 변동성과 불확실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비용과 예산, 목적은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가변할 가능성이 매우 큰 요소들이다. 대부분의 방법론은 이러한 변동성에 대한 안전장치들을 가정해서 세워져 있다. 변동성의 측면에서 위의 요소들을 다시 살펴본다면 아래와 같이 가정할 수 있다. 위의 그림을 일부 해석해 본다면 일정이 늘어난다면 비용은 늘어나게 된다. 범위가 변경되어도 비용은 늘어나게 된다. 범위와 일정은 상호 의존적이 된다. 만약 위 3가지 요소의 변동성을 통제하지 못하게 된다면 프로젝트는...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