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T @premist: iGoogle 테마중에 한글사랑 테마가 있군요 http://bit.ly/1bad9F - 0:16 #
- murianwind의 트위터 - 2009년 10월 07일 http://ff.im/-9nIlU - 0:22 #
- RT @52c: RT @inamu: 광화문 광장에 우뚝솟은 세종대왕 동상이 뻘짓임을 알려주는 글 [구본준:세종대왕 동상도 낙하산에 재탕 삼탕을 한다?] http://blog.hani.co.kr/bonbon/20991 - 0:25 #
- RT @ih5: 포스팅 내용이 좋네요! 잘읽었어요!! RT @mooozi: 집단지성이란 무엇인가 http://ff.im/-9p9zZ - 9:1 #
- RT @ReadLead: “인간은 생각하는 동물이다. 너는 네가 생각하는 그대로 될 것이다.” http://mindprogram.co.kr/320 - 9:1 #
- RT @mooozi: RT @naradesign: UI 개발자가 탑재 해야할 몇 가지 개념들. http://naradesign.net/wp/2009/10/08/1046/ 개념 없이 쓴 개념글 입니다. - 9:6 #
- RT @shanselman: "More people should read this great Free "Foundations of Programming" ebook http://bit.ly/fVXEb from @karlseguin" - 9:9 #
- @hegler02 짤립니다. 휴가를 쓰시면 되지 않을까요? - 9:12 #
- 제11차 MobileWebAppsCamp (Mobile Barcamp) : 온오프믹스(http://www.onoffmix.com) http://bit.ly/2pUTb - 9:16 #
- 문자동맹, 한글날 맞아 한글 풀어쓰기 전용폰트 무료 공개 http://bit.ly/1weTGg - 9:20 #
- @xelion8 점심떄를 그렇게 써 놨네요. 본 행사는 오후 1시부터인것 같네용... - 9:21 #
- RT @KentBeck: #book "The Innovator's Dilemma" why incumbents have an inevitable disadvantage and what you can do with it http://bit.ly/iCnkY - 9:22 #
- 장화홍련전 http://bit.ly/ooLv5 - 9:24 #
- systemically와 systematically의 차이점에 대해서 아시는 분은 좀 알려주세용.. 한국어로는 둘 다 체계적이라고 해석되는데 어떤 차이가 있나요? - 10:26 #
- RT @ReadLead: RT @falnlov: 문득 짙은 화장이 단점을 커버하는 것 makeup이 아니라, 장점을 가려버리는 것 makedown이란 생각이 든다. 자신감을 갖자. - 10:28 #
- 제대로 아는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 지원금 없이 연구도 불가능하고.. 대부분의 연구 성과는 중국과 일본에서 나오는 실정.. RT @scent07: 역사학자들 중에서도 우리나라 역사를 제대로 아는 사람들이 얼마나 있을까란 생각이 들었다.. #조일전쟁_ - 10:29 #
- RT @hangulo: [미디어 한글로]동호회 모임장소가 공짜! - 무료로 대여하는 파나소닉 프라자 http://durl.me/68ve - 11:22 #
- RT @hongss: 앞으로 유명한 의사는 진단 잘하는 의사가 아니라 상담 잘하는 그런 사람이 더 잘 될 수가 있습니다.진단하는 것은 사람이 하는 것이 아니라 기기가 하는 것이고, 그걸 해석해서 편안하게 설명해.. http://bit.ly/gEVWY - 11:24 #
- 급 이벤트!! http://bit.ly/XtBvR 소프트웨어 테스팅 표준의 활용 및 인증 확산 세미나에 무료로 참석하시고 싶은신 분은 성함과 연락처, 회사(소속)를 저에게 40분까지 DM을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 11:33 #
- RT @ludensk: 나는 죽어도 키젠을 쓰지 않겠습니다. http://bit.ly/QgBvt - 11:35 #
- 대표적으로 엔진 설계 능력조차 없죠..RT @euckr: RT: @1KANE1: 선박기술에 대한 것도 검토결과 한국은 제조의 기술은 있으나 설계를 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선박설계의 원천기술은 유럽이 제공하는 것을 기반으로하고 있어서 제조만 ... - 11:43 #
- RT @HanBaDa_: 멀다 ㅠㅠ RT @woja: 서울재즈난장, 2009 낙성대에서 열린다. http://bit.ly/3h96s6 동네에서 하니 꼭 가야지^^ - 11:44 #
- @scent07 근복적인 이유는 국내 사학계를 장악하고 있는 대부부의 사학자들이 친일파의 후손이거나 일제 시대 당시의 사학관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 11:47 #
- 급 이벤트!! http://bit.ly/XtBvR 소프트웨어 테스팅 표준의 활용 및 인증 확산 세미나에 무료로 참석하시고 싶은신 분은 성함과 연락처, 회사(소속)를 저에게 12시 30분까지 DM을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 11:51 #
- @in_future 안녕하세요. 초면에 죄송하지만 systemically와 systematically 의 차이를 설명해 주실 수 있으신가요? 정확한 차이가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 - 12:26 #
- 단물 다 빨았으니 버린거죠. 설레발이었다는.. RT @kimjuik: 이거 은근히 언론 통제하는 느낌입니다. 바이러스라는게.. 이렇게 급격히 사라질 리는 없잖아요 -_-;; RT @nowni 신종 플루씨는 요새 어디가셨지요? 소식이 영 뜸하시네요 - 12:28 #
- @nokstory #Hangullove #Koreanalphabetlove 불가능합니다.. 우리는 문자로서의 한글은 가지고 있지만 언어로서의 한국어는 이미 죽어버린지 오래입니다. 우리가 말하는 언어에서 순수한 우리말이 몇 %나 된다고 생각하십니까? - 12:32 #
- @nokstory 시대에 따라 언어가 변화한다는 것은 저도 공감합니다. 하지만 새로운 언어를 받아들일 때 그것이 꼭 필요한 것이고 대채 가능한 언어가 없었는가에 대해 우리가 고민해 본 적이나 있는지 궁금합니다. - 12:41 #
- @nokstory 분명히 같은 의미가 있는 우리 언어가 있다고 해도 우리는 의식적으로든 무의식적으로든 영어나 다른 언어를 사용합니다. 한국어와 전통 문화는 시대에 뒤떨어진 것이고 남의 것이 좋다는 사고방식으로 변이된 한국어가 글쎄요 이게 한국어인가요? - 12:43 #
- @nokstory 동일한 의미를 가진 우리말과 외래어가 있을 때 외래어가 더 직관적이고 이해하기 쉽다는 말씀인가요? 전 우리 말에 없던 개념이 외국에서 들어올때 그 말을 사용하는 것은 이해하지만 우리가 꼭 그런 경우에만 외래어를 쓰는건 아닙니다. - 13:4 #
- @nokstory 우리는외래어를 도입할 때 그 어떤 고민도 하지 않는게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덕분에 같은 의미를 가진고 더 풍부한 의미를 가진 우리말 자체가 사라져 가고 있고 이것을 언어는 통제할 수 없다는 핑계로 방치하는 것도 문제라고 봅니다. - 13:5 #
- @nokstory 언어는 쓰지 않으면 잊혀집니다. 때문에 자꾸 쓸 수 있도록 노력도 해야하지 않을까요? 전 정부의 교육정책이나 국내 미디어 어느 곳에서도 그런 노력을 본 적이 없습니다. 그냥 시대가 그러니 그러려니하고 내버려 두는 건 아니라고 봅니다. - 13:7 #
- RT @doax: 이제는 홍어에도 바코드를 부착한다고 한다. 개인적인 소망 중 하나는 음식가지고 장난 치는 애덜은 다시는 음식 장사를 못하게 해야 한다. 물론 재산도 몰수하고. - 15:37 #
- RT @phploveme: [구인] 제1회 Ignite Seoul의 발표자를 찾습니다: Ignite 은 20장의 슬라이드를 15초씩 자동으로 넘기며5분간 자신의 이야기를 함께 나누는 행사입니다. OREILLY.. http://bit.ly/3NdcdM - 15:38 #
- 직장 동료들의 성향 공감.. ㅠㅠ RT @CHANOLEE: 직장동료들의 성향에따라 천지차이로 느낄수있다고봅니다..극과 극을 본적이있죠.. RT @moohando: http://is.gd/43WKx 듀나의 영화낙서판에 올라온 "애 낳지 마세요" ... - 15:50 #
- RT @HanBaDa_: 90년 전 독일 헌법 1조를 그대로 옮긴 우리나라 헌법1조. '나치' 이후 바뀐 독일의 헌법1조는 “인간의 존엄성은 침해할 수 없다.인간의 존엄성을 보호하는 것은 모든 국가기구의 의무다”이다. http://is.gd/43Zdo - 15:54 #
- 시대는 주거 문화에 따라 바뀐다. 주거 문화가 바뀌면 의복, 음식 문화가 바뀌고 결론적으로 정신 문화 자체도 바뀐다. 우리 문화의 변화는 우리가 한옥을 버리면서부터 시작되었다. - 15:58 #
- RT @Tommy_Kim: 방금 확인한 이벤트 http://bit.ly/Qvg7r 카스퍼스키2010 버전 출시 기념 선착순 2010명에게 2010원에 1년 라이센스 파는 이벤트 합니다. 제가 방금 샀으니까 아직 2010명 넘지 않았나봐요. 참고 ... - 16:3 #
- Lean & TOC http://ff.im/-9qg7g - 16:23 #
- 내 샤인 손전화를 조용히 바라보았다. 화면속의 아이폰을 바라보았다. 아 진짜 너무 갖고 싶다. 조용히 내 손전화에 무안단물을 들이부었다. 손전화 사망하셨다.. ㅠㅠ 요즘은 무안단물도 짝퉁이 있나 보다.. - 16:32 #
- 난 블로그의 포스트 제목을 되도록 짧게 붙이는 편이다. 문제는 그런 제목이 트위터나 RSS에서는 거의 눈에 띄지도 않는다는 것이다. 몇일 동안 나름 심혈을 기울여 적은 포스트이건만 어려운건지.. 내가 부족한건지 역시나 반응이 없다... - 16:57 #
- 다음 만화의 RSS가 모두 변경되어서 다시 구독하고 있습니다. 이건 왜 바꾼걸까요? - 17:35 #
- RT @merrionee: RT @sohnkw 미국인들이 가장 불쾌게 느끼는 영어표현 1위는 WHATEVER,2위 You know,3위 It is what it is,4위 anyway, 5위 at the end o.. http://is.gd/44rsy - 17:41 #
- @in_future 퐉 이해가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17:58 #
- RT @uxfactory: 10 Qualitative Tools to Improve Your Website | Tools | instantShift http://bit.ly/118eYe - 21:52 #
제 블로그에 예전부터 오셨던 분들은 제가 사브작 사브작 홈 오토메이션을 어설프게 해온 것을 아실겁니다. 작년부터 너무 하고 싶었던 도어락 자동화에 도전해봤습니다. 우리 나라에 자체 서비스로 앱을 통해 도어락을 제어하는 제품은 꽤 있습니다. 게이트맨도 있고, 키위도 있고, 삼성도 있죠.. 그런데.. 전 그것보다 구글 어시스턴트를 지원하는 도어락이 필요했는데... 그런건 안만들더라구요.. 꼭 필요한건 아니지만 웬지 해보고 싶은데... 언제 제품이 출시될지도 몰라서.. 가능한 방법을 찾아보다가.. 스위치봇이라는 제품으로 도어락을 버튼을 꾹 누르는 방법을 찾아서 스위치봇이 직구가 아닌 국내에 출시되었길래 낼름 구매해서 도전해봤습니다. 스위치봇 제품에 대한 내용이나 구매는 https://www.wakers.shop/ 에서 하시면 됩니다. 저는 스위치봇에 스위치봇을 구글 홈에 연결시키기 위해 스위치봇 허브 미니까지 구매했습니다. 스위치봇 허브 미니가 없으면 스위치봇을 외부에서 제어하거나 구글 홈에 연결할 수 없습니다. 그리고 제가 스위치봇 허브 미니를 구매한 이유 중 다른 하나는 이 제품이 RF 리모컨 기능이 지원됩니다. 집에 있는 모니터를 제어할 필요가 있어서 이참 저참으로 같이 구매했습니다. 제품 등록은 어렵지 않습니다. 여기서는 스위치봇 허브 미니에 RF 리모컨을 등록해서 구글 어시스턴트로 제어하는 방법을 소개해드릴까 합니다. 제가 스위치봇 허브 미니로 모니터를 제어하고 싶었던 부분은 컴퓨터에서 크롬캐스트로 외부 입력을 때에 따라 바꿔야 하는데.. 그때마다 리모컨을 찾는게 너무 불편해서였습니다. 어차피 리모컨은 외부 입력 바꿀 때 빼고는 쓸 일도 없는지라.. 매번 어디로 사라지면 정말 불편해서 이걸 자동화 하고 싶었습니다. 그런데, 처음에 스위치봇 허브 미니를 등록하고 여기에 리모컨을 등록하니.. 구글 홈에 등록된 리모컨이 자동으로 등록이 됩니다. 그런데, 등록된걸 확인해보니 전원 On/Off만 제어되는 것이고, 나머지 버튼은 구글 홈...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