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단의 슈바이처 故 이태석 신부님의 이야기를 KBS 스페셜을 통해 보았습니다. 주님은 왜 이런 분은 먼저 불러가시는 건지.. - 0:27 #
- 사람이 선하게 살면 얼굴에 광택이 나는 것 같습니다. 이태석 신부님의 생전 모습에서 병마와 싸우시는 동안에도 그 얼굴에 도는 광택에 눈물이 그렁그렁했습니다. - 0:28 #
- [테스팅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생산성 혁신의 순서로 보는 테스팅 조직의 성숙도 http://goo.gl/fb/PxJ2I - 0:30 #
- [테스팅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murianwind의 트위터 - 2010년 04월 11일 http://goo.gl/fb/A1rvS - 0:30 #
- Coding QA Podcast on Exploratory Testing (Part 2) http://bit.ly/aNndWS #테스팅_ #fb - 7:38 #
- "실명제 하느니 차라리 댓글을 안 받겠다." http://bit.ly/avACWB - 7:40 #
- 아이폰에 뜬 촛불, 난감한 경찰. http://bit.ly/aPmAci #b - 7:41 #
- 한국에도 '디스트릭트 9' 같은 곳이 있다 http://bit.ly/9wQY8V #fb - 7:42 #
- 미래의 방송은 소셜 방송으로 진화한다 http://bit.ly/9mgjMM #fb - 9:34 #
- ie tab 으로 어떻게든.. RT @DracoKr: 크롬 웹브라우저를 좋다고 선전하기는 쉽다. 로딩속도만 보여줘도 우와~. 그러나 Active똫 때문에 전도(?)는 100% 실패. - 10:54 #
- [테스팅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모두가 함께하는 SW Testing 일정 만들기 http://goo.gl/fb/pxLAK - 11:57 #
- RT @oojoo: 트위터와 미투의 차이를 감성적으로 잘 비교해주었네요. http://www.sunblogged.com/393 그런 면에서 요즘은 차원이 또 다른 서비스죠. - 12:9 #
- RT @iFoog: 정운찬 "4대강 살리기 사업을 빨리 완성해 부산시민들도 아무 걱정 없이 물을 먹게 될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 발언은 다소 엉뚱한 말 http://3.ly/S2E2 조선도 까는 엉뚱발언 - 12:9 #
- RT @hyunwungjae: RT @rokhwan: RT @zop009: 천안함 성금모금 생방송에 비판 쇄도 ..http://j.mp/bWbr5H - 12:12 #
프로젝트는 예산, 일정, 품질 3가지 요소로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물론 위 3가지 요소 외에도 개발 범위, 팀워크, 자원 조달 등 여러가지 요소들도 고려해 볼 수 있지만, 가장 중요한 요소를 꼽는다면 예산, 일정, 품질일 것이다. 위에서 말한 여러가지 요소들은 프로젝트를 계획하여 완료하는 순간까지 복합적으로 작용해서 프로젝트의 성과를 제한하게 된다. 위의 요소들을 잘 통제한다면 성공적인 프로젝트가 되는 것이고 그렇지 못한다면 실패하거나 사라지게 될 것이다. 프로젝트 관리란 그런 면에서 제한된 자원을 가지고 목적한 바를 제한된 기간내에 최소의 비용으로 완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을 도식화 한다면 아래와 같은 그림으로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위의 그림에 보는 것처럼 일정과 품질, 예산은 우리의 프로젝트가 목적하는 바를 달성하도록 하기 위해 상호 연관되어 작용하게 된다. 우리가 접하게 되는 많은 방법론들의 가정에는 위의 요소들을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에 대한 기본적인 가정들이 설정되어 있다. 조직에서 어떤 특정한 방법론을 도입한다는 것은 그런 가정에 동의하는 것이고 그러한 철학을 받아들인다는 것이기 때문에, 방법론을 채택하기 전에 조직의 근본 문제와 문화에 대해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그리고 위의 요소들 외에 고려해 볼 사항은 위의 요소들은 변동성과 불확실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비용과 예산, 목적은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가변할 가능성이 매우 큰 요소들이다. 대부분의 방법론은 이러한 변동성에 대한 안전장치들을 가정해서 세워져 있다. 변동성의 측면에서 위의 요소들을 다시 살펴본다면 아래와 같이 가정할 수 있다. 위의 그림을 일부 해석해 본다면 일정이 늘어난다면 비용은 늘어나게 된다. 범위가 변경되어도 비용은 늘어나게 된다. 범위와 일정은 상호 의존적이 된다. 만약 위 3가지 요소의 변동성을 통제하지 못하게 된다면 프로젝트는...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