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테스팅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murianwind의 트위터 - 2010년 03월 31일 http://goo.gl/fb/r4HzP - 0:16 #
- Support #moolnanum, add a #twibbon to your avatar now! - http://bit.ly/9B38s5 - 0:25 #
- [자일리톨]자일리톨 통을 이렇게 바꾸면 거리가 좀 깨끗해지지 않을까? http://bit.ly/a7dtVp - 0:35 #
- SW프로젝트 성공하고 싶다면, 간트차트를 버려라! http://bit.ly/dke7EF - 0:36 #
- 한국인은 우수해서 한국에는 '전문가'가 많다. http://bit.ly/bkhH0D - 0:46 #
- 위기시 기업이나 조직이 여론을 듣지 않는 이유들 http://bit.ly/ccDPAx - 0:47 #
- Unix 소유권을 둘러싼 지루한 소송, Novell 승소 판결 http://bit.ly/cgglMj - 0:51 #
- [웰빙정보] 믿을 수 있는 유기농 인터넷 쇼핑몰 http://bit.ly/bJPlWp - 0:54 #
- Microsoft가 오픈소스를 지원하냐구요? http://bit.ly/coJj5b - 0:54 #
- 원래 사람 많이 죽으면 기록은 조작되거나 미공개가 된다 http://bit.ly/aITFY2 - 0:56 #
- 한국 세계 1위 등극 - 악성코드 유포로... http://bit.ly/bgnTOy - 7:41 #
- Measuring with Stories http://bit.ly/bUgwdC - 7:41 #
- 금일은 만우절인 관계로 오늘 하루는 트위터를 하지 않으려 합니다. 모두 모두 좋은 하루 되세요.. - 9:23 #
- @channyun twi2me 기능을 해제하려고 하는데.. 홈페이지 접속이 왜 안되는 걸까요? 저만 안되는걸까요? - 9:47 #
- STEN 광장 > 공지사항 > [스튜어트 특강] 테스트 관리의 글로벌 베스트 프랙티스 완벽 커버 http://goo.gl/1MFO - 10:34 #
- @askcoer 외제라서 그렇습니다. 킁... 전 듣고 싶어도 일에 치여 못듣는군요.. 좋은 교육 많으면 멀해요.. 일에 치여 못듣는데..ㅠㅠ - 10:58 #
- POP_설득의 심리학 오픈 워크샵 5월과 7월 세션 안내 http://bit.ly/beScO7 - 11:7 #
- @geohanjogyo 개인이 듣기는 거의 불가능하고 회사의 지원을 받아야만 가능할 .... - 11:28 #
- @askcoer @geohanjogyo 제가 집에서 하는 알바는 한달 오지게 일하고 4만원..ㅡㅡ 그냥 구슬 꿰는게 빠르지 않을까요? - 11:40 #
- 대학을 거부하는 '간지' 잔다르크들에게 http://bit.ly/a0VcmN - 13:23 #
- @1serene 봄소풍 Call~~~ 석가 탄실일에 가용.... - 14:25 #
- @1serene 서울대공원... 원츄... - 15:1 #
- 하나銀 안드로이드 뱅킹 서비스 오픈 ::뉴스토마토:: http://goo.gl/Uj1y 신한은행 버려버리고 하나은행 갈아타야하나? - 17:23 #
- 올해 구글의 만우절 농담은 무엇인가요? 아무리 찾아도 못찾겠네요.. - 17:34 #
- RIA Architecture Guide Pocket book PDF 버전입니다. http://bit.ly/astzS0 - 17:56 #
- Google.com 리뉴얼 스크린샷 2010.4.1 http://bit.ly/ahdYnu - 17:57 #
- 인터페이스는 가짜다 http://bit.ly/cTVIXx - 18:28 #
- 50 New Free High-Quality Icon Sets (with Easter Icons!) http://bit.ly/dy8Fam - 23:4 #
- @inssss SW Testing Camp 해쉬태그는 #swtc 입니다. ^^ - 23:5 #
- SW Testing Camp 생방송을 시청하실 때는 꼭 이어폰을 준비해주세요. 마이크의 성능이 좋지 않아 소리가 작습니다. #swtc - 23:13 #
프로젝트는 예산, 일정, 품질 3가지 요소로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물론 위 3가지 요소 외에도 개발 범위, 팀워크, 자원 조달 등 여러가지 요소들도 고려해 볼 수 있지만, 가장 중요한 요소를 꼽는다면 예산, 일정, 품질일 것이다. 위에서 말한 여러가지 요소들은 프로젝트를 계획하여 완료하는 순간까지 복합적으로 작용해서 프로젝트의 성과를 제한하게 된다. 위의 요소들을 잘 통제한다면 성공적인 프로젝트가 되는 것이고 그렇지 못한다면 실패하거나 사라지게 될 것이다. 프로젝트 관리란 그런 면에서 제한된 자원을 가지고 목적한 바를 제한된 기간내에 최소의 비용으로 완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을 도식화 한다면 아래와 같은 그림으로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위의 그림에 보는 것처럼 일정과 품질, 예산은 우리의 프로젝트가 목적하는 바를 달성하도록 하기 위해 상호 연관되어 작용하게 된다. 우리가 접하게 되는 많은 방법론들의 가정에는 위의 요소들을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에 대한 기본적인 가정들이 설정되어 있다. 조직에서 어떤 특정한 방법론을 도입한다는 것은 그런 가정에 동의하는 것이고 그러한 철학을 받아들인다는 것이기 때문에, 방법론을 채택하기 전에 조직의 근본 문제와 문화에 대해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그리고 위의 요소들 외에 고려해 볼 사항은 위의 요소들은 변동성과 불확실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비용과 예산, 목적은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가변할 가능성이 매우 큰 요소들이다. 대부분의 방법론은 이러한 변동성에 대한 안전장치들을 가정해서 세워져 있다. 변동성의 측면에서 위의 요소들을 다시 살펴본다면 아래와 같이 가정할 수 있다. 위의 그림을 일부 해석해 본다면 일정이 늘어난다면 비용은 늘어나게 된다. 범위가 변경되어도 비용은 늘어나게 된다. 범위와 일정은 상호 의존적이 된다. 만약 위 3가지 요소의 변동성을 통제하지 못하게 된다면 프로젝트는...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