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테스팅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murianwind의 트위터 - 2010년 04월 09일 http://goo.gl/fb/bvqBD - 0:35 #
- Free Realms and Scrum http://bit.ly/bQF94U - 8:37 #
- 박용만 회장의 트위터와 넷심 - 이건희 회장, 이명박 대통령도 트위터하면 되겠네. http://bit.ly/biGt9h - 8:42 #
- [테스팅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내 트윗을 블로그로 - T2B(Twitter 2 Blog) http://goo.gl/fb/LCh1c - 10:8 #
- [테스팅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SW Testing Camp 6번째 기획 모임 http://goo.gl/fb/SN61F - 11:15 #
- [테스팅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Murian의 SNS 이용 현황 총정리 http://goo.gl/fb/0UOJd - 13:26 #
- 사회자 김제동, 잃고 싶지 않습니다. http://bit.ly/c6D5QU - 13:29 #
- [테스팅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대학생을 위한 테스팅 팀블로그에 참여할 대학생들을 찾습니다. http://goo.gl/fb/9EL6v - 15:3 #
- P1010586.JPG [pic] http://ff.im/-iP5UM - 19:25 #
- Scrum and Kanban: Mother-In-Law or Coach - Chaos or Controlled Process Improvement http://bit.ly/chXHoB - 19:39 #
프로젝트는 예산, 일정, 품질 3가지 요소로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물론 위 3가지 요소 외에도 개발 범위, 팀워크, 자원 조달 등 여러가지 요소들도 고려해 볼 수 있지만, 가장 중요한 요소를 꼽는다면 예산, 일정, 품질일 것이다. 위에서 말한 여러가지 요소들은 프로젝트를 계획하여 완료하는 순간까지 복합적으로 작용해서 프로젝트의 성과를 제한하게 된다. 위의 요소들을 잘 통제한다면 성공적인 프로젝트가 되는 것이고 그렇지 못한다면 실패하거나 사라지게 될 것이다. 프로젝트 관리란 그런 면에서 제한된 자원을 가지고 목적한 바를 제한된 기간내에 최소의 비용으로 완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을 도식화 한다면 아래와 같은 그림으로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위의 그림에 보는 것처럼 일정과 품질, 예산은 우리의 프로젝트가 목적하는 바를 달성하도록 하기 위해 상호 연관되어 작용하게 된다. 우리가 접하게 되는 많은 방법론들의 가정에는 위의 요소들을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에 대한 기본적인 가정들이 설정되어 있다. 조직에서 어떤 특정한 방법론을 도입한다는 것은 그런 가정에 동의하는 것이고 그러한 철학을 받아들인다는 것이기 때문에, 방법론을 채택하기 전에 조직의 근본 문제와 문화에 대해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그리고 위의 요소들 외에 고려해 볼 사항은 위의 요소들은 변동성과 불확실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비용과 예산, 목적은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가변할 가능성이 매우 큰 요소들이다. 대부분의 방법론은 이러한 변동성에 대한 안전장치들을 가정해서 세워져 있다. 변동성의 측면에서 위의 요소들을 다시 살펴본다면 아래와 같이 가정할 수 있다. 위의 그림을 일부 해석해 본다면 일정이 늘어난다면 비용은 늘어나게 된다. 범위가 변경되어도 비용은 늘어나게 된다. 범위와 일정은 상호 의존적이 된다. 만약 위 3가지 요소의 변동성을 통제하지 못하게 된다면 프로젝트는...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