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성에 대한 패러다임에 대해 생각해 보도록 하자.
아래 그림을 보도록 하자.
앞부분의 화살표는 요구사항, 중간의 녹색 원통은 개발팀, 마지막 파란 원통은 테스팅 팀이라고 가정해 보자.
A의 경우에 개발팀은 10의 요구사항을 개발할 수 있는 능력이 있지만 요구사항은 5만 들어오고 있다. 개발팀만을 생각한다면 현재 개발팀의 생산성은 50%이다.
반면에 테스팅 팀은 5만큼의 개발 결과물을 테스팅 할 수 있고 개발팀으로부터는 5만큼의 개발 결과물이 만들어지고 있기 때문에 테스팅 팀의 생산성은 100%이다.
따라서 전체 프로젝트의 생산성은 75%이다.
B의 경우에는 개발팀은 100%의 생산성을 테스팅 팀 역시 100%의 생산성을 보인다. 반면에 테스팅 팀은 5의 능력뿐이지만 개발팀에서는 10만큼이 오고 있기 때문에 언제나 5의 재고가 쌓여있게 된다. 하지만 전체 프로젝트의 생산성은 100%이다.
당신은 어떤 팀이 더 훌륭한 팀이라고 생각되는가?
A팀은 효과적인 팀이라고 한다. 여기서 효과라는 것은 목표 달성율을 말한다. A팀의 경우에는 모든 요구사항과 모든 개발 결과물을 처리하고 있기 때문에 할당된 모든 목표를 달성하고 있다.
B팀은 효율적인 팀이라고 한다. 효율이라는 것은 자원 활용 능력을 말한다. A팀의 개발팀의 경우는 자원 활용율은 겨우 50%이다. 반면 B 팀은 모든 팀의 자원 활용율이 100%이다.
우리는 일반적으로 효과보다는 효율적인 팀에 집중한다.
B팀은 개발팀의 결과물을 테스팅 팀에서 모두 소화하지 못하고 만성적인 지연에 시달리고 있다. 이럴 때 많은 경우 테스팅 팀은 계속되는 야근과 철야 등으로 자원 활용율을 200%로 올리는 방식으로 최적화를 하게 된다.
이게 정말 좋은 방식일까?
여기서 생각해 볼 개념은 TOC의 Throughput, 투자, 운영비용 이다. 쓰루풋은 Input 대비 Output의 비율이다.
TOC에서는 개선을 할 때 투자와 운영비용의 추가 지출을 지양한다. 추가 지출을 하더라도 투자와 운영비용의 합이 쓰루풋보다 반드시 작아야 한다.
그리고 어떠한 경우에도 쓰루풋은 손상되서는 안된다.
위의 경우를 테스팅 팀의 관점에서 다시 한번 살펴보자.
B팀의 경우 테스팅 팀의 문제는 개발 결과물을 모두 테스팅할 능력이 부족해서 테스팅이 계속 지연되고 있는 것이 문제이다. 이것을 해결하고자 할 때 기존 방식대로 야근과 철야를 밥 먹듯이 한다면 일시적으로 투자와 운영비용이 상승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투자와 운영비용의 상승이 쓰루풋을 10으로 만든다는 보장이 없다.
오히려 장기적인 관점에서 팀원의 이직등으로 쓰루풋이 손상될 수가 있다.
이러한 부작용은 우리가 효과보다는 효율에 집중하기 때문에 전체를 바라보는 시각이 부족해서이다. 즉, 종속성을 고려하지 못하는 것이다.
쓰루풋과 효과로 본다면 A팀의 생산성은 100%이다. 개발팀은 모든 요구사항을 처리하고 있고 테스팅 팀 역시 모든 개발 결과물을 테스팅 하고 있다.
반면 B팀은 개발팀의 생산성은 100%지만 테스팅팀의 생산성은 겨우 50%이다. 즉, 전체적인 생산성은 50%이다.
즉, 가장 생산성이 낮은 팀이 전체 팀의 생산성을 결정하게 된다. 이러한 곳을 제약 혹은 병목이라도 한다.
이러한 결과가 나오게 된 것은 패러다임에 있다.
기존의 패러다임은 합의 법칙이라고 볼 수 있다.
즉, 부분 최적의 합이 전체 최적이 된다는 것이다. B팀은 부분 부분의 생산성이 100%이고 이러한 생산성의 합으로 전체 생산성을 100%로 보는 것이다.
반면 TOC는 곱의 법칙으로 생각한다. 제약이 전체 생산성을 결정짓는다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B팀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어떠한 방법이 좋을 것인가?
개선해야할 팀은 테스팅 팀이다. 문제는 테스팅 팀만을 고려해서는 절대로 개선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것이다.
하나의 프로젝트에는 많은 부서가 연관되어 있고 각 부서는 종속되어 있다. 그 많은 부서 중 가장 대표되는 부서라면 역시 개발팀과 테스팅 팀이다. 두 부서는 독립적인 부서가 아니라 서로 연관되어 있는 프로젝트라는 마차의 바퀴와 같은 존재이다. 서로의 균형이 맞지 않는다면 마차는 앞으로 나아갈 수가 없다.
B팀의 테스팅 팀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그 앞단에 있는 개발팀의 협력이 필수불가결하다.
많은 개선 방법이 있을 수 있지만, 개발팀의 쓰루풋을 줄이는 것이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현재 들어오고 있는 요구사항을 우선순위에 따라 선별해서 조절할 수 있다. 그렇게 될 경우 개발팀은 자원활용에 대해 여유가 생기게 된다.
이러한 여유분은 단위 테스팅이나 테스트 자동화를 통해 테스팅 팀의 쓰루풋을 증대하는데 쓸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 전체 최적화를 하고 이에 따라 이익이 증대하게 된다면 훗날 전체적인 쓰루풋을 증대하기 위한 투자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선이 되기 위해서는 경영진의 지원이 필수 불가결한 요소이다.
그리고 전문적인 컨설턴트의 도움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기존의 패러다임은 그렇게 쉽게 바뀌지 않기 때문이다.
생산성에 관련해서 컨설팅을 제공하는 업체나 컨설턴트는 매우 많다. 하지만 그러한 컨설턴트 중 테스팅 프로세스를 잘 아는 컨설턴트는 매우 드물다.
거기다 테스팅 팀만의 효율이 아닌 효과와 전체 프로젝트의 연관성에 대한 조언을 해주는 컨설턴트는 더욱 드물다.
위와 관련되어 강연이나 컨설팅이 필요하다면 murian.mentor@gmail.com 으로 연락을 주시기 바란다.
필요하다면 무료 컨설팅을 제공해 드릴 수도 있다.
무료 컨설팅에 대한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http://murian.textcube.com/notice/12 을 참고하시면 된다.
아래 그림을 보도록 하자.
앞부분의 화살표는 요구사항, 중간의 녹색 원통은 개발팀, 마지막 파란 원통은 테스팅 팀이라고 가정해 보자.
A의 경우에 개발팀은 10의 요구사항을 개발할 수 있는 능력이 있지만 요구사항은 5만 들어오고 있다. 개발팀만을 생각한다면 현재 개발팀의 생산성은 50%이다.
반면에 테스팅 팀은 5만큼의 개발 결과물을 테스팅 할 수 있고 개발팀으로부터는 5만큼의 개발 결과물이 만들어지고 있기 때문에 테스팅 팀의 생산성은 100%이다.
따라서 전체 프로젝트의 생산성은 75%이다.
B의 경우에는 개발팀은 100%의 생산성을 테스팅 팀 역시 100%의 생산성을 보인다. 반면에 테스팅 팀은 5의 능력뿐이지만 개발팀에서는 10만큼이 오고 있기 때문에 언제나 5의 재고가 쌓여있게 된다. 하지만 전체 프로젝트의 생산성은 100%이다.
당신은 어떤 팀이 더 훌륭한 팀이라고 생각되는가?
A팀은 효과적인 팀이라고 한다. 여기서 효과라는 것은 목표 달성율을 말한다. A팀의 경우에는 모든 요구사항과 모든 개발 결과물을 처리하고 있기 때문에 할당된 모든 목표를 달성하고 있다.
B팀은 효율적인 팀이라고 한다. 효율이라는 것은 자원 활용 능력을 말한다. A팀의 개발팀의 경우는 자원 활용율은 겨우 50%이다. 반면 B 팀은 모든 팀의 자원 활용율이 100%이다.
우리는 일반적으로 효과보다는 효율적인 팀에 집중한다.
B팀은 개발팀의 결과물을 테스팅 팀에서 모두 소화하지 못하고 만성적인 지연에 시달리고 있다. 이럴 때 많은 경우 테스팅 팀은 계속되는 야근과 철야 등으로 자원 활용율을 200%로 올리는 방식으로 최적화를 하게 된다.
이게 정말 좋은 방식일까?
여기서 생각해 볼 개념은 TOC의 Throughput, 투자, 운영비용 이다. 쓰루풋은 Input 대비 Output의 비율이다.
TOC에서는 개선을 할 때 투자와 운영비용의 추가 지출을 지양한다. 추가 지출을 하더라도 투자와 운영비용의 합이 쓰루풋보다 반드시 작아야 한다.
그리고 어떠한 경우에도 쓰루풋은 손상되서는 안된다.
위의 경우를 테스팅 팀의 관점에서 다시 한번 살펴보자.
B팀의 경우 테스팅 팀의 문제는 개발 결과물을 모두 테스팅할 능력이 부족해서 테스팅이 계속 지연되고 있는 것이 문제이다. 이것을 해결하고자 할 때 기존 방식대로 야근과 철야를 밥 먹듯이 한다면 일시적으로 투자와 운영비용이 상승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투자와 운영비용의 상승이 쓰루풋을 10으로 만든다는 보장이 없다.
오히려 장기적인 관점에서 팀원의 이직등으로 쓰루풋이 손상될 수가 있다.
이러한 부작용은 우리가 효과보다는 효율에 집중하기 때문에 전체를 바라보는 시각이 부족해서이다. 즉, 종속성을 고려하지 못하는 것이다.
쓰루풋과 효과로 본다면 A팀의 생산성은 100%이다. 개발팀은 모든 요구사항을 처리하고 있고 테스팅 팀 역시 모든 개발 결과물을 테스팅 하고 있다.
반면 B팀은 개발팀의 생산성은 100%지만 테스팅팀의 생산성은 겨우 50%이다. 즉, 전체적인 생산성은 50%이다.
즉, 가장 생산성이 낮은 팀이 전체 팀의 생산성을 결정하게 된다. 이러한 곳을 제약 혹은 병목이라도 한다.
이러한 결과가 나오게 된 것은 패러다임에 있다.
기존의 패러다임은 합의 법칙이라고 볼 수 있다.
즉, 부분 최적의 합이 전체 최적이 된다는 것이다. B팀은 부분 부분의 생산성이 100%이고 이러한 생산성의 합으로 전체 생산성을 100%로 보는 것이다.
반면 TOC는 곱의 법칙으로 생각한다. 제약이 전체 생산성을 결정짓는다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B팀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어떠한 방법이 좋을 것인가?
개선해야할 팀은 테스팅 팀이다. 문제는 테스팅 팀만을 고려해서는 절대로 개선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것이다.
하나의 프로젝트에는 많은 부서가 연관되어 있고 각 부서는 종속되어 있다. 그 많은 부서 중 가장 대표되는 부서라면 역시 개발팀과 테스팅 팀이다. 두 부서는 독립적인 부서가 아니라 서로 연관되어 있는 프로젝트라는 마차의 바퀴와 같은 존재이다. 서로의 균형이 맞지 않는다면 마차는 앞으로 나아갈 수가 없다.
B팀의 테스팅 팀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그 앞단에 있는 개발팀의 협력이 필수불가결하다.
많은 개선 방법이 있을 수 있지만, 개발팀의 쓰루풋을 줄이는 것이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현재 들어오고 있는 요구사항을 우선순위에 따라 선별해서 조절할 수 있다. 그렇게 될 경우 개발팀은 자원활용에 대해 여유가 생기게 된다.
이러한 여유분은 단위 테스팅이나 테스트 자동화를 통해 테스팅 팀의 쓰루풋을 증대하는데 쓸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 전체 최적화를 하고 이에 따라 이익이 증대하게 된다면 훗날 전체적인 쓰루풋을 증대하기 위한 투자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선이 되기 위해서는 경영진의 지원이 필수 불가결한 요소이다.
그리고 전문적인 컨설턴트의 도움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기존의 패러다임은 그렇게 쉽게 바뀌지 않기 때문이다.
생산성에 관련해서 컨설팅을 제공하는 업체나 컨설턴트는 매우 많다. 하지만 그러한 컨설턴트 중 테스팅 프로세스를 잘 아는 컨설턴트는 매우 드물다.
거기다 테스팅 팀만의 효율이 아닌 효과와 전체 프로젝트의 연관성에 대한 조언을 해주는 컨설턴트는 더욱 드물다.
위와 관련되어 강연이나 컨설팅이 필요하다면 murian.mentor@gmail.com 으로 연락을 주시기 바란다.
필요하다면 무료 컨설팅을 제공해 드릴 수도 있다.
무료 컨설팅에 대한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http://murian.textcube.com/notice/12 을 참고하시면 된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