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원가세계인 게시물 표시

Agile과 Waterfall

현재 소프트웨어 개발 모델을 대표하는 모델을 선택한다면 Waterfall과 Agile을 들 수 있습니다. Agile은 일부에서는 점진적-반복적 개발모델이라고도 하죠. 저는 이 두 모델을 조금은 다른 시각에서 바라보도록 하겠습니다. Push 개발 방식과 Pull 개방 방식입니다. Push 개발 방식은 일방적인 전달을 특징으로 합니다. Waterfall 이 대표적인 Push 개발방식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Push는 미국의 포드에서 시작된 경영방식입니다. 그래서 미국식이라고 불립니다. Push 방식에서 추구하는 것은 효율입니다. 각 부분의 효율을 얼마나 끌어올리는가에 초점을 맞춰서 최적화를 진행합니다. 이 방식은 각 부분 부분이 비슷한 능력치를 가질 때 최대한의 성과를 낼 수 있습니다. 만약 전체 중 특정 부분의 능력이 떨어진다면 그 부분에서 지연이 발생하고 이것은 많은 손실을 내게 됩니다. 아래 그림에서 보면 A의 경우에는 Push 방식으로 작업을 진행해도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두번째 단계의 효율은 50%이기 때문에 두번째 단계의 효율을 100%로 끌어올리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그림 B와 같이 마지막 공정에서 전 공정에서 밀려온 일을 모두 처리할 수 없기 때문에 재고가 쌓이게 되고 이것은 일정의 지연이나 금액의 손해 등을 불러 일으키게 됩니다. 각 부분의 효율은 100%가 되었지만 생산 효율의 불균형으로 인해 열심히 일은 하고 있지만 계속해서 손해가 발생하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전체를 바라보지 못한 부분 최적화의 폐혜입니다. 위의 경우를 소프트웨어 개발로 생각해 보면 마지막이 테스팅 팀이 될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테스팅 팀은 요구사항 단계에서 배제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다 보니 요구사항에 대응하기 위한 자원 등의 배정등에서 우선순위가 밀리게 됩니다. 때문에 나중에 문제가 발생하여도 대처하기가 힘듭니다. Pull 개발 방식은 후공정에서 필요한 만큼 전공정에서 요구하는 방식으로 낭비(재고)를 줄이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대표적인 곳이 도요타로...

생산성 지표 - 효과와 효율

생산성에 대한 패러다임에 대해 생각해 보도록 하자. 아래 그림을 보도록 하자. 앞부분의 화살표는 요구사항, 중간의 녹색 원통은 개발팀, 마지막 파란 원통은 테스팅 팀이라고 가정해 보자. A의 경우에 개발팀은 10의 요구사항을 개발할 수 있는 능력이 있지만 요구사항은 5만 들어오고 있다. 개발팀만을 생각한다면 현재 개발팀의 생산성은 50%이다. 반면에 테스팅 팀은 5만큼의 개발 결과물을 테스팅 할 수 있고 개발팀으로부터는 5만큼의 개발 결과물이 만들어지고 있기 때문에 테스팅 팀의 생산성은 100%이다. 따라서 전체 프로젝트의 생산성은 75%이다. B의 경우에는 개발팀은 100%의 생산성을 테스팅 팀 역시 100%의 생산성을 보인다. 반면에 테스팅 팀은 5의 능력뿐이지만 개발팀에서는 10만큼이 오고 있기 때문에 언제나 5의 재고가 쌓여있게 된다. 하지만 전체 프로젝트의 생산성은 100%이다. 당신은 어떤 팀이 더 훌륭한 팀이라고 생각되는가? A팀은 효과적인 팀이라고 한다. 여기서 효과라는 것은 목표 달성율을 말한다. A팀의 경우에는 모든 요구사항과 모든 개발 결과물을 처리하고 있기 때문에 할당된 모든 목표를 달성하고 있다. B팀은 효율적인 팀이라고 한다. 효율이라는 것은 자원 활용 능력을 말한다. A팀의 개발팀의 경우는 자원 활용율은 겨우 50%이다. 반면 B 팀은 모든 팀의 자원 활용율이 100%이다. 우리는 일반적으로 효과보다는 효율적인 팀에 집중한다. B팀은 개발팀의 결과물을 테스팅 팀에서 모두 소화하지 못하고 만성적인 지연에 시달리고 있다. 이럴 때 많은 경우 테스팅 팀은 계속되는 야근과 철야 등으로 자원 활용율을 200%로 올리는 방식으로 최적화를 하게 된다. 이게 정말 좋은 방식일까? 여기서 생각해 볼 개념은 TOC의 Throughput, 투자, 운영비용 이다. 쓰루풋은 Input 대비 Output의 비율이다. TOC에서는 개선을 할 때 투자와 운영비용의 추가 지출을 지양한다. 추가 지출을 하더라도 투자와 운영비용의 합이 쓰루풋보다 반드시 작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