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젠가 글로 썼다고 생각했는데.. 검색해보면 언제나 없었던 주제 중 하나를 이제서야 제 블로그에 남겨봅니다.
바로 변화에 대한 저항의 얘기입니다.
여러분은 변화에 대하여 어떤 경험이 있으신가요?
이직, 결혼 부터 시작해서 우리 회사의 프로세스 변화까지 공과 사로 우리는 일생을 살면서 무수한 변화를 거치게 됩니다.
변화가 없는 삶이란 사실 존재하지 않는다고 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이러한 변화에 대하여 죽음을 받아들이는 5단계(부정 -> 분노 -> 교섭 -> 우울 -> 인정)처럼 6계층의 저항을 펼칩니다.
첫번째는 문제에 동의하지 않습니다.
변화의 원인에 동의하지 않는 단계입니다. 변화의 원인을 부정합니다.
두번째는 해결방안의 방향에 동의하지 않습니다.
자신의 이익을 포기하려 하지 않습니다.
세번째는 문제 해결능력에 동의하지 않습니다.
슬슬 자아비판을 시작합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이 단계에서 컨설턴트를 부르기도 합니다.
네번째는 부작용이 있어 곤란하다고 말합니다.
구더기가 무서워서 장을 담그면 안된다고 주장하는 단계입니다. 포괄적인 저항을 시작합니다.
다섯번째는 다 좋지만 현실적인 장애물이 있다고 합니다.
다시 한번 현실을 끌어들여 부정을 합니다.
여섯번째는 나 혼자 하는 것은 부담스럽다고 말합니다.
동귀어진의 자세로 책임을 회피하고 모두 같이 죽자는 자세입니다.
저항은 위의 6가지가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변화를 수용하는 과정에서 동시 다발적으로 발생됩니다.
이러한 저항을 이겨내고 사람들의 적극적인 협력을 이끌어 내려면 각각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합니다.
각 단계에 대하여 아래와 같은 질문을 해보면 좋습니다.
첫번째 단계에는 문제를 올바로 짚었는가?를 물어봅니다.
우리가 원인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원인이 아닌 경우가 많습니다. 모두가 공감하는 근본원인을 찾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두번째 단계에는 해결책에 대한 방향을 올바로 잡고 있는가?를 물어봅니다.
세번째는 해결책이 정말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어떤 의미가 있는지? 물어봅니다.
네번째는 해결책으로 잘못될 일은 없는지? 어떤 부작용은 없는지? 물어봅니다.
다섯번째는 해결책을 어떻게 실현할 수 있는지? 물어봅니다.
여섯번째는 과연 우리들이 모두 해결책을 해낼 수 있을지? 물어봅니다.
위의 질문에 대한 해답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이 적을 수 있습니다.
첫번째는 핵심문제에 대한 총의(總意) 또는 컨센서스(consensus)를 확보합니다.
두번째는 해결책의 방향에 대한 총의(總意) 또는 컨센서스(consensus)를 확보합니다.
세번째는 해결책이 문제를 해결하여 좋은 결과를 달설할 것이라는데 대한 총의(總意) 또는 컨센서스(consensus)를 확보합니다.
네번째는 어떠한 부작용도 모두 파악되어서 제거되었다는 것을 확인합니다.
다섯번째는 실현을 방해하는 모든 장애물들이 파악되고 그 대책이 마련되었다는 것을 확인합니다.
여섯번째는 성공적 실현을 위하여 모든 리더쉽이 발휘될 것이라는 경영층의 확고한 의지를 확인시켜줍니다.
이러한 총의(總意) 또는 컨센서스(consensus)를 확보하고 해결책을 찾는 것이 바로 제약이론 사고 프로세스의 핵심입니다.
제약이론의 사고 프로세스는 핵심 제약을 찾아내어 첫번째와 두번째 저항을 무력화 시키며 해결방안을 찾아내어 세번째와 네번째 저항을 무력화시킵니다. 마지막으로 실행계획을 만들어 다섯번째와 여섯번째 저항을 무력화시킵니다.
그리고 이 모든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더 나은 상태로 도약을 합니다.
개인적인 경험으로는 조직이나 저 개인적인 변화에는 나름 도움이 되지만 아내나 자식만큼은 마음대로 안되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저항 각각에 대한 대응보다는 저항을 전체적으로 바라보고 그에 대한 대응을 고민할 수 있다는 프레임웍을 가진다는 것은 여러모로 유용한것 같습니다.
오랜만에 적어보는 글인데.. 역시나 끝은 결론이 없는 망글이군요.. 죄송합니다.
바로 변화에 대한 저항의 얘기입니다.
여러분은 변화에 대하여 어떤 경험이 있으신가요?
이직, 결혼 부터 시작해서 우리 회사의 프로세스 변화까지 공과 사로 우리는 일생을 살면서 무수한 변화를 거치게 됩니다.
변화가 없는 삶이란 사실 존재하지 않는다고 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이러한 변화에 대하여 죽음을 받아들이는 5단계(부정 -> 분노 -> 교섭 -> 우울 -> 인정)처럼 6계층의 저항을 펼칩니다.
첫번째는 문제에 동의하지 않습니다.
변화의 원인에 동의하지 않는 단계입니다. 변화의 원인을 부정합니다.
두번째는 해결방안의 방향에 동의하지 않습니다.
자신의 이익을 포기하려 하지 않습니다.
세번째는 문제 해결능력에 동의하지 않습니다.
슬슬 자아비판을 시작합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이 단계에서 컨설턴트를 부르기도 합니다.
네번째는 부작용이 있어 곤란하다고 말합니다.
구더기가 무서워서 장을 담그면 안된다고 주장하는 단계입니다. 포괄적인 저항을 시작합니다.
다섯번째는 다 좋지만 현실적인 장애물이 있다고 합니다.
다시 한번 현실을 끌어들여 부정을 합니다.
여섯번째는 나 혼자 하는 것은 부담스럽다고 말합니다.
동귀어진의 자세로 책임을 회피하고 모두 같이 죽자는 자세입니다.
저항은 위의 6가지가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변화를 수용하는 과정에서 동시 다발적으로 발생됩니다.
이러한 저항을 이겨내고 사람들의 적극적인 협력을 이끌어 내려면 각각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합니다.
각 단계에 대하여 아래와 같은 질문을 해보면 좋습니다.
첫번째 단계에는 문제를 올바로 짚었는가?를 물어봅니다.
우리가 원인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원인이 아닌 경우가 많습니다. 모두가 공감하는 근본원인을 찾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두번째 단계에는 해결책에 대한 방향을 올바로 잡고 있는가?를 물어봅니다.
세번째는 해결책이 정말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어떤 의미가 있는지? 물어봅니다.
네번째는 해결책으로 잘못될 일은 없는지? 어떤 부작용은 없는지? 물어봅니다.
다섯번째는 해결책을 어떻게 실현할 수 있는지? 물어봅니다.
여섯번째는 과연 우리들이 모두 해결책을 해낼 수 있을지? 물어봅니다.
위의 질문에 대한 해답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이 적을 수 있습니다.
첫번째는 핵심문제에 대한 총의(總意) 또는 컨센서스(consensus)를 확보합니다.
두번째는 해결책의 방향에 대한 총의(總意) 또는 컨센서스(consensus)를 확보합니다.
세번째는 해결책이 문제를 해결하여 좋은 결과를 달설할 것이라는데 대한 총의(總意) 또는 컨센서스(consensus)를 확보합니다.
네번째는 어떠한 부작용도 모두 파악되어서 제거되었다는 것을 확인합니다.
다섯번째는 실현을 방해하는 모든 장애물들이 파악되고 그 대책이 마련되었다는 것을 확인합니다.
여섯번째는 성공적 실현을 위하여 모든 리더쉽이 발휘될 것이라는 경영층의 확고한 의지를 확인시켜줍니다.
이러한 총의(總意) 또는 컨센서스(consensus)를 확보하고 해결책을 찾는 것이 바로 제약이론 사고 프로세스의 핵심입니다.
제약이론의 사고 프로세스는 핵심 제약을 찾아내어 첫번째와 두번째 저항을 무력화 시키며 해결방안을 찾아내어 세번째와 네번째 저항을 무력화시킵니다. 마지막으로 실행계획을 만들어 다섯번째와 여섯번째 저항을 무력화시킵니다.
그리고 이 모든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더 나은 상태로 도약을 합니다.
개인적인 경험으로는 조직이나 저 개인적인 변화에는 나름 도움이 되지만 아내나 자식만큼은 마음대로 안되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저항 각각에 대한 대응보다는 저항을 전체적으로 바라보고 그에 대한 대응을 고민할 수 있다는 프레임웍을 가진다는 것은 여러모로 유용한것 같습니다.
오랜만에 적어보는 글인데.. 역시나 끝은 결론이 없는 망글이군요.. 죄송합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