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사고프로세스인 게시물 표시

변화에 대한 저항 6계층

언젠가 글로 썼다고 생각했는데.. 검색해보면 언제나 없었던 주제 중 하나를 이제서야 제 블로그에 남겨봅니다. 바로 변화에 대한 저항의 얘기입니다. 여러분은 변화에 대하여 어떤 경험이 있으신가요? 이직, 결혼 부터 시작해서 우리 회사의 프로세스 변화까지 공과 사로 우리는 일생을 살면서 무수한 변화를 거치게 됩니다. 변화가 없는 삶이란 사실 존재하지 않는다고 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이러한 변화에 대하여 죽음을 받아들이는 5단계(부정 -> 분노 -> 교섭 -> 우울 -> 인정)처럼 6계층의 저항을 펼칩니다. 첫번째는 문제에 동의하지 않습니다. 변화의 원인에 동의하지 않는 단계입니다. 변화의 원인을 부정합니다. 두번째는 해결방안의 방향에 동의하지 않습니다. 자신의 이익을 포기하려 하지 않습니다. 세번째는 문제 해결능력에 동의하지 않습니다. 슬슬 자아비판을 시작합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이 단계에서 컨설턴트를 부르기도 합니다. 네번째는 부작용이 있어 곤란하다고 말합니다. 구더기가 무서워서 장을 담그면 안된다고 주장하는 단계입니다. 포괄적인 저항을 시작합니다. 다섯번째는 다 좋지만 현실적인 장애물이 있다고 합니다. 다시 한번 현실을 끌어들여 부정을 합니다. 여섯번째는 나 혼자 하는 것은 부담스럽다고 말합니다. 동귀어진의 자세로 책임을 회피하고 모두 같이 죽자는 자세입니다. 저항은 위의 6가지가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변화를 수용하는 과정에서 동시 다발적으로 발생됩니다. 이러한 저항을 이겨내고 사람들의 적극적인 협력을 이끌어 내려면 각각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합니다. 각 단계에 대하여 아래와 같은 질문을 해보면 좋습니다. 첫번째 단계에는 문제를 올바로 짚었는가?를 물어봅니다. 우리가 원인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원인이 아닌 경우가 많습니다. 모두가 공감하는 근본원인을 찾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두번째 단계에는 해결책에 대한 방향을 올바로 잡고 있는가?를 ...

저항의 극복, 갈등의 해소

우리는 많은 경우 변화를 겪습니다. 그리고 변화에는 항상 저항을 하는 사람이 생깁니다. 그리고 저항을 하는 사람과 변화를 추진하는 사람 사이에는 항상 갈등이 생깁니다. 우리는 일반적으로 갈등을 해소하는 방법으로 아래와 같은 방법들을 사용합니다. 줄다리기, 강요, 포기, 회피, 타협 이러한 방법들의 공통점은 누군가는 좌절감과 분노를 느낀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방법들을 사용하게 되면 갈등은 해소되지 못하고 임시방편으로 봉합되었다가 훗날 알 수 없는 곳에서 폭발하게 됩니다. 결과적으로 누군가는 회사를 떠날 수도 있고 프로젝트가 실패할 수도 있고 회사가 경제적인 피해를 입을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저항을 극복하고 갈등을 극복하는 방법은 기존에 정말 많은 방법들이 있습니다. 그러한 방법 중 하나가 TOC 이론의 TP(사고 프로세스) 중 증발구름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예를 하나 들어보도록 하죠. 여기 어떤 조직이 있습니다. 이 조직은 새로운 프로세스를 도입하고자 합니다. 애자일 프로세스가 될 수도 있고, 테스팅 프로세스가 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기존 관리자들의 반발이 만만치가 않습니다. 어떤 분들은 그냥 위에서 까라면 까는거지.. 라는 분들도 계시겠지만 앞에서 말했듯이 그렇게 해서 새로운 프로세스를 도입한다고 해도 그 프로세스가 정착할 리 없습니다. 이러한 경우를 증발 구름으로 만들어 보면 이러한 모양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그림이 크다 보니 잘 안보이네요. 클릭하시면 잘 보입니다. 이 증발 구름을 읽는 법이 있습니다. 우선은 D와 D`입니다. D는 내가 바라는 상황입니다. 지금의 상황에서는 '체계적인 프로세스를 구축한다.'가 되겠죠. D`는 상대방이 바라는 상황입니다. '기존의 업무방식을 고수한다.'가 될것입니다. 지금 상항은 이 두 주장이 대립하여 갈등을 일으키고 있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이 두 주장이 왜 갈등을 일으키고 있는 것일까요? 왜 둘 중 하나를 선택하지 못하고 갈등을 일으키는 것일까요? 저는 이렇게 생각해 보았습니다. 기존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