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sability Testing Field Notes http://t.co/vMccVuRU posted at 05:36:50
- Raid a Dungeon, Finger Tap the Drums, and Hadoken! [App Deals Of The Day] http://t.co/bXdFbR6H posted at 07:37:44
- [번역] 리그레션 다시 생각해 보기 - 파트 3: 리스크 완화 전략 http://t.co/CRgWtefS posted at 11:14:14
- 대통령 욕했다고 잡아가는 세상, 노무현도 그랬을까. http://t.co/jHmOCrPF posted at 17:10:03
- MB 손녀의 몽클레어패딩과 노무현 손녀의 샌들 http://t.co/6FljNVky posted at 08:37:29
- The mission of testing is always changing http://t.co/h2ldWbXX posted at 21:17:20
- 2012년도 Google에서 없어지거나 오픈소스화하거나 중단예정인 서비스들 . #google http://t.co/U1Z8KOwf posted at 05:19:43
- 게임회사의 회계이야기 (4) - 예산계획의 시작 http://t.co/vc0TTyb7 posted at 14:49:38
- '사짜'에게 말려들지 않기 http://t.co/deIENSO5 posted at 19:15:02
- 한나라, 디도스 자료 제출 요구… 선관위, "적반하장" 맹비난 http://t.co/cnTRkcQL 꼼수다에 나왔던.. 바로 그곳.. 성지 순례 고고싱.. ㅋㅋㅋ posted at 09:04:54
- [26일(목) 조간] 임기 4년차 경제성장률 노무현 5.2 vs 이명박 3.6 http://t.co/TxUBys6u posted at 10:13:40
- [테스팅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아마도 절대 알아낼 수 없을 것 같은 스파크의 연비 http://t.co/daihFcG4 posted at 11:08:46
- [테스팅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유료]안드로이드 최고의 차계부라 불리는.. - aCar http://t.co/amH3hAjU posted at 13:03:34
- [테스팅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열린 카드 소팅 http://t.co/twJcrmGe posted at 14:55:44
- 나는 민주당의 FTA를 추진했던 실체들이 왜 손바닥 뒤집듯 말을 바꾸었는지 자신들이 무엇을 잘못했는지에 대한 진심어린 사죄를 먼저 해야한다고 생각한다. 은근 슬쩍 FTA 반대라면 자신들을 진보라며 물타지 마라. 네들이 몇년전에 시작한 일이잖아. posted at 15:33:44
프로젝트는 예산, 일정, 품질 3가지 요소로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물론 위 3가지 요소 외에도 개발 범위, 팀워크, 자원 조달 등 여러가지 요소들도 고려해 볼 수 있지만, 가장 중요한 요소를 꼽는다면 예산, 일정, 품질일 것이다. 위에서 말한 여러가지 요소들은 프로젝트를 계획하여 완료하는 순간까지 복합적으로 작용해서 프로젝트의 성과를 제한하게 된다. 위의 요소들을 잘 통제한다면 성공적인 프로젝트가 되는 것이고 그렇지 못한다면 실패하거나 사라지게 될 것이다. 프로젝트 관리란 그런 면에서 제한된 자원을 가지고 목적한 바를 제한된 기간내에 최소의 비용으로 완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을 도식화 한다면 아래와 같은 그림으로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위의 그림에 보는 것처럼 일정과 품질, 예산은 우리의 프로젝트가 목적하는 바를 달성하도록 하기 위해 상호 연관되어 작용하게 된다. 우리가 접하게 되는 많은 방법론들의 가정에는 위의 요소들을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에 대한 기본적인 가정들이 설정되어 있다. 조직에서 어떤 특정한 방법론을 도입한다는 것은 그런 가정에 동의하는 것이고 그러한 철학을 받아들인다는 것이기 때문에, 방법론을 채택하기 전에 조직의 근본 문제와 문화에 대해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그리고 위의 요소들 외에 고려해 볼 사항은 위의 요소들은 변동성과 불확실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비용과 예산, 목적은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가변할 가능성이 매우 큰 요소들이다. 대부분의 방법론은 이러한 변동성에 대한 안전장치들을 가정해서 세워져 있다. 변동성의 측면에서 위의 요소들을 다시 살펴본다면 아래와 같이 가정할 수 있다. 위의 그림을 일부 해석해 본다면 일정이 늘어난다면 비용은 늘어나게 된다. 범위가 변경되어도 비용은 늘어나게 된다. 범위와 일정은 상호 의존적이 된다. 만약 위 3가지 요소의 변동성을 통제하지 못하게 된다면 프로젝트는...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