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lay Something Beautiful, Harness the Power of Gravity and Stop Loafing Around in Bed [App Deals Of The Day] http://t.co/Qd5TYIRe posted at 06:02:48
- Practicing ‘Agile’ Doesn’t Necessarily Make You ‘agile’ http://t.co/cj9y6apC posted at 06:05:36
- 좋은 아키텍처, 나쁜 아키텍처, 이상한 아키텍처 http://t.co/gIyZTsQt posted at 09:30:05
- 임베디드 시스템이 뭐에요? http://t.co/DE0BsTs4 posted at 15:41:47
- 전문성의 저주 http://t.co/Z2Gb9BIW posted at 18:51:20
- 라식하면 백내장이 생긴다? http://t.co/GxBddj6n posted at 18:52:47
- Battle Your Word-Nerd Friends, Swipe Your Tunes, and Get some Work Done [App Deals Of The Day] http://t.co/5SbP0Wmo posted at 07:57:52
- [테스팅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murianwind의 트위터 - 2011년 12월 30일 ~ 2012년 01월05일 http://t.co/9mZbB63Q posted at 10:59:45
- 끔찍할 정도로 정확한 이명박 분석, 김유찬의 '이명박 리포트' http://t.co/FMsD2h0s posted at 15:09:34
- RT @noogabar: #누가바 닷컴 [새글] ★클라이언트 최적화 테스트하기 http://t.co/yDzGNIoM posted at 03:03:34
- [테스팅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사용성은 상대적이다. 그래서 어렵다. http://t.co/Uc3SeMLa posted at 04:01:42
- 클라이언트가 사용자 컴퓨터 환경을 수집하는건 요즘은 법적으로 문제가 될 확률이 높은걸로 알고 있습니다. 요즘 나오는 백신들의 경우에도 클라이언트가 사용자 컴퓨터 환경을 수집... [클라이언트 최적화 테스트하기] http://t.co/4S2mIFlJ posted at 04:05:17
- SC제일은행의 이름 변경 - 제일이란 이름은 사라짐. http://t.co/XJcwob4E posted at 04:15:41
- RT @oisoo1: 직접 체험해 보고 아는 놈보다 들은 풍월로 아는 놈이 훨씬 잘난 척할 때가 많습니다. 거기다 목소리까지 크면 끝장이지요. 하지만 잘난 척하는 놈보다 더 얄미운 놈이 있습니다. 국물도 못 얻어먹으면서 입에 거품을 물고 무조건 그놈 편을 드는 놈이지요. posted at 10:02:44
- UX is Everything !! http://t.co/SUUHQEZO posted at 13:15:58
- IKEA 효과를 아시나요? http://t.co/99dOqNqm posted at 15:16:27
- 아.. 법적인 얘기는 본문하고는 별 상관이 없고요.. 제가 얘기한 부분은 게임 등을 개발할때 최저 사양 구할 때 옛날에는 클라이언트에 사요자 정보를 수집하는 모듈을 올려서 수... [클라이언트 최적화 테스트하기] http://t.co/4S2mIFlJ posted at 20:51:13
- 그런데.. 프레임을 측정하는 도구를 사용하다보면 프레임을 측정하는 도구 자체도 리소스를 사용하면서 게임의 프레임을 약간 저하시키는 경우가 있어서 저는 저 도구를 사용할때 약간... [클라이언트 최적화 테스트하기] http://t.co/4S2mIFlJ posted at 20:53:54
- 반디캠이라는 도구도 있긴 합니다. [클라이언트 최적화 테스트하기] http://t.co/4S2mIFlJ posted at 23:01:01
- Google의 버그 예측 알고리즘을 구현한 툴 ‘bugspots’이 오픈 소스로 공개 http://t.co/h43aeffo posted at 11:35:37
- Infographic: How Big is 50 GB? Get Your FREE Space Today! | The Box Blog http://t.co/O0BnBbjh @BoxHQ 에서 #lu2300 옵큐로 50기가 웹하드를.. posted at 22:09:59
- 게임회사의 회계이야기 (1) - 누구에게나 회계는 있다 http://t.co/uWIPC1DC posted at 07:21:10
프로젝트는 예산, 일정, 품질 3가지 요소로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물론 위 3가지 요소 외에도 개발 범위, 팀워크, 자원 조달 등 여러가지 요소들도 고려해 볼 수 있지만, 가장 중요한 요소를 꼽는다면 예산, 일정, 품질일 것이다. 위에서 말한 여러가지 요소들은 프로젝트를 계획하여 완료하는 순간까지 복합적으로 작용해서 프로젝트의 성과를 제한하게 된다. 위의 요소들을 잘 통제한다면 성공적인 프로젝트가 되는 것이고 그렇지 못한다면 실패하거나 사라지게 될 것이다. 프로젝트 관리란 그런 면에서 제한된 자원을 가지고 목적한 바를 제한된 기간내에 최소의 비용으로 완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을 도식화 한다면 아래와 같은 그림으로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위의 그림에 보는 것처럼 일정과 품질, 예산은 우리의 프로젝트가 목적하는 바를 달성하도록 하기 위해 상호 연관되어 작용하게 된다. 우리가 접하게 되는 많은 방법론들의 가정에는 위의 요소들을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에 대한 기본적인 가정들이 설정되어 있다. 조직에서 어떤 특정한 방법론을 도입한다는 것은 그런 가정에 동의하는 것이고 그러한 철학을 받아들인다는 것이기 때문에, 방법론을 채택하기 전에 조직의 근본 문제와 문화에 대해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그리고 위의 요소들 외에 고려해 볼 사항은 위의 요소들은 변동성과 불확실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비용과 예산, 목적은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가변할 가능성이 매우 큰 요소들이다. 대부분의 방법론은 이러한 변동성에 대한 안전장치들을 가정해서 세워져 있다. 변동성의 측면에서 위의 요소들을 다시 살펴본다면 아래와 같이 가정할 수 있다. 위의 그림을 일부 해석해 본다면 일정이 늘어난다면 비용은 늘어나게 된다. 범위가 변경되어도 비용은 늘어나게 된다. 범위와 일정은 상호 의존적이 된다. 만약 위 3가지 요소의 변동성을 통제하지 못하게 된다면 프로젝트는...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