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전 구글로부터 청천벽력같은 소식이 날아들었다.
오는 7월 구글리더의 서비스를 종료하겠다는..
이후로 SNS와 커뮤니티들은 일대 혼란에 빠져들었고, 서명운동까지 일어났다.
블로거들은 이와 관련된 글들을 쏟아내기 시작했다.
그리고 일대 소란은 이제 소강상태이다.
7월까지는 아직 시간이 남아 있고, 많은 구글리더 사용자들은 대체제를 찾고 있다.
이 모든 사태를 바라보며, 지난 수년간 구글 리더를 통해서 정보를 얻어온 한 사람으로서 만감이 교차했다.
기업이란 자선 단체가 아니다. 그러므로 이익이 되지 않는 사업은 쳐내야 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하지만 기업과 서비스의 영속성으로 과연 이익으로만 봐야하는 것일까?
몇년전부터 이에 대한 고민도 해보고 글도 몇번 써보았지만 내 짧은 지식으로는 정답은 모르겠다.
세상에 돈보다 더 강력한 것이 있기나 한지도 의문이다.
다만, 이번 구글리더의 폐쇄로 기업과 서비스란 영속성을 지닐 수 없다는 것을 다시 한번 느끼는 시간이었다.
난 구글을 도데체 얼마나 신뢰하고 있었던 것일까?
그 신뢰는 무엇을 근거로 했던 것일까?
구글리더의 폐쇄를 바라보면서 당장 내일 블로거, 지메일, 구글 캘린더 뿐만 아니라 구글이 사라진다해도 전혀 이상할 것이 없을것만 같은 기분이다.
난 이익이 되지 않기 때문에 구글리더를 폐쇄한다는 구글의 결정을 비난하고 싶지 않다.
대체제가 있는 상황에서 시장이 변화하고 새로운 시장이 성숙한 상태에서 과거의 서비스가 사라지는 것은 충격이 크지 않다.
한때 인터넷이라는 것을 쓰기 위해서 천리안을 쓰던 시절에서 천리안이 없어지더라도 인터넷을 쓰는데 아무 문제가 없는 상황이 된 뒤의 천리안의 폐쇄는 충격이긴 하지만 그건 추억의 한켠이 사라지는 충격 쯤이다
그런데, 작금의 구글리더의 폐쇄는 대체제가 없다는 것이 문제이다.
RSS라는 기술이 HTML5나 기타 다른 기술로 대체되어 있는 것도 아니고 구글리더의 독보적인 서비스를 대체할만한 서비스도 없는 상황에서 구글리더의 폐쇄는 정말 충격적이다.
구글에게 최소한의 이러한 상황을 고려해주었으면 하는 바램은 사치인것일까?
구글 정도 되는 회사에서 최소한 서비스를 유지해주거나 관련 기술을 오픈소스로 배포해서 새로운 대체 서비스가 생겨날 수 있도록 배려해달라는 것은 지난 몇년간 구글리더 뿐만 아니라 각종 구글 서비스를 애용하고 있는 사용자로서 너무 과한 요구인것일까?
구글리더의 폐쇄를 바라보면서 정말 만감이 교차한다.
그런데, 현재 구글에서 정말 이익을 가져다 주는 서비스가 얼마나 되는 것일까?
구글리더의 폐쇄를 바라보면서 드는 생각은 조만간 블로거가 타겟이 되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다.
이미 구글은 텍스트큐브를 폐쇄한 전례가 있지 않은가?
구글의 변명대로 SNS의 성장이 대체제가 될 수 있다면 블로거가 다음 타겟이 되지 않을까?
오는 7월 구글리더의 서비스를 종료하겠다는..
이후로 SNS와 커뮤니티들은 일대 혼란에 빠져들었고, 서명운동까지 일어났다.
블로거들은 이와 관련된 글들을 쏟아내기 시작했다.
그리고 일대 소란은 이제 소강상태이다.
7월까지는 아직 시간이 남아 있고, 많은 구글리더 사용자들은 대체제를 찾고 있다.
이 모든 사태를 바라보며, 지난 수년간 구글 리더를 통해서 정보를 얻어온 한 사람으로서 만감이 교차했다.
기업이란 자선 단체가 아니다. 그러므로 이익이 되지 않는 사업은 쳐내야 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하지만 기업과 서비스의 영속성으로 과연 이익으로만 봐야하는 것일까?
몇년전부터 이에 대한 고민도 해보고 글도 몇번 써보았지만 내 짧은 지식으로는 정답은 모르겠다.
세상에 돈보다 더 강력한 것이 있기나 한지도 의문이다.
다만, 이번 구글리더의 폐쇄로 기업과 서비스란 영속성을 지닐 수 없다는 것을 다시 한번 느끼는 시간이었다.
난 구글을 도데체 얼마나 신뢰하고 있었던 것일까?
그 신뢰는 무엇을 근거로 했던 것일까?
구글리더의 폐쇄를 바라보면서 당장 내일 블로거, 지메일, 구글 캘린더 뿐만 아니라 구글이 사라진다해도 전혀 이상할 것이 없을것만 같은 기분이다.
난 이익이 되지 않기 때문에 구글리더를 폐쇄한다는 구글의 결정을 비난하고 싶지 않다.
대체제가 있는 상황에서 시장이 변화하고 새로운 시장이 성숙한 상태에서 과거의 서비스가 사라지는 것은 충격이 크지 않다.
한때 인터넷이라는 것을 쓰기 위해서 천리안을 쓰던 시절에서 천리안이 없어지더라도 인터넷을 쓰는데 아무 문제가 없는 상황이 된 뒤의 천리안의 폐쇄는 충격이긴 하지만 그건 추억의 한켠이 사라지는 충격 쯤이다
그런데, 작금의 구글리더의 폐쇄는 대체제가 없다는 것이 문제이다.
RSS라는 기술이 HTML5나 기타 다른 기술로 대체되어 있는 것도 아니고 구글리더의 독보적인 서비스를 대체할만한 서비스도 없는 상황에서 구글리더의 폐쇄는 정말 충격적이다.
구글에게 최소한의 이러한 상황을 고려해주었으면 하는 바램은 사치인것일까?
구글 정도 되는 회사에서 최소한 서비스를 유지해주거나 관련 기술을 오픈소스로 배포해서 새로운 대체 서비스가 생겨날 수 있도록 배려해달라는 것은 지난 몇년간 구글리더 뿐만 아니라 각종 구글 서비스를 애용하고 있는 사용자로서 너무 과한 요구인것일까?
구글리더의 폐쇄를 바라보면서 정말 만감이 교차한다.
그런데, 현재 구글에서 정말 이익을 가져다 주는 서비스가 얼마나 되는 것일까?
구글리더의 폐쇄를 바라보면서 드는 생각은 조만간 블로거가 타겟이 되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다.
이미 구글은 텍스트큐브를 폐쇄한 전례가 있지 않은가?
구글의 변명대로 SNS의 성장이 대체제가 될 수 있다면 블로거가 다음 타겟이 되지 않을까?
뭐, 인터넷에는 가벼운 글들만 남을수 밖에 없는 현실의 반영일런지도요.
답글삭제질문...
답글삭제RSS가 어려운 기술이 아닐 것 같은데 왜 구글리더 대체제가 없는 것일까요?
HANRSS와 같은 서비스들이 분명 있지만.. 구글리더만큼 빠른 크롤링과 안정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가 없다는 것이 함정이죠.
답글삭제그렇군요... 세상에 착한 분들이 많으니까 누군가 만들지 않을까요? ^^
답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