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등 네이버, 대한민국의 불행 : 웹툰 19/20 http://t.co/bRsO7tpf posted at 05:53:27
- Why most UX is shite http://t.co/tsx0uAwr posted at 05:56:04
- Presentation: A Dash of Kanban Anyone? http://t.co/EyocuKSn posted at 06:13:18
- RT @SongYoungDae: [송영대의 배움]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는 사람을 부릴 때는그 스람의 역량에 따라 일을 맡긴다. 그러나 소인은 사람을 부릴 경우에는 능력을 다 갖추고 있기를 요구한다." -논어- posted at 08:46:12
- 개발자가 폐쇄적 공간을 좋아하는 이유 http://t.co/u1cbtHFO posted at 10:15:58
- 오픈캡쳐, 오픈을 버리다 http://t.co/LAW5rkw0 posted at 10:35:32
- 게임회사의 회계이야기 (7) - 환율이 닌텐도의 목을 졸랐다고? http://t.co/XqSXp0Os posted at 18:24:12
- [독서광] 대한민국 소프트웨어, 리스타트 http://t.co/xYtf01v8 posted at 00:17:52
- 외교차량..'외교' 번호판이 벼슬인가??? http://t.co/7ZbsMvbu posted at 00:20:12
- Outsourcing Your User Research Is Like Outsourcing Your Vacation http://t.co/2mazed0q posted at 07:19:30
- 게임 개발을 꿈꾸는 이들에게 고함 : 사실은 현업인들에게 고함 http://t.co/GXpGyqRF posted at 02:20:41
- 광주 출장으로 차를 끌고 출근하는데 사고 1건, 퍼진 버스 1건, 석촌역 근방 화재 1건 목격.. 액땜인가? 아침부터 다채로운 사건이 그득하군요.. posted at 08:58:35
- 오픈캡쳐를 대체할 화면 캡처 도구들 http://t.co/1z83uqbE posted at 10:20:57
- RT @leejongjae: 코레일은 6칸으로 줄인 중앙선을 다시 8칸으로 늘려라..이러다 사람 잡겠다. 아니면 당신들이 타 보시던지... posted at 10:49:11
- 곽노현 교육감 장남 공익근무 크리 http://t.co/m4tnKSsl posted at 06:46:07
- Estimating and Planning Are Necessary for Maximizing Delivered Value http://t.co/ZuTTpfpK posted at 07:50:48
- 내가 개발자를 먹여 살린다 http://t.co/qsTqExom posted at 16:06:51
- 개발자들을 위한 행사 http://t.co/6xtqj8bm posted at 19:14:34
- Introducing Chrome for Android http://t.co/Pmf4jduh posted at 05:33:01
- Fact vs. Fiction: What Usability is Not http://t.co/EpelIMV9 posted at 05:41:00
- 하얀집 에 대한 평가등록!(5점)겁나 맛있는데 서비스는 별루... http://t.co/k403t7rG #GOLDinCITY posted at 12:43:25
- 게임 UX 기획 - how http://t.co/NmWTpJr0 posted at 11:43:02
프로젝트는 예산, 일정, 품질 3가지 요소로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물론 위 3가지 요소 외에도 개발 범위, 팀워크, 자원 조달 등 여러가지 요소들도 고려해 볼 수 있지만, 가장 중요한 요소를 꼽는다면 예산, 일정, 품질일 것이다. 위에서 말한 여러가지 요소들은 프로젝트를 계획하여 완료하는 순간까지 복합적으로 작용해서 프로젝트의 성과를 제한하게 된다. 위의 요소들을 잘 통제한다면 성공적인 프로젝트가 되는 것이고 그렇지 못한다면 실패하거나 사라지게 될 것이다. 프로젝트 관리란 그런 면에서 제한된 자원을 가지고 목적한 바를 제한된 기간내에 최소의 비용으로 완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을 도식화 한다면 아래와 같은 그림으로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위의 그림에 보는 것처럼 일정과 품질, 예산은 우리의 프로젝트가 목적하는 바를 달성하도록 하기 위해 상호 연관되어 작용하게 된다. 우리가 접하게 되는 많은 방법론들의 가정에는 위의 요소들을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에 대한 기본적인 가정들이 설정되어 있다. 조직에서 어떤 특정한 방법론을 도입한다는 것은 그런 가정에 동의하는 것이고 그러한 철학을 받아들인다는 것이기 때문에, 방법론을 채택하기 전에 조직의 근본 문제와 문화에 대해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그리고 위의 요소들 외에 고려해 볼 사항은 위의 요소들은 변동성과 불확실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비용과 예산, 목적은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가변할 가능성이 매우 큰 요소들이다. 대부분의 방법론은 이러한 변동성에 대한 안전장치들을 가정해서 세워져 있다. 변동성의 측면에서 위의 요소들을 다시 살펴본다면 아래와 같이 가정할 수 있다. 위의 그림을 일부 해석해 본다면 일정이 늘어난다면 비용은 늘어나게 된다. 범위가 변경되어도 비용은 늘어나게 된다. 범위와 일정은 상호 의존적이 된다. 만약 위 3가지 요소의 변동성을 통제하지 못하게 된다면 프로젝트는...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