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 며칠 누리망을 따끈따끈하게 데우고 있는 글이 있습니다.
조성문님의 진정한 '행복에 대하여 – 가족 중심 문화의 중요성' 그리고 윤석찬님의 '나의 가족과 저녁이 있는 삶' 입니다.
각각, 미국과 우리 나라에서 가족과 함께 하는 삶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저도 두 아이의 아빠로서 가슴 깊이 공감하며 읽었습니다.
그런데, 이런 주제의 글은 사실 그다지 새로울 것이 없이 우리 나라에서 IT 노동자의 삶을 이야기하다보면 매년 제기되는 문제입니다.
계속되는 야근과 철야로 얼룩진 망가진 삶.. 애인도 없고, 결혼을 해도 가족과 함께 하지 못하고, 모 기업의 사장은 컨퍼런스에 나와서 이 제품을 개발하느라 이혼한 개발자도 있다며 자랑스럽게 이야기하는..
모든 사람이 그렇지는 않지만 분명 우리 나라의 노동자는 대체로 비참하게 산다고 봅니다.이게 자신의 노력만으로 개선이 가능한지는 저는 조금 의구심이 듭니다. 물론 많은 것을 포기한다면 어느 정도까지는 가능하다고 봅니다. 하지만 개인의 노력으로는 분명 한계가 있습니다.
조직과 사회가 그것을 받아들여줄 제도적 장치와 문화가 준비되지 않는다면 개인의 노력은 정말 비루하기 짝이 없습니다.
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저는 나름 다른 많은 IT 노동자보다는 훨씬 나은 삶을 살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 모든 것에 대해 주님께 감사드리고 만족하며 살고 있습니다.
저는 나름 정시 출근을 하고 정시 퇴근을 하며, 월급이 밀려 본적도 없이 안정적인 직장생활을 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어찌 보면 이런 것을 용인해주는 회사의 문화와 약간의 희생을 감수하는 저의 노력으로 얻어진 것입니다.
하지만 이 선을 넘을 수는 없습니다. 무슨 얘기인고 하니..
작년에 저는 큰 아이를 어린이집에 보내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어린이집이 아이가 걸어서 갈 수 있는 곳이 아니라 제가 차에 태워서 보내야 하는 곳이었습니다. 제 나름의 소신이 있었기 때문에 집 주변의 사립 어린이집이 아닌 공동육아 어린이집으로 매일 같이 아침 새벽 6시 일어나 7시까지 아이를 어린이집에 데려다 주고, 매일 저녁 6시면 칼같이 퇴근해서 아이를 데리고 집으로 돌아가는 일상이 시작되었습니다.
공동육아를 해보신 분은 아시겠지만 단순히 아이를 어린이집에 데려다주고 데려오는 것으로 끝나지 않습니다. 적어도 한달에 한번은 휴가를 내어서 아이들의 일일교사가 되어야 했고, 주말에는 어린이집의 대소사를 함께 챙겨야 했습니다.
모든 생활이 어린이집에 맞추어지자 회사에서의 생활이 삐그덕 거리기 시작했습니다.
주말 근무, 출장, 야근 모든 것에서 마찰이 생겼습니다.
여기서 고민이 시작되었습니다. 나름 애를 써가며 주말에 근무도 하고 집으로 돌아와 야근을 불사하며 집과 회사의 생활에 균형을 맞추기 위해 애를 썼지만 어쩔 수 없이 다른 직원과 저의 회사 생활에 대한 균형이 깨지기 시작했습니다.
회사 동료들은 자신들은 야근을 하는데, 저는 칼퇴근을 하며
자신들은 매주같이 출장을 가는데, 저는 요리조리 빠져나가고
자신들은 주말에 나와 근무를 하는데, 저는 요리조리 빠져나가고
이러다 보니 알게 모르게 주변 동료들의 불만이 쌓여가고, 종국에는 업무 태도가 좋지 않다며, 그럴거면 이직을 하든지 창업을 하라는 얘기까지 들었습니다.
제가 이전보다 업무 능력이 현저히 떨어진 것도 아니었고, 저는 정시 출근, 정시 퇴근을 했으며, 다만 야근이나 주말근무, 출장을 많이 못나갔을 뿐입니다.
결국 이런 저런 이유로 저는 아이가 다니던 어린이집을 그만둘 수밖에 없었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저에게 융통성이 없다고 할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분명한건 우리 나라는 아무리 이해심이 넓은 직장동료와 상사를 모신다 하더라도 가정이 우선인 문화는 절대 아니라는 겁니다.
저는 작년에 제가 직장생활을 시작한 9년 중 처음으로 가족여행을 가보았습니다. 여름 휴가라는걸 가보았습니다. 머.. 물론 회사에서 가지 말라고 저를 압박한적은 없습니다. 다만 제가 그런 식으로 휴가를 가면 제 자리가 사라질까 두려워 그동안 가보지 못했습니다.
가정을 우선시하는 직장인은 직장 안에서 알게 모르게 미움을 받거나 따돌림을 당합니다. 저도 알게 모르게 그게 각인되어 있습니다.
개인의 노력으로 직장과 가정에 균형을 맞추는건 한계가 있습니다. 저는 나름 좋은 직장인지라 주말 근무가 많지 않습니다만, 직장에서 지속적으로 살아남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이 직장에 좀 더 추를 옮겨야 합니다.
저녁이 있는 삶이 힘든 다른 이유 중 하나는 엄청난 출퇴근 시간입니다.
저는 지금은 하루에 5시간을 출퇴근 시간으로 씁니다. 본사에 근무하더라도 출퇴근 시간은 얼추 하루에 2시간 반정도입니다.
6시에 칼퇴근을 한다고 해도 집에 가면 7시 반 쯤이 됩니다.
씻고 밥 먹고 나면 자야하는 시간입니다. 삶에 여유가 없습니다.
회사 근처에 살 수 있다면 좋겠지요. 하지만 우리나라에서 그게 가능이나 한건지.. 사정이 이러다보니 주중에 운동 한번 하는 것도 쉽지 않습니다. 아이와 함께 택견이나 그런걸 배워보고 싶어도 꿈같은 이야기입니다.
예전에 대금이 너무 배워보고 싶어서 한 두달 배우다 포기했습니다. 1주일에 3번 가는 것도 힘들더군요..
예전에 한번은 주말에 사내에서 진행하는 세미나에 아이를 데리고 참석한적도 있습니다. 그냥 반항이었습니다. 주말에는 가족과 지내고 싶은 마음에 소심한 반항이었죠. 동료들은 웃고 넘어가 주었지만 저는 마음이 편하지는 않았습니다.
예전에 파견을 나가던 곳에서는 제가 할일만 딱 끝내고 칼같이 출근해서 칼같이 퇴근하는 일상을 여전히 반복했던 적이 있습니다.
몇주가 지나자 PM은 바로 저희 회사 윗선에 제가 근무태도가 좋지 않다며, 개발자들은 모두 야근하고 그러는데 제가 프로젝트에 집중하지 않는다며 불만을 얘기했습니다.
그래서 저는 어쩔 수 없이 할일도 없이 몇번의 야근을 했던 적도 있습니다.
성과, 능력 그런건 개뿔.. 우리 나라에서는 보여주기식으로 일을 해야 일을 잘하는 겁니다.
특정 정도의 능력은 기본이고 보여주기식으로 야근도 하고 철야도 해줘야 합니다.
그렇게 못할거면 가정을 위해서 살아주는건 꿈도 못 꿉니다. 가정을 위해 사는 사람을 직장에서는 이기적이라고 말합니다.
전 그게 우리네 현실이라고 봅니다.
물론 이건 저만의 경험이니 저와는 또 다르게 현실을 인식하시는 분들도 계시겠죠. 어쩌면 제가 제 직장 동료들에 대해 오해를 하고 있을 수도 있습니다.
머 주저리 주저리 말은 많았지만 그냥 그렇습니다. 우리네 아빠는 정말 힘듭니다.
조성문님의 진정한 '행복에 대하여 – 가족 중심 문화의 중요성' 그리고 윤석찬님의 '나의 가족과 저녁이 있는 삶' 입니다.
각각, 미국과 우리 나라에서 가족과 함께 하는 삶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저도 두 아이의 아빠로서 가슴 깊이 공감하며 읽었습니다.
그런데, 이런 주제의 글은 사실 그다지 새로울 것이 없이 우리 나라에서 IT 노동자의 삶을 이야기하다보면 매년 제기되는 문제입니다.
계속되는 야근과 철야로 얼룩진 망가진 삶.. 애인도 없고, 결혼을 해도 가족과 함께 하지 못하고, 모 기업의 사장은 컨퍼런스에 나와서 이 제품을 개발하느라 이혼한 개발자도 있다며 자랑스럽게 이야기하는..
모든 사람이 그렇지는 않지만 분명 우리 나라의 노동자는 대체로 비참하게 산다고 봅니다.이게 자신의 노력만으로 개선이 가능한지는 저는 조금 의구심이 듭니다. 물론 많은 것을 포기한다면 어느 정도까지는 가능하다고 봅니다. 하지만 개인의 노력으로는 분명 한계가 있습니다.
조직과 사회가 그것을 받아들여줄 제도적 장치와 문화가 준비되지 않는다면 개인의 노력은 정말 비루하기 짝이 없습니다.
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저는 나름 다른 많은 IT 노동자보다는 훨씬 나은 삶을 살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 모든 것에 대해 주님께 감사드리고 만족하며 살고 있습니다.
저는 나름 정시 출근을 하고 정시 퇴근을 하며, 월급이 밀려 본적도 없이 안정적인 직장생활을 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어찌 보면 이런 것을 용인해주는 회사의 문화와 약간의 희생을 감수하는 저의 노력으로 얻어진 것입니다.
하지만 이 선을 넘을 수는 없습니다. 무슨 얘기인고 하니..
작년에 저는 큰 아이를 어린이집에 보내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어린이집이 아이가 걸어서 갈 수 있는 곳이 아니라 제가 차에 태워서 보내야 하는 곳이었습니다. 제 나름의 소신이 있었기 때문에 집 주변의 사립 어린이집이 아닌 공동육아 어린이집으로 매일 같이 아침 새벽 6시 일어나 7시까지 아이를 어린이집에 데려다 주고, 매일 저녁 6시면 칼같이 퇴근해서 아이를 데리고 집으로 돌아가는 일상이 시작되었습니다.
공동육아를 해보신 분은 아시겠지만 단순히 아이를 어린이집에 데려다주고 데려오는 것으로 끝나지 않습니다. 적어도 한달에 한번은 휴가를 내어서 아이들의 일일교사가 되어야 했고, 주말에는 어린이집의 대소사를 함께 챙겨야 했습니다.
모든 생활이 어린이집에 맞추어지자 회사에서의 생활이 삐그덕 거리기 시작했습니다.
주말 근무, 출장, 야근 모든 것에서 마찰이 생겼습니다.
여기서 고민이 시작되었습니다. 나름 애를 써가며 주말에 근무도 하고 집으로 돌아와 야근을 불사하며 집과 회사의 생활에 균형을 맞추기 위해 애를 썼지만 어쩔 수 없이 다른 직원과 저의 회사 생활에 대한 균형이 깨지기 시작했습니다.
회사 동료들은 자신들은 야근을 하는데, 저는 칼퇴근을 하며
자신들은 매주같이 출장을 가는데, 저는 요리조리 빠져나가고
자신들은 주말에 나와 근무를 하는데, 저는 요리조리 빠져나가고
이러다 보니 알게 모르게 주변 동료들의 불만이 쌓여가고, 종국에는 업무 태도가 좋지 않다며, 그럴거면 이직을 하든지 창업을 하라는 얘기까지 들었습니다.
제가 이전보다 업무 능력이 현저히 떨어진 것도 아니었고, 저는 정시 출근, 정시 퇴근을 했으며, 다만 야근이나 주말근무, 출장을 많이 못나갔을 뿐입니다.
결국 이런 저런 이유로 저는 아이가 다니던 어린이집을 그만둘 수밖에 없었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저에게 융통성이 없다고 할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분명한건 우리 나라는 아무리 이해심이 넓은 직장동료와 상사를 모신다 하더라도 가정이 우선인 문화는 절대 아니라는 겁니다.
저는 작년에 제가 직장생활을 시작한 9년 중 처음으로 가족여행을 가보았습니다. 여름 휴가라는걸 가보았습니다. 머.. 물론 회사에서 가지 말라고 저를 압박한적은 없습니다. 다만 제가 그런 식으로 휴가를 가면 제 자리가 사라질까 두려워 그동안 가보지 못했습니다.
가정을 우선시하는 직장인은 직장 안에서 알게 모르게 미움을 받거나 따돌림을 당합니다. 저도 알게 모르게 그게 각인되어 있습니다.
개인의 노력으로 직장과 가정에 균형을 맞추는건 한계가 있습니다. 저는 나름 좋은 직장인지라 주말 근무가 많지 않습니다만, 직장에서 지속적으로 살아남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이 직장에 좀 더 추를 옮겨야 합니다.
저녁이 있는 삶이 힘든 다른 이유 중 하나는 엄청난 출퇴근 시간입니다.
저는 지금은 하루에 5시간을 출퇴근 시간으로 씁니다. 본사에 근무하더라도 출퇴근 시간은 얼추 하루에 2시간 반정도입니다.
6시에 칼퇴근을 한다고 해도 집에 가면 7시 반 쯤이 됩니다.
씻고 밥 먹고 나면 자야하는 시간입니다. 삶에 여유가 없습니다.
회사 근처에 살 수 있다면 좋겠지요. 하지만 우리나라에서 그게 가능이나 한건지.. 사정이 이러다보니 주중에 운동 한번 하는 것도 쉽지 않습니다. 아이와 함께 택견이나 그런걸 배워보고 싶어도 꿈같은 이야기입니다.
예전에 대금이 너무 배워보고 싶어서 한 두달 배우다 포기했습니다. 1주일에 3번 가는 것도 힘들더군요..
예전에 한번은 주말에 사내에서 진행하는 세미나에 아이를 데리고 참석한적도 있습니다. 그냥 반항이었습니다. 주말에는 가족과 지내고 싶은 마음에 소심한 반항이었죠. 동료들은 웃고 넘어가 주었지만 저는 마음이 편하지는 않았습니다.
예전에 파견을 나가던 곳에서는 제가 할일만 딱 끝내고 칼같이 출근해서 칼같이 퇴근하는 일상을 여전히 반복했던 적이 있습니다.
몇주가 지나자 PM은 바로 저희 회사 윗선에 제가 근무태도가 좋지 않다며, 개발자들은 모두 야근하고 그러는데 제가 프로젝트에 집중하지 않는다며 불만을 얘기했습니다.
그래서 저는 어쩔 수 없이 할일도 없이 몇번의 야근을 했던 적도 있습니다.
성과, 능력 그런건 개뿔.. 우리 나라에서는 보여주기식으로 일을 해야 일을 잘하는 겁니다.
특정 정도의 능력은 기본이고 보여주기식으로 야근도 하고 철야도 해줘야 합니다.
그렇게 못할거면 가정을 위해서 살아주는건 꿈도 못 꿉니다. 가정을 위해 사는 사람을 직장에서는 이기적이라고 말합니다.
전 그게 우리네 현실이라고 봅니다.
물론 이건 저만의 경험이니 저와는 또 다르게 현실을 인식하시는 분들도 계시겠죠. 어쩌면 제가 제 직장 동료들에 대해 오해를 하고 있을 수도 있습니다.
머 주저리 주저리 말은 많았지만 그냥 그렇습니다. 우리네 아빠는 정말 힘듭니다.
동의합니다. 야근은 개인의 문제라기보다는 환경의 문제입니다.
답글삭제정말 공감합니다. 가족보다 중요한게 없는데 참 안타까울 때가 많아요..
답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