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게이트맨 연동기와 도어센서로 HA에 현관문 리모컨 구현하기

이번에 저희 집이 게이트맨 도어락을 구입해서 설치했습니다.

설치한김에 게이트맨 연동기로 HA에서 현관문을 열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한 것을 공유해보고자 합니다.

초보는 검색도 힘들고.. 말해도 말귀도 어두워서..

막상 해보면 별거 없는데.. 그래도 혹시나 자신 없어 하시는 분들을 위해.. 남겨봅니다.

우선 준비물이 필요합니다.

HA는 당연히 있어야 할거고요..

ESP32로 구현하시는 분들도 계시던데.. 저는 직비로 할 예정이기 때문에.. 직비 코디네이터는 있으셔야 하고.. HA에 Z2M은 설치되어 있으셔야 합니다.(여기서부터.. 절대 초보자가 따라 할 수 없는 수준인것 같은 느낌이지만.. 직비는 HA에 알아서 구현해보세용.. 여기서는 그 정도는 당연히 되어 있다고 가정하고 진행하겠습니다.)

그 다음에 게이트맨 연동기를 조작할 직비 릴레이가 필요합니다. 저는 이걸 구매했습니다.

https://ko.aliexpress.com/item/1005002306870803.html?spm=a2g0s.9042311.0.0.663e4c4dcH88wQ

저도 몰랐는데.. 전원에 연결되는 직비 장치는 라우터 기능이 대부분 들어있다고 합니다. 이 릴레이도 라우터 기능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렇잖아도 라우터가 하나 필요했는데.. 득템했네요.

그 다음에 스마트폰 충전 케이블과 어뎁터가 있으셔야 하고요.

게이트맨 연동기가 있어야겠죠.

저는 여기서 구매했는데요..

https://shop.11st.co.kr/stores/228714/search?searchKwd=%25EA%25B2%258C%25EC%259D%25B4%25ED%258A%25B8%25EB%25A7%25A8

본인의 도어락이 어떤걸 지원하는지 꼭 확인해보시고.. 자신 없으시면 게이트맨 고객센터에 전화해서 꼭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저는 처음에 홈케어로 잘못 구매해서 교환 받았습니다. ㅠㅠ

덕분에 연동기가 하나 더 생겼네요..

그 다음에 저희 집은 그 흔한 월패드 하나 없는 구축 중에 구축 아파트입니다. 그래서 버튼이 하나 필요할 거 같아서..

이것도 구매했습니다.

https://www.ikea.com/kr/ko/p/tradfri-shortcut-button-white-80356384/

이제 준비물이 준비되었으면..

구현해볼까요?

우선.. 최종 구현한 사진입니다.

게이트맨 연동기와 직비 릴레이 크기는 생각보다 작습니다. 가로 10cm, 세로 10cm, 높이 5cm 정도 되는 명함 케이스면 쏙 들어갑니다.

게이트맨 연동기에는 전선이 4가닥 있습니다.

빨간색과 검은색이 전원선입니다.

게이트맨 연동기는 스마트폰 충전기로도 충분히 동작합니다.

직비 릴레이도 스마트폰 충전기로 동작하기 때문에..

저는 아래처럼 전원을 공급하도록 했습니다. 스마트폰 충전기 어뎁처 중에 포트가 2개 있는 어뎁터가 있는데 거기에 케이블 2개를 꼽고 하나는 연동기로 하나는 직비 릴레이로 연결했습니다. 케이블 하나로 2개 장치에 모두 전원을 공급하셔도 되는데.. 저는 그냥 깔끔하게 따로 따로 연결했습니다.


빨간색과 검은색을 전원에 연결하시고 연동기를 도어락에 등록을 하신 다음에 나머지 하얀색과 노란색을 쇼트시켜서 도어락이 정상으로 열리는지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연동기가 제대로 동작하면 이제 하얀색 선과 노란색 선을 직비 릴레이의 3번과 4번에 연결하시면 됩니다.

그 다음에 2번 버튼이 페어링 버튼입니다. 꾹 눌러서 LED 가 번쩍이면 Z2M에 등록하시면 됩니다.

1번 버튼이 모드 버튼입니다. 한번 누르면 스위치 모드이고 다시 한번 누르면 인칭 모드라고 해서 딸깍 켜졌다가 바로 딸깍 꺼지는 모드입니다. 저희는 인칭 모드를 쓸거기 때문에 Z2M에 등록하신 다음에 스위치를 동작해서 확인해 보시고 인칭 모드로 설정하시기 바랍니다.

자.. 이제 연동기와 직비 릴레이가 HA에 등록이 되었으면.. 문 열림 상태에 따른 자동화를 추가해보겠습니다.

그래서 도어 센서가 하나 필요합니다. 도어 센서는 구매하셔서 현관문에 잘 설치해주시고 Z2M에 등록해두시기 바랍니다.

그래서 연동기를 동작시키고 현관문이 열리지 않으면 도어를 잠금 상태로 유지하고 현관문이 열리면 열림 상태로 표현하는 자동화를 구현하겠습니다. 그리고 위에서 얘기한 버튼 관련된 자동화도 하나로 구현했습니다.

먼저 구성하기 > 도우미 에 들어가셔서 토글을 하나 추가해주시기 바랍니다. 이름은 적당히..

다음에 자동화로 가셔서 자동화를 추가하시기 바랍니다.

저는 아래처럼 구현했습니다.

alias: 현관문

description: ''

trigger:

  - type: opened

    platform: device

    device_id: *****

    entity_id: binary_sensor.maindoor_sensor_contact // 도어 센서입니다.

    domain: binary_sensor

    id: open

  - type: not_opened

    platform: device

    device_id: *****

    entity_id: binary_sensor.maindoor_sensor_contact

    domain: binary_sensor

    id: close

  - platform: device

    type: turned_on

    device_id: *****

    entity_id: switch.main_door // 직비 릴레이 스위치입니다.

    domain: switch

    id: switch

  - platform: device

    domain: mqtt

    device_id: ***** // 이케아 직비 버튼입니다.

    type: action

    subtype: 'on'

    discovery_id: ***** action_on

    id: switch2

condition: []

action:

  - choose:

      - conditions:

          - condition: trigger

            id: close

        sequence:

          - service: input_boolean.turn_off // 도우미에서 등록한 토글입니다.

            target:

              entity_id: input_boolean.door

      - conditions:

          - condition: trigger

            id: switch

        sequence:

          - service: input_boolean.turn_on

            target:

              entity_id:

                - input_boolean.door

          - delay:

              hours: 0

              minutes: 0

              seconds: 5 // 시간은 도어락이 자동으로 잠금 상태로 변경되는 시간을 감안해서 조정하시면 됩니다.

              milliseconds: 0

          - type: is_not_open

            condition: device

            device_id: *****

            entity_id: binary_sensor.maindoor_sensor_contact

            domain: binary_sensor

          - service: input_boolean.turn_off

            target:

              entity_id: input_boolean.door

      - conditions:

          - condition: trigger

            id: switch2

        sequence:

          - type: turn_on

            device_id: *****

            entity_id: switch.main_door

            domain: switch

    default:

      - condition: trigger

        id: open

      - service: input_boolean.turn_on

        target:

          entity_id: input_boolean.door

mode: parallel

max: 10

그 다음에 이 도어락을 구글 홈에 등록하기 원하시면 configuration.yaml에

lock:

  - platform: template

    name: 현관

    value_template: "{{ is_state('input_boolean.door', 'off') }}"

    lock:

      - service: input_boolean.turn_off

        target:

          entity_id: input_boolean.door

    unlock:

      - service: switch.turn_on

        target:

          entity_id: switch.main_door

      - service: input_boolean.turn_on

        target:

          entity_id: input_boolean.door

을 추가해주시고 google_assistant: 의 exposed_domains: 에 - lock 을 추가해주시면 구글 홈에서 도어락이 등록되는걸 보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네스트 허브나 네스트 허브 맥스에서 스위치가 아니라 잠금 장치로 도어락을 제어하시려면

google_assistant: 에 secure_devices_pin: 을 추가하신 다음에 원하는 비밀번호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구글 홈에 잠금 장치를 추가하는건 옵션이고.. 그냥 직비 릴레이 스위치 등록하셔서 제어하시는게 더 간편하긴 합니다.

혹시 궁금하신거나 더 좋은 아이디어 있으시면 댓글 남겨주시면 고맙겠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테슬라 구매 과정 후기

올해 제 인생 최대 지름이 될.. 테슬라 구매를 했습니다. 스파크만 13년을 몰았는데... 내자분이 애들도 컸고.. 이젠 스파크가 좁고 덥고 힘들다면서... 4월 6일 하남 테슬라 전시장에서 새로 나온 업그레이드 된 모델 3를 보고 4월 7일 덜컥 계약을 해버리게 되었습니다. 이후에 4월 11일에 보조금 설문 조사 문자를 받았습니다. 그리고 다시 기다림의 시간이.. 사실, 처음에 하얀색을 계약을 했다가 하얀색은 관리하기가 너무 힘들거 같아 4월 20일에 블루로 변경을 했었는데.. 다른 사람들은 하나 둘 차량을 인도 받는데.. 아무리 기다려도 인도 일정이 배정이 되지 않아서... 혹시나 하고 4월 25일 하얀색으로 변경하자마자 VIN이 배정되고 4월 29일 인도 일정 셀프 예약 문자가 왔습니다. 파란색이 정말 인기가 없었나 봅니다. (그런데, 소문에 듣자하니.. 파란색은 5월 첫주부터 인도 일정 셀프 예약 문자가 왔었다고 합니다.. 크흑.. ㅠㅠ) 덕분에 기다리고 기다리긴 했지만 아무 준비도 없던 와중에 이제부터 정말 실제 차량을 인도받기 위한 질주가 시작되었습니다. 4월 30일 셀프 인도 예약 완료 문자가 왔고 5월 2일 오전 10시 5분에 전기자동차 구매지원 자격 부여 문자가 오고 오후 3시 5분에 전기차 보조금 지원 대상자 확정 문자를 받았습니다. 사실 기다림의 시간이 제일 힘든건.. 보조금을 못받으면 어떻게 하지?라는 초조함이었습니다. 얼마 안되는 보조금이라고 하더라도 한푼이 아쉬운 입장에서는 정말 필요한 돈이었는데.. 다행히 큰 문제 없이 지원 대상자가 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5월 2일 오후 4시 12분에 차량 대금을 후다닥 결제를 진행했습니다. 유투브와 네이버 카페 등을 열심히 읽어두었지만 막상 진행해보니 다른 설명과는 좀 다르게 진행되어서 불안했었는데.. 큰 문제 없이 결제가 완려되었습니다. 이미 차량 인도는 5월 14일로 결정되었기 때문에 이제는 차량 등록에 대한 기다림이 시작되었습니다. 드디어 5월 8일 오후 2시 23분에 등록 대행 비용 및...

일본 출장 갔다 온 후기

어쩌다 보니.. 우연치 않게.. 일본으로 2박 3일 짧은 출장을 다녀왔습니다. 태어나 처음으로 일본을 가보게 되었고.. 한 6년만에 나가본 외국이라서.. 난리도 아니었습니다. 출장 일정을 착각해서 1박 2일로 잡았던 항공편 일정 변경하고 숙박업소 찾느라.. 에휴.. 어쨌든 오랜만에 나가본 외국이고 처음 가본 일본이라 다녀오고 알게 된 몇가지 사실은 이미 인터넷을 찾아보면 쉽게 찾을 수 있지만 그래도 기록으로 남겨보고자 합니다. 1. 여행용 멀티 어뎁터를 더 이상 공항 로밍 센터(김포 공항 기준)에서 무료로 대여를 안해주더라구요. 로밍 요금을 가입해야 빌려준다는데.. 쩝.... 가장 가까운 다이소도 롯데몰까지 걸어가기에는 멀고.. 공항 편의점에서 파는데 정말 더럽게 비싸더라구요. 그러니 미리미리 다이소에서 구매하시거나 인터넷에서 싼걸로 장만하시는게 좋습니다. 일본에서도 편의점이나 100엔샵 뒤져보았지만 안팔더라구요. 돈키호테에서는 판다고 하는데.. 거기까지 가기에는 출장 일정 상 이동하기 쉽지 않아서.. 정말 무겁게 노트북 들고가서 켜보지도 못했습니다. 물론 웬만한 모텔급 이상 숙박업소에서는 프론트에 얘기하면 무료로 빌려주기는 하는데.. 낮에는 플러그가 없으니 충전이.. ㅠㅠ 그래서 만약에 한국에서 준비를 못해간걸 일본에서 깨달았다면.. 어떻게 하느냐... 이미 공항을 떠나셨다면 주변에서 BIC 이라는 전자 제품 파는 곳에서 구매하시면 되고..  하네다 공항 3번 터미널 출국장 위쪽 4F에 가시면 BIC 가게가 있고 거기서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한 300엔 했던 걸로 기억합니다.  2. 애플 페이로 교통카드를 하시려면 현재로는 현대카드 마스터 카드가 있어야 합니다. 비자 카드로 충전이 안되어서 애플 페이로 교통카드를 만들 수 없습니다. 일본에서 지하철을 애플 페이로 타보고자 했던 저의 꿈은 파사삭... 스이카 앱으로는 비자 카드로 충전이 된다고 하는데.. 귀찮습니다. ㅠㅠ 한국에서 스이카 웰컴 카드를 구매해 가시는 것도 방법인데.. 이 카드는 ...

프로젝트의 3요소 - Project Management

프로젝트는 예산, 일정, 품질 3가지 요소로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물론 위 3가지 요소 외에도 개발 범위, 팀워크, 자원 조달 등 여러가지 요소들도 고려해 볼 수 있지만, 가장 중요한 요소를 꼽는다면 예산, 일정, 품질일 것이다. 위에서 말한 여러가지 요소들은 프로젝트를 계획하여 완료하는 순간까지 복합적으로 작용해서 프로젝트의 성과를 제한하게 된다. 위의 요소들을 잘 통제한다면 성공적인 프로젝트가 되는 것이고 그렇지 못한다면 실패하거나 사라지게 될 것이다. 프로젝트 관리란 그런 면에서 제한된 자원을 가지고 목적한 바를 제한된 기간내에 최소의 비용으로 완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을 도식화 한다면 아래와 같은 그림으로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위의 그림에 보는 것처럼 일정과 품질, 예산은 우리의 프로젝트가 목적하는 바를 달성하도록 하기 위해 상호 연관되어 작용하게 된다. 우리가 접하게 되는 많은 방법론들의 가정에는 위의 요소들을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에 대한 기본적인 가정들이 설정되어 있다. 조직에서 어떤 특정한 방법론을 도입한다는 것은 그런 가정에 동의하는 것이고 그러한 철학을 받아들인다는 것이기 때문에, 방법론을 채택하기 전에 조직의 근본 문제와 문화에 대해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그리고 위의 요소들 외에 고려해 볼 사항은 위의 요소들은 변동성과 불확실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비용과 예산, 목적은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가변할 가능성이 매우 큰 요소들이다. 대부분의 방법론은 이러한 변동성에 대한 안전장치들을 가정해서 세워져 있다. 변동성의 측면에서 위의 요소들을 다시 살펴본다면 아래와 같이 가정할 수 있다. 위의 그림을 일부 해석해 본다면 일정이 늘어난다면 비용은 늘어나게 된다. 범위가 변경되어도 비용은 늘어나게 된다. 범위와 일정은 상호 의존적이 된다. 만약 위 3가지 요소의 변동성을 통제하지 못하게 된다면 프로젝트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