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애플 워치 수면 추적 기능에 대한 간단 리뷰

LG 폰이 지구상에서 사라지고.. 삼성폰은 사고 싶지 않아서.. 어쩔 수 없이 아이폰을 구매한지도 2년이 되어 갑니다.

아이폰을 구매하고 1년간은 애플 워치에 대한 필요성을 크게 느끼지 못하고 잘 살았습니다.

하지만 업무 중에 폰을 사용하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타이머와 현재 시간을 보고 싶다는 이상한 필요성과 끊임 없는 뽐뿌에 시계는 좋아하지도 않고.. 손목에 무언가를 차는 것도 싫어해서 스마트 밴드도 안하고 다니던 제가 애플 워치를 질렀습니다.

이렇게 저도 앱둥이가 되어가고 있네요. 

4월 말에 애플 워치를 구매해서 이제 3개월 정도 사용해본 간단한 소감은..

내 건강과 건강한 습관을 유지하는데는 정말 좋은 선택이라고 생각합니다.

애플 워치를 구매하고 규칙적으로 몸을 움직이고 물을 마시고 손을 씻고 양치를 하게 되었습니다.

애플 워치를 사용한다고 해서 무조건 건강해지고 그런건 아니지만 적어도 내 몸을 돌아보고 규칙적인 습관을 가지는데 도움이 많이 되는건 분명합니다.

그리고 굳이 폰이 없어도 간단한 활동은 워치로 할 수도 있고 음악이나 동영상, 카메라의 리모컨처럼 쓸 수 있는게 너무 편합니다.

그 중에서 저는 수면 추적 기능에 참 관심이 많아졌습니다.

정확도는 모르겠지만 적어도 내가 잠을 어떻게 자고 있는지 볼 수 있어서 참 좋더라구요.

다만 이게 꼭 수면 모드를 활성화해야만 추적이 되는거라서..

중간에 오토슬립이나 Pillow라는 앱도 사용해보았지만 결국은 순정 수면 추적 기능만 사용하고 있습니다.

3개월 정도 사용해본 소감을 아래와 같이 짧게 남겨봅니다.

1. 우선 아이폰과 워치의 수면 추적 기능은 2가지 조건이 만족되어야만 추적이 됩니다. 첫번째는 수면 모드가 활성화되어야 하고 두번째는 최소한 4시간 이상 수면을 취해야 합니다. 때문에 4시간 이하로 수면을 취하는 낮잠과 같은 경우에는 추적이 되지 않습니다.

이게 문제가 되는 경우는 자다가 중간에 깨었다가 다시 잠이 드는 경우 그 시간이 적어도 2시간 이상은 되어야 연속으로 수면 추적이 됩니다. 

그러니까 예를 들어 새벽 3시에 깨었다가 다시 4시에 잠들고 다시 5시에 일어나는 경우 수면 추적으노 새벽 3시 데이터까지만 추적되고 그 시간에 기상한걸로 처리되어 버립니다. 결국은 푹 자는 경우만 수면 추적이 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2. 수면 모드는 수동으로 활성화 하는 경우와 자동으로 시간을 지정해서 활성화 시킬 수 있는데.. 내가 규칙적으로 수면을 취한다면 자동으로 시간을 지정해서 활성화 하는게 분명 도움이 되지만.. 수면 시간이 불규칙하다면 수동으로 활성화 해야는데.. 만약에 깜박하게 되면 수면 추적이 되지 않는.. 이건 갤럭시 워치가 훨씬 좋은 것 같습니다. 어차피 움직임 추적도 가능한 워치가 사람이 일정시간 움직이지 않으면 자동으로 수면 추적 기능이 활성화되면 좋을 텐데 그런 기능이 없어서 불편합니다.

3. 낮잠 같은 경우 수면 추적 기능을 하려면 앱을 사용해야 하지만.. 이 경우 애플의 수면 추적 알고리즘이 아니라 앱의 알고리즘을 사용하게 되고 해당 데이터를 건강 앱에 연동시켜 불러오는 방식을 취하는데.. 이 과정에서 데이터가 꼬이는 경우가 많고 제대로 수면 추적이 되지 않는 경우가 너무 많습니다. 그나마 오토 슬립이 데이터는 깔끔하게 통합이 되는데 수면 추적 활성화가 복불복이고 pillow는 수면 추적 활성화는 잘 되는데.. 데이터를 앱의 알고리즘과 애플의 알고리즘을 선택할 수 있는데.. 그 과정에서 데이터가 자꾸 꼬입니다. 때문에 저는 그냥 낮잠 추적은 포기했습니다.

결론적으로 수면 추적 기능은 여러 제약과 불편함이 있긴 하지만.. 꾸준히 데이터를 모아보면 내가 어떻게 수면을 취하고 있는지 알 수 있어서 굉장히 유용합니다.

아이폰은 있는데.. 애플 워치는 없으신 분은 SE라도 구매해서 한번 사용해보세요. 좋은 습관을 가지는데 분명 도움이 되실 겁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비츠 스튜디오 버즈 플러스(투명) 사용 후기

제 내자분은 아직도 유선 이어폰을 쓰고 있습니다. 그게 좋다고 하시더라구요. 작년에 혹시나 해서 앤커 사운드코어 라이프Q35를 구매해서 조공해봤지만 결국은 안쓰시더라구요. 그래서 작년 추운 겨울에 제가 귀마게 용으로 잘 사용해왔는데.. 여름이 되니.. 와.. 이건 너무 덥고 무거워서 못쓰겠더라구요. 아이폰도 사고 애플 워치도 샀으니.. 다음은 에어팟인데.... 노이즈 캔슬링이 된다는 에어팟 프로 2는 ... 네... 너무 비싸더라구요... 이건 내자분께 얘기해봐야 결제가 될리가 없어서... 고민하고 있던차에.. 네.. 저는 봐버리고 말았습니다. 비츠 스튜디오 버즈 플러스의 그 영롱한 투명 버전의 자태를... 급 뽐뿌가 왔지만.. 여전히 20만원의 고가더라구요... 초기 출시 시기에 이벤트로 16만원 정도 했던거 같은데.. 그정도 가격이면 선 결제 후 보고 하면 될거 같은데.. 20만원은 너무 너무 비싸서 침만 삼키던 차에.. 당근에 15만원에 올라온 물건을 덥석 물었습니다. 애플 뮤직 6개월 프로모션 코드도 사용하지 않은 따끈따끈한 제품이라서 그냥 질렀습니다. 이상하게 인터넷이 실제 리뷰 게시물을 찾기 힘들어서.. 고민을 잠깐 했지만.. 그 투명하고 영롱한 자태에 그만... 어쨌든 구매하고 한달 정도 사용해본 후기를 간단하게 남겨봅니다. 1. 노이즈 캔슬링은 기대한 것과는 좀 다르고 앤커 사운드코어 라이프Q35 정도 되는 것 같습니다. 노이즈 캔슬링은 활성화하면 이게 소리를 막아준다기보다는 주변의 작은 소음만 제거해준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러니까 옆에서 소근 거리는 소리나 선풍기 바람 소리 같은 작은 소리들이 사라지고 음악 같은 내가 듣고자 하는 소리가 굉장히 뚜렸해지만 지하철 안내 방송 같은 조금 큰 소리는 그냥 들립니다. 그래서 주변음 허용 모드를 켜보면 너무 시끄러워서 안쓰게 되더라구요. 전 에어팟 프로 2를 사용해 본적이 없어서 비교할 수는 없지만.. 아주 못쓸 정도의 성능은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2. 저는 귓구멍이 너무 작아서 XS 사이즈의 이어팁

테스트 케이스와 체크리스트의 차이가 뭐여?

테스트 실무에서 가장 혼돈되어 사용되는 용어 중 하나가 테스트 케이스와 체크리스트입니다. 많은 경우 체크리스트를 테스트 케이스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로 인터넷 커뮤니티나 블로그, ISO, IEEE, ISTQB 등등을 검색해보시면 테스트 케이스와 체크리스트에 대한 구분이 다 제각각입니다. 각각에 대한 정의가 다 제각각입니다. 사정이 이러하다보니 많은 사람들이 테스트 케이스와 체크리스트를 잘 구분하지 못하고 혼동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물과 기름처럼 테스트 케이스와 체크리스트를 정확하게 구분할 수는 없겠지만.. ISTQB를 기준으로 말씀드리면 설계 기법을 통해 도출된 것은 테스트 케이스 그렇지 않은 것은 체크리스트라고 생각하시면 쉽습니다. 예를 들면 아래는 결정 테이블 테스팅 기법을 통해 도출된 테스트 케이스의 예제입니다. 실제 테스트 케이스는 위보다 복잡하겠지만 어쨌든 얘기하고 싶은 것은 위와 같이 설계 기법을 통해서 도출된 것은 테스트 케이스라고 합니다. 그런데 딱 보시면 아시겠지만 실제 테스트에서는 저 정도로는 테스트 커버리지를 충분히 만족했다고 얘기하기 힘듭니다. 그렇습니다. 어떤 분들은 테스트 케이스가 전가의 보도, 은 총알 쯤으로 생각하시는데.. 테스트 케이스는 일종의 마지노 선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최소한 제품을 테스트 할때 이정도는 해줘야 한다는 최후의 방어선 정도라고 보시면 됩니다. 전쟁에서 최후의 방어선은 물러설 수 없는 마지막 보루입니다. 하지만 최후의 방어선만 지킨다고 전쟁에서 승리할 수는 없습니다. 프랑스는 마지노 요새만 믿고 있다가 독일에게 깔끔하게 발렸던 과거가 있지요. 전쟁에서 승리하려면 앞으로 나가야하고 치밀한 전략과 전술이 뒷받침 되어야 합니다. 더 높은 커버리지를 도달하고, 충분히 좋은 테스트가 수행되려면 테스트 케이스는 기본이 되어야 하고 거기에 더해서 체크리스트가 따라와 줘야 합니다. 이러한 체크리스트는 팀의 경험과 과거 프로젝트의 데이

지역난방 유량계 ESP로 원격 검침하기

지역난방으로 난방을 하는 집의 가장 불만사항은 내가 얼마나 난방을 했는지 알아내려면 싱크대를 열어서 유량계를 들여다보던지.. 아니면 춥디 추운 바깥에 나가서 매번 원격 검침기의 숫자를 확인해야하는 겁니다. 싱크대 안에 있는 유량계는 아날로그 식이라서 정확한 값을 알아내려면 어쨌든 나가야 합니다. 이게 너무 너무 귀찮아서.. HA를 구축한 김에 저도 원격 검침 해보고 싶었습니다. 그래서 구현해봤습니다. 이 방법은 네이버 모 카페의 어떤 분이 알려주신 방법입니다. 우선 준비물이 있어야겠지요. 제가 구매한 물품은 아래와 같습니다. 저는 납땜 없이 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우선 ESP32 보드 https://www.11st.co.kr/products/3411825790?&xfrom=&xzone= 그 다음에 유량계와 ESP32를 편하게 연동하기 위한 터미널 블록 2P 2개 https://www.11st.co.kr/products/1953440276?&xfrom=&xzone= 그리고 ESP32를 고정할 보드가 필요한데.. 개인적으로 미니 빵판은 권장해드리지 않습니다. ESP32가 생각보다 커서 미니 빵판 하나 크기입니다. 그래서 미니 빵판을 구매하실거면 3개를 구매하시길 권장해드립니다. 아니면 좀 큼지막한 모드 하나 구매하시길 권합니다. 그리고 터미널과 ESP32를 연결할 점퍼케이블이 있어야 하는데.. 저는 그냥 넉넉하게 샀습니다. https://www.11st.co.kr/products/1946216907?&xfrom=&xzone= 그 다음에 외부 검침기로 값을 보내기 위한 릴레이가 필요합니다. http://www.funnykit.co.kr/shop/goods/goods_view.php?inflow=naverCheckout&goodsno=9159 자 이제.. 준비물이 모두 모였다면.. 원기옥이 아니라... 조립을 해야겠죠.. 우선 HA의 애드온에서 ESPHOME을 설치해주시면 됩니다. 다음에 웹 UI를 여신 다음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