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애프터샥 에어로펙스 간단 후기

2018년 4월에 애프터샥을 구매해서 2020년까지 2년 조금 넘는 시간동안 정말 잘 사용했었는데요..

슬슬 배터리 상태가 안좋아지더니 끝내 이어팁이 분리되면서 수명을 다해버렸습니다.

수리해서 계속 쓸까 하다가..

그냥 새로 하나 구매했습니다.

귓구멍이 너무 작아서 이어폰은 무리이고..

골전도 이어폰을 다시 검색해보니.. 예전보다는 그래도 제법 종류가 많아졌더라구요.

대략 4~5만원 정도 하는 중국 모델로 알아보다가...

고민 또 고민하다가..

그냥 또다시 애프터샥을 구매했습니다.

제가 구매했던건 1세대였고..

2세대인 애프터샥 에어는 14만 9천원

3세대라는 애프터샥 에어로펙스는 무려 19만 9천원이나 하네요.

그냥 할부로 질렀습니다.

끝나지 않는 할부 인생..

구매 후 1주일 정도 써보고 이전 1세대와 비교해서 느낀 점을 간단히 남겨봅니다.


장점

1. 가볍습니다. 1세대도 무거운건 아니었지만 확실히 더 가벼워졌습니다.

2. 소리가 더 좋아졌습니다. 1세대는 최대 음량으로 틀어도 들리는 둥 마는 둥이었는데.. 음량을 한 50~60% 만 설정해도 또렷이 잘 들립니다. 외부 소음이 있어도 이전보다 확실히 더 잘 들립니다.

3. 진동판의 진동은 확실히 좀 줄었습니다. 이전에는 음량을 최대로 틀면 얼굴에서 진동이 느껴지는 수준이었는데.. 이제는 진동을 거의 느낄 수 없지만 소리는 더 잘 들리는 신기한 경험을 하고 있습니다.

4. 멀티 페어링 중에 하나의 기기가 끊어지면 1세대처럼 한없이 재접속을 하기 위해 띵띵거리지 않아서 좋습니다.

5. 블루투스가 좋아져서 그런지 접속 거리가 굉장히 깁니다.


단점

1. 전용 충전선으로만 충전이 됩니다. 1세대는 micro USB였는데.. 이번에는 전용 충전 단자 때문에 전용 충전선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그런지.. 패키지 안에 충전선이 2개 들어 있네요. 때문에 어디 갈때 꼭 충전선을 챙겨야 합니다. 만약 충전선을 챙기지 않았는데.. 배터리가 떨어지면 ㅠㅠ

2. 배터리 성능이 1세대만 못합니다. 확실히 빨리 닳아 없어지는걸 느낍니다.

이전에는 1주일 정도 썼는데.. 3세대는 한 4일 정도 듣고 나면 간당 간당 하네요... 

저는 아침, 저녁으로 하루 2시간에서 3시간 정도 사용하고 있는데.. 흠.. 배터리가 불만입니다.

3. 여전히 잘 고정되지 않습니다. 제 머리가 작은건지 모르겠지만 귀에 걸쳐두면 뒷부분이 점점 목으로 내려옵니다. 머리 작은 사람을 위한 키즈 버전이 있던데 .. 그걸로 살걸 그랬나 싶기도 하지만.. 제 머리가 작은건 아닌데.. 무게는 앞부분이 무거을 것 같은데.. 은근 거슬리네요..

4. 한국어, 영어, 중국어 음성이 지원되는데.. 뭘로 설정해도 마음에 안듭니다. 1세대 영어 음성이 참 좋았는데 말이죠.. 발음이 진짜 구립니다.


흔히 말하는 가성비를 애기할 수 없는 제품이지만.. 비싼 만큼의 값어치는 한다고 생각합니다. 

귀가 아파 이어폰이 불편하신 분에게는 좋은 제품이기에 다시 한번 더 추천해봅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스위치봇 & 스위치봇 허브 미니 간단 사용기

제 블로그에 예전부터 오셨던 분들은 제가 사브작 사브작 홈 오토메이션을 어설프게 해온 것을 아실겁니다. 작년부터 너무 하고 싶었던 도어락 자동화에 도전해봤습니다. 우리 나라에 자체 서비스로 앱을 통해 도어락을 제어하는 제품은 꽤 있습니다. 게이트맨도 있고, 키위도 있고, 삼성도 있죠.. 그런데.. 전 그것보다 구글 어시스턴트를 지원하는 도어락이 필요했는데... 그런건 안만들더라구요.. 꼭 필요한건 아니지만 웬지 해보고 싶은데... 언제 제품이 출시될지도 몰라서.. 가능한 방법을 찾아보다가.. 스위치봇이라는 제품으로 도어락을 버튼을 꾹 누르는 방법을 찾아서 스위치봇이 직구가 아닌 국내에 출시되었길래 낼름 구매해서 도전해봤습니다. 스위치봇 제품에 대한 내용이나 구매는  https://www.wakers.shop/  에서 하시면 됩니다. 저는 스위치봇에 스위치봇을 구글 홈에 연결시키기 위해 스위치봇 허브 미니까지 구매했습니다. 스위치봇 허브 미니가 없으면 스위치봇을 외부에서 제어하거나 구글 홈에 연결할 수 없습니다. 그리고 제가 스위치봇 허브 미니를 구매한 이유 중 다른 하나는 이 제품이 RF 리모컨 기능이 지원됩니다. 집에 있는 모니터를 제어할 필요가 있어서 이참 저참으로 같이 구매했습니다. 제품 등록은 어렵지 않습니다. 여기서는 스위치봇 허브 미니에 RF 리모컨을 등록해서 구글 어시스턴트로 제어하는 방법을 소개해드릴까 합니다. 제가 스위치봇 허브 미니로 모니터를 제어하고 싶었던 부분은 컴퓨터에서 크롬캐스트로 외부 입력을 때에 따라 바꿔야 하는데.. 그때마다 리모컨을 찾는게 너무 불편해서였습니다.  어차피 리모컨은 외부 입력 바꿀 때 빼고는 쓸 일도 없는지라.. 매번 어디로 사라지면 정말 불편해서 이걸 자동화 하고 싶었습니다. 그런데, 처음에 스위치봇 허브 미니를 등록하고 여기에 리모컨을 등록하니.. 구글 홈에 등록된 리모컨이 자동으로 등록이 됩니다. 그런데, 등록된걸 확인해보니 전원 On/Off만 제어되는 것이고, 나머지 버튼은 구글 홈...

코디에서 클라우드 저장소 연동해서 비디오 라이브러리 생성하기

저희 집에는 TV가 없습니다. 모니터만 있지요.. 몇년 전까지만 해도 IPTV를 이용했지만.. 자주 보는 것도 아니고.. 비용도 비용인지라.. 그냥 TV를 없앴습니다. 사실은 기레기 시키들 보기 싫어서 KBS 수신료 내는거 싫어서 그냥 TV를 없애버렸습니다. 대신에 스마트폰에서 OTT 서비스 실행해서 크롬캐스트로 전송해서 보고 싶은 프로그램만 봤었는데 슬슬 불편해서 고민고민하다 그냥 질렀습니다. TV 보는 것도 불편했지만 다른 이유는 PC에 저장된 동영상을 보고 싶을 때 매번 PC를 켜야하는 것도 불편하더라고요. 저희 집 컴이 이제 10년이 넘어서.. 부팅 부터가.. ㅠㅠ 그래서 오피스 365 월결제를 끊으면 원드라이브 1테라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원드라이브에 제가 가지고 있는 영화 200여편을 몽땅 올렸는데.. 원드라이브에 있는 영화를 스마트폰에서 실행해서 크롬캐스트로 전송하는 것도 불편하더군요. 어쨌든 이런 저런 이유로 너무 불편해서.. 지금은 사라진 TELEBEE 의 미박스 3에 글로벌 롬을 올려서 싸게 판다는 정보를 입수하고 그냥 질렀습니다. 싸다고 하는데 싼지는 모르겠지만.. 크롬캐스트 울트라보다는 싸더라구요. 넷플릭스를 이용하지는 않지만 조건만 맞으면 4K도 재생되고 국내 AS도 된다고 해서 질렀습니다. 관련 정보는 네이버 카페 [Eddy Lab] UHD 미니 PC 포럼 에서 보실 수 있고, 지금도 구매가 가능한지는 모르겠지만 MiBox3-EddyLab 에디션 안드로이드 셋탑 에서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안드로이드 셋탑은 질렀는데.. 국내 IPTV처럼 친절하게 설정되어 있는 셋탑이 아닌지라 처음 켜보고 뭐부터 해야할지 참 막막하더라구요. 우선은 중요한건 TV를 편하게 보고 싶은것과 원드라이브의 영화를 편하게 감상하는 것이기 때문에 여기에 중점을 두고 네이버 카페와 구글을 하염없이 떠돌아다녀보니.. 코디라고 하는 앱이 가장 정보가 많다는 것을 알게되었습니다. 그래서 우선 무작정 코디를 설치했습니다. 코디...

프로젝트의 3요소 - Project Management

프로젝트는 예산, 일정, 품질 3가지 요소로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물론 위 3가지 요소 외에도 개발 범위, 팀워크, 자원 조달 등 여러가지 요소들도 고려해 볼 수 있지만, 가장 중요한 요소를 꼽는다면 예산, 일정, 품질일 것이다. 위에서 말한 여러가지 요소들은 프로젝트를 계획하여 완료하는 순간까지 복합적으로 작용해서 프로젝트의 성과를 제한하게 된다. 위의 요소들을 잘 통제한다면 성공적인 프로젝트가 되는 것이고 그렇지 못한다면 실패하거나 사라지게 될 것이다. 프로젝트 관리란 그런 면에서 제한된 자원을 가지고 목적한 바를 제한된 기간내에 최소의 비용으로 완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을 도식화 한다면 아래와 같은 그림으로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위의 그림에 보는 것처럼 일정과 품질, 예산은 우리의 프로젝트가 목적하는 바를 달성하도록 하기 위해 상호 연관되어 작용하게 된다. 우리가 접하게 되는 많은 방법론들의 가정에는 위의 요소들을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에 대한 기본적인 가정들이 설정되어 있다. 조직에서 어떤 특정한 방법론을 도입한다는 것은 그런 가정에 동의하는 것이고 그러한 철학을 받아들인다는 것이기 때문에, 방법론을 채택하기 전에 조직의 근본 문제와 문화에 대해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그리고 위의 요소들 외에 고려해 볼 사항은 위의 요소들은 변동성과 불확실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비용과 예산, 목적은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가변할 가능성이 매우 큰 요소들이다. 대부분의 방법론은 이러한 변동성에 대한 안전장치들을 가정해서 세워져 있다. 변동성의 측면에서 위의 요소들을 다시 살펴본다면 아래와 같이 가정할 수 있다. 위의 그림을 일부 해석해 본다면 일정이 늘어난다면 비용은 늘어나게 된다. 범위가 변경되어도 비용은 늘어나게 된다. 범위와 일정은 상호 의존적이 된다. 만약 위 3가지 요소의 변동성을 통제하지 못하게 된다면 프로젝트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