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Termux에 Home Assistant 구축 좌절기

저희 집에는 꽤 많은 IoT 기기가 있습니다. eWelink의 스위치로 전등을 제어하고, 다원의 스마트 플러그로 전자 제품을 제어하고 Nest로 보일러를 제어하고 LG 에어컨에 에너톡으로 전력 관리를 하고 스위치봇으로 스위치를 제어하고 IFTTT로 자동화를 구현하고 구글 홈, 미니, 네스트 허브 맥스로 허브를 구축해 놨습니다.

이렇게 여러 회사의 다양한 제품으로 자동화를 하다보니 앱도 많아지고 각각의 디바이스를 연동해서 무언가를 하기가 쉽지 않아서 좋은 솔루션이 없을까?? 했더니 스마트싱스와 HA가 가장 유명하더군요.

스마트싱스는 삼성거라서 패스하고 오픈소스인 HA에 관심이 생겨서 구축을 해볼까 했떠니 라즈베리파이를 구매해서 서버로 구축해야 하더군요.

라즈베리파이가 별로 비싼것도 아니지만 또 다른 디바이스를 구매하기가 꺼려져서 다른 방법이 없을까 검색해보니 구형 안드로이드 디바이스에 termux로 설치하는 방법이 있어서 도전해보기로 했습니다.

그런데 이미 termux에 SJVA를 운용하고 있어서 고민이 생겼습니다.

새로운 디바이스에 termux에 설치를 하면 깔끔하겠지만.. 그것보다는 기존에 설치된 termux에 SJVA와 HA를 모두 운용하면 좋지 않을까? 하고 구글링을 열심히 해봤지만 자료를 검색할 수 없어서 그냥 맨땅에 머리 박는 심정으로 도전해 봤습니다.

우선 SJVA가 설치된 상태에서 HA를 설치하면 SJVA를 설치하면 문제가 생길것 같아서 다른 방법이 없을까 고민해봤더니 termux에 세션이라는 기능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termux의 왼쪽 화면을 슬라이드 하면 세션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처음에 저는 세션을 추가하면 새로운 가상머신이 추가되는 것으로 이해했는데 결론적으로는 세션이 큰 의미가 없습니다.

세션을 아무리 추가해도 가상 머신이 추가되는게 아니라 그냥 작업 공간을 구분하는 것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마치 가상화면을 추가하는 것과 같습니다. 

그래서 하나의 termux에 SJVA와 HA를 분리해서 설치하는 것은 아니되고.. 그냥 같이 설치해도 큰 문제는 없습니다. 제 생각에는 SJVA는 airplane mode를 사용하고 HA는 ubuntu mode를 사용하기 때문인것 같습니다.

제 지식 수준이 얕아서 더 깊은 것은 잘 모르겠고.. 어쨌든 함께 설치되어도 운용되는데는 큰 문제가 없습니다.

어쨌든 저는 세션을 분리해서 HA를 설치해봤습니다.

termux에서 새로운 세션을 설정하면 기존의 SJVA가 시작되는데, ctrl + C 를 눌러 프로세스를 중지시키고 프롬프트를 활성화시킵니다.

그리고 아래 명령을 순차적으로 입력합니다.

termux에 HA를 설치하는 방법은 시간에 따라 여러 버전이 있는데, 제가 아래 소개해드리는 것보다 더 간단한 방법도 있습니다.https://cafe.naver.com/koreassistant/544). 저는 이것 저것 다 시도해보고 가장 괜찮은 방법을 찾아봤습니다. 이게 정말 맞는 방법인지는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pkg update
pkg upgrade
termux-setup-storage
pkg install python make coreutils ndk-sysroot clang nano mosquitto nodejs openssh termux-api
pip install --upgrade pip
pip install netdisco
npm i -g --unsafe-perm node-red pm2
python -m venv homeassistant
source homeassistant/bin/activate
pip install homeassistant
pm2 start mosquitto -- -v -c /data/data/com.termux/files/usr/etc/mosquitto/mosquitto.conf
pm2 start hass --interpreter=python -- --config /data/data/com.termux/files/home/.homeassistant
pkg install curl
cd /data/data/com.termux/files/home/.homeassistant
curl -LO https://raw.githubusercontent.com/danielperna84/hass-configurator/master/configurator.py
chmod 755 configurator.py
pm2 start /data/data/com.termux/files/home/.homeassistant/configurator.py
node-red
pm2 show hass
pm2 save
hass

이렇게 명령어를 순차적으로 입력하시고 설치한 단말의 IP와 포트 8123으로 접근하시면 HA를 보실 수 있습니다. 중간에 npm과 nodejs가 버전이 충돌한다는 에러가 나오는데 실행에는 큰 무리가 없고 해외 커뮤니티에서도 딱히 해결방법이 없어 보입니다.

하지만, 설치해 본 결과 termux에서 HA를 운용하는 것보다는 역시 라즈베리파이를 구매하는 것이 더 나을 것 같습니다.

이유는

1. 블루투스 장비가 지원되지 않습니다. 블루투스를 설정할 수 있는 termux도 구글링 해보시면 찾을 수 있지만 관련 정보가 매우 적습니다.

2. 커스텀 컴포넌트가 제대로 설정이 되지 않습니다.

3. 불안정합니다.

4. 이유는 모르겠지만 termux를 종료해도 서비스가 죽지 않습니다. 서버 재기동이 제대로 동작하지 않습니다.

서비스를 완전히 종료하려면 디바이스를 재부팅 해야 합니다.

만약 디바이스를 재부팅하고 termux를 실행해서 HA를 재시작하려면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pm2 start mosquitto -- -v -c /data/data/com.termux/files/usr/etc/mosquitto/mosquitto.conf
pm2 start hass --interpreter=python -- --config /data/data/com.termux/files/home/.homeassistant
pm2 start /data/data/com.termux/files/home/.homeassistant/configurator.py
node-red
pm2 show hass
pm2 save
hass

어쨌든 설치는 했지만 너무 불안정해서 그냥 살포시 접었습니다. 관련 자료를 찾기도 쉽지 않네요.

그래도 혹시 도전해보고 싶으신 분들은 한번 도전해보시기 바랍니다.

제가 참고한 자료는 아래에 남겨두겠습니다.







댓글

  1. ha termux로 검색했다가 저랑 비슷한분을 찾게되서 매우 반갑네요^^
    저는 쉴드로 termux 구동해서 SJVA를 돌리고 있는데 스싱을 사려다 ha를 알게되서 혹시 설치가 가능한지 알아보고 있었거든요..
    어려우시다니 라즈베리파이를 알아봐야겠네요 ㅎㅎ

    답글삭제
    답글
    1. 라즈베리파이도 괜찮지만.. 윈도우에 버추얼박스로 운용하시는 것도 괜찮습니다.

      삭제

댓글 쓰기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비츠 스튜디오 버즈 플러스(투명) 사용 후기

제 내자분은 아직도 유선 이어폰을 쓰고 있습니다. 그게 좋다고 하시더라구요. 작년에 혹시나 해서 앤커 사운드코어 라이프Q35를 구매해서 조공해봤지만 결국은 안쓰시더라구요. 그래서 작년 추운 겨울에 제가 귀마게 용으로 잘 사용해왔는데.. 여름이 되니.. 와.. 이건 너무 덥고 무거워서 못쓰겠더라구요. 아이폰도 사고 애플 워치도 샀으니.. 다음은 에어팟인데.... 노이즈 캔슬링이 된다는 에어팟 프로 2는 ... 네... 너무 비싸더라구요... 이건 내자분께 얘기해봐야 결제가 될리가 없어서... 고민하고 있던차에.. 네.. 저는 봐버리고 말았습니다. 비츠 스튜디오 버즈 플러스의 그 영롱한 투명 버전의 자태를... 급 뽐뿌가 왔지만.. 여전히 20만원의 고가더라구요... 초기 출시 시기에 이벤트로 16만원 정도 했던거 같은데.. 그정도 가격이면 선 결제 후 보고 하면 될거 같은데.. 20만원은 너무 너무 비싸서 침만 삼키던 차에.. 당근에 15만원에 올라온 물건을 덥석 물었습니다. 애플 뮤직 6개월 프로모션 코드도 사용하지 않은 따끈따끈한 제품이라서 그냥 질렀습니다. 이상하게 인터넷이 실제 리뷰 게시물을 찾기 힘들어서.. 고민을 잠깐 했지만.. 그 투명하고 영롱한 자태에 그만... 어쨌든 구매하고 한달 정도 사용해본 후기를 간단하게 남겨봅니다. 1. 노이즈 캔슬링은 기대한 것과는 좀 다르고 앤커 사운드코어 라이프Q35 정도 되는 것 같습니다. 노이즈 캔슬링은 활성화하면 이게 소리를 막아준다기보다는 주변의 작은 소음만 제거해준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러니까 옆에서 소근 거리는 소리나 선풍기 바람 소리 같은 작은 소리들이 사라지고 음악 같은 내가 듣고자 하는 소리가 굉장히 뚜렸해지만 지하철 안내 방송 같은 조금 큰 소리는 그냥 들립니다. 그래서 주변음 허용 모드를 켜보면 너무 시끄러워서 안쓰게 되더라구요. 전 에어팟 프로 2를 사용해 본적이 없어서 비교할 수는 없지만.. 아주 못쓸 정도의 성능은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2. 저는 귓구멍이 너무 작아서 XS 사이즈의 이어팁

테스트 케이스와 체크리스트의 차이가 뭐여?

테스트 실무에서 가장 혼돈되어 사용되는 용어 중 하나가 테스트 케이스와 체크리스트입니다. 많은 경우 체크리스트를 테스트 케이스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로 인터넷 커뮤니티나 블로그, ISO, IEEE, ISTQB 등등을 검색해보시면 테스트 케이스와 체크리스트에 대한 구분이 다 제각각입니다. 각각에 대한 정의가 다 제각각입니다. 사정이 이러하다보니 많은 사람들이 테스트 케이스와 체크리스트를 잘 구분하지 못하고 혼동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물과 기름처럼 테스트 케이스와 체크리스트를 정확하게 구분할 수는 없겠지만.. ISTQB를 기준으로 말씀드리면 설계 기법을 통해 도출된 것은 테스트 케이스 그렇지 않은 것은 체크리스트라고 생각하시면 쉽습니다. 예를 들면 아래는 결정 테이블 테스팅 기법을 통해 도출된 테스트 케이스의 예제입니다. 실제 테스트 케이스는 위보다 복잡하겠지만 어쨌든 얘기하고 싶은 것은 위와 같이 설계 기법을 통해서 도출된 것은 테스트 케이스라고 합니다. 그런데 딱 보시면 아시겠지만 실제 테스트에서는 저 정도로는 테스트 커버리지를 충분히 만족했다고 얘기하기 힘듭니다. 그렇습니다. 어떤 분들은 테스트 케이스가 전가의 보도, 은 총알 쯤으로 생각하시는데.. 테스트 케이스는 일종의 마지노 선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최소한 제품을 테스트 할때 이정도는 해줘야 한다는 최후의 방어선 정도라고 보시면 됩니다. 전쟁에서 최후의 방어선은 물러설 수 없는 마지막 보루입니다. 하지만 최후의 방어선만 지킨다고 전쟁에서 승리할 수는 없습니다. 프랑스는 마지노 요새만 믿고 있다가 독일에게 깔끔하게 발렸던 과거가 있지요. 전쟁에서 승리하려면 앞으로 나가야하고 치밀한 전략과 전술이 뒷받침 되어야 합니다. 더 높은 커버리지를 도달하고, 충분히 좋은 테스트가 수행되려면 테스트 케이스는 기본이 되어야 하고 거기에 더해서 체크리스트가 따라와 줘야 합니다. 이러한 체크리스트는 팀의 경험과 과거 프로젝트의 데이

지역난방 유량계 ESP로 원격 검침하기

지역난방으로 난방을 하는 집의 가장 불만사항은 내가 얼마나 난방을 했는지 알아내려면 싱크대를 열어서 유량계를 들여다보던지.. 아니면 춥디 추운 바깥에 나가서 매번 원격 검침기의 숫자를 확인해야하는 겁니다. 싱크대 안에 있는 유량계는 아날로그 식이라서 정확한 값을 알아내려면 어쨌든 나가야 합니다. 이게 너무 너무 귀찮아서.. HA를 구축한 김에 저도 원격 검침 해보고 싶었습니다. 그래서 구현해봤습니다. 이 방법은 네이버 모 카페의 어떤 분이 알려주신 방법입니다. 우선 준비물이 있어야겠지요. 제가 구매한 물품은 아래와 같습니다. 저는 납땜 없이 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우선 ESP32 보드 https://www.11st.co.kr/products/3411825790?&xfrom=&xzone= 그 다음에 유량계와 ESP32를 편하게 연동하기 위한 터미널 블록 2P 2개 https://www.11st.co.kr/products/1953440276?&xfrom=&xzone= 그리고 ESP32를 고정할 보드가 필요한데.. 개인적으로 미니 빵판은 권장해드리지 않습니다. ESP32가 생각보다 커서 미니 빵판 하나 크기입니다. 그래서 미니 빵판을 구매하실거면 3개를 구매하시길 권장해드립니다. 아니면 좀 큼지막한 모드 하나 구매하시길 권합니다. 그리고 터미널과 ESP32를 연결할 점퍼케이블이 있어야 하는데.. 저는 그냥 넉넉하게 샀습니다. https://www.11st.co.kr/products/1946216907?&xfrom=&xzone= 그 다음에 외부 검침기로 값을 보내기 위한 릴레이가 필요합니다. http://www.funnykit.co.kr/shop/goods/goods_view.php?inflow=naverCheckout&goodsno=9159 자 이제.. 준비물이 모두 모였다면.. 원기옥이 아니라... 조립을 해야겠죠.. 우선 HA의 애드온에서 ESPHOME을 설치해주시면 됩니다. 다음에 웹 UI를 여신 다음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