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Agile Testing Condensed 번역 후기

얼마전 저는 Janet과 Lisa의 Agile Testing Condensed를 한국어로 번역해서 출간을 했습니다.

능력도 없으면서 어쩌다 이런 일을 하게 되었는지 제 경험을 공유해볼까 합니다.

저는 예전에 Janet의 교육을 들은적이 있어서 약간의 인연이 있습니다.(Janet에게 애자일 테스팅의 정의를 요청한 게 저였죠.)

이런 저런 인연으로 Janet의 트위터를 팔로우하고 있는데, 어느날 Janet의 트위터에 Agile Testing Condensed의 일본어 번역판이 출간되었다는 소식을 접하게 되었습니다.

저는 Janet의 교육도 들었고, 애자일 테스팅 책도 읽었지만 솔직히 Agile Testing Condensed에는 큰 관심이 없었습니다. 책이 출간된건 알고 있었지만... 

그런데, 한국인이라면 월드컵 예선 탈락은 받아들일 수 있지만, 일본에 지고는 못살죠..

아니.. 우리 나라에도 번역된 책이 없은데, 일본이라니..

그래서, 링크를 타고 들어가는 leanpub에 일본어 뿐만 아니라, 중국어 번역도 있더라구요.

아니.. 우리가 무엇이 꿀려서 중국도 일본도 번역이 있는데, 우리만 없는가 싶어서..

정말 아무 생각 없이(아니.. 능력도 없으면서 고민이라는건 왜 안하는건지.. ㅠㅠ) 9월 2일 Janet에게 메일을 썼습니다.

Agile Testing Condensed을 한국어로 번역하고 싶은데, 혹시 기존에 번역하고 있는 사람이나 출판사가 있는지..

없다더군요.. 그렇군요. 애자일 불모지 한국에서 이 책이 안팔릴거라는건 삼척동자도 아는 사실이겠죠.

그래고 이왕 이렇게 된거 해보자는 마음으로 다시 Janet에게 내가 번역을 하겠다고 알렸고, 그렇게 일사천리로 계약이 진행되어서 9월 10일 계약을 체결하고 번역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나중에 가서야 돈을 받고 팔아야하는 책을 내가 번역하는게 괜찮은건지.. 영어도 못하고 능력도 부족한 내가 이거 민폐는 아닌건지 후회도 조금 하긴 했지만.. 어쨌든 신나게 번역을 했습니다.

그렇게 10월 6일 1차 번역을 완료하고 베타리딩을 시작했습니다.

베타리딩을 진행해주신 박준표, 박계홍, 유진호, 아샬님에게 다시 한번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제가 어떤 금전적 보상을 해드리지도 못했는데, 정말 성심껏 도와주셨습니다.

그렇게 10월 12일부터 11월 22일까지 베타리딩을 진행하고, 약간의 수정을 거친 후에..

드디어 12월 8일 책을 출간하게 되었습니다.

원래 계약된 일정은 1월 말이었지만.. 예상보다 일찍 출판하게 되었습니다.

이유는 leanpub는 끊임없이 바로 바로 수정을 할 수가 있어서 우선 공개하고 혹시 수정할 부분이 있다면 나중에 수정을 하자라는 마음으로.. 

이미 베타리딩까지 끝난 시점에서 제가 더 이상 할 수 있는 건 없어서.. 그렇게 짧은 시간이었지만 제 첫번째 번역은 끝을 맺게 되었습니다.

번역된 책이 세상에 공개되었고 이제 10일 정도 되었는데.. 이제 겨우 3권 팔렸네요.. 얼마나 더 많은 분들이 책을 구해서 보실지는 모르겠지만..

우리 나라에서도 많은 분들이 이 책을 읽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책은 아래 링크에서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주변에도 많이 소문내 주시고, 혹시 궁금하신 점은 댓글로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https://leanpub.com/agiletesting-condensed-korean-edition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테슬라 구매 과정 후기

올해 제 인생 최대 지름이 될.. 테슬라 구매를 했습니다. 스파크만 13년을 몰았는데... 내자분이 애들도 컸고.. 이젠 스파크가 좁고 덥고 힘들다면서... 4월 6일 하남 테슬라 전시장에서 새로 나온 업그레이드 된 모델 3를 보고 4월 7일 덜컥 계약을 해버리게 되었습니다. 이후에 4월 11일에 보조금 설문 조사 문자를 받았습니다. 그리고 다시 기다림의 시간이.. 사실, 처음에 하얀색을 계약을 했다가 하얀색은 관리하기가 너무 힘들거 같아 4월 20일에 블루로 변경을 했었는데.. 다른 사람들은 하나 둘 차량을 인도 받는데.. 아무리 기다려도 인도 일정이 배정이 되지 않아서... 혹시나 하고 4월 25일 하얀색으로 변경하자마자 VIN이 배정되고 4월 29일 인도 일정 셀프 예약 문자가 왔습니다. 파란색이 정말 인기가 없었나 봅니다. (그런데, 소문에 듣자하니.. 파란색은 5월 첫주부터 인도 일정 셀프 예약 문자가 왔었다고 합니다.. 크흑.. ㅠㅠ) 덕분에 기다리고 기다리긴 했지만 아무 준비도 없던 와중에 이제부터 정말 실제 차량을 인도받기 위한 질주가 시작되었습니다. 4월 30일 셀프 인도 예약 완료 문자가 왔고 5월 2일 오전 10시 5분에 전기자동차 구매지원 자격 부여 문자가 오고 오후 3시 5분에 전기차 보조금 지원 대상자 확정 문자를 받았습니다. 사실 기다림의 시간이 제일 힘든건.. 보조금을 못받으면 어떻게 하지?라는 초조함이었습니다. 얼마 안되는 보조금이라고 하더라도 한푼이 아쉬운 입장에서는 정말 필요한 돈이었는데.. 다행히 큰 문제 없이 지원 대상자가 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5월 2일 오후 4시 12분에 차량 대금을 후다닥 결제를 진행했습니다. 유투브와 네이버 카페 등을 열심히 읽어두었지만 막상 진행해보니 다른 설명과는 좀 다르게 진행되어서 불안했었는데.. 큰 문제 없이 결제가 완려되었습니다. 이미 차량 인도는 5월 14일로 결정되었기 때문에 이제는 차량 등록에 대한 기다림이 시작되었습니다. 드디어 5월 8일 오후 2시 23분에 등록 대행 비용 및...

일본 출장 갔다 온 후기

어쩌다 보니.. 우연치 않게.. 일본으로 2박 3일 짧은 출장을 다녀왔습니다. 태어나 처음으로 일본을 가보게 되었고.. 한 6년만에 나가본 외국이라서.. 난리도 아니었습니다. 출장 일정을 착각해서 1박 2일로 잡았던 항공편 일정 변경하고 숙박업소 찾느라.. 에휴.. 어쨌든 오랜만에 나가본 외국이고 처음 가본 일본이라 다녀오고 알게 된 몇가지 사실은 이미 인터넷을 찾아보면 쉽게 찾을 수 있지만 그래도 기록으로 남겨보고자 합니다. 1. 여행용 멀티 어뎁터를 더 이상 공항 로밍 센터(김포 공항 기준)에서 무료로 대여를 안해주더라구요. 로밍 요금을 가입해야 빌려준다는데.. 쩝.... 가장 가까운 다이소도 롯데몰까지 걸어가기에는 멀고.. 공항 편의점에서 파는데 정말 더럽게 비싸더라구요. 그러니 미리미리 다이소에서 구매하시거나 인터넷에서 싼걸로 장만하시는게 좋습니다. 일본에서도 편의점이나 100엔샵 뒤져보았지만 안팔더라구요. 돈키호테에서는 판다고 하는데.. 거기까지 가기에는 출장 일정 상 이동하기 쉽지 않아서.. 정말 무겁게 노트북 들고가서 켜보지도 못했습니다. 물론 웬만한 모텔급 이상 숙박업소에서는 프론트에 얘기하면 무료로 빌려주기는 하는데.. 낮에는 플러그가 없으니 충전이.. ㅠㅠ 그래서 만약에 한국에서 준비를 못해간걸 일본에서 깨달았다면.. 어떻게 하느냐... 이미 공항을 떠나셨다면 주변에서 BIC 이라는 전자 제품 파는 곳에서 구매하시면 되고..  하네다 공항 3번 터미널 출국장 위쪽 4F에 가시면 BIC 가게가 있고 거기서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한 300엔 했던 걸로 기억합니다.  2. 애플 페이로 교통카드를 하시려면 현재로는 현대카드 마스터 카드가 있어야 합니다. 비자 카드로 충전이 안되어서 애플 페이로 교통카드를 만들 수 없습니다. 일본에서 지하철을 애플 페이로 타보고자 했던 저의 꿈은 파사삭... 스이카 앱으로는 비자 카드로 충전이 된다고 하는데.. 귀찮습니다. ㅠㅠ 한국에서 스이카 웰컴 카드를 구매해 가시는 것도 방법인데.. 이 카드는 ...

프로젝트의 3요소 - Project Management

프로젝트는 예산, 일정, 품질 3가지 요소로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물론 위 3가지 요소 외에도 개발 범위, 팀워크, 자원 조달 등 여러가지 요소들도 고려해 볼 수 있지만, 가장 중요한 요소를 꼽는다면 예산, 일정, 품질일 것이다. 위에서 말한 여러가지 요소들은 프로젝트를 계획하여 완료하는 순간까지 복합적으로 작용해서 프로젝트의 성과를 제한하게 된다. 위의 요소들을 잘 통제한다면 성공적인 프로젝트가 되는 것이고 그렇지 못한다면 실패하거나 사라지게 될 것이다. 프로젝트 관리란 그런 면에서 제한된 자원을 가지고 목적한 바를 제한된 기간내에 최소의 비용으로 완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을 도식화 한다면 아래와 같은 그림으로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위의 그림에 보는 것처럼 일정과 품질, 예산은 우리의 프로젝트가 목적하는 바를 달성하도록 하기 위해 상호 연관되어 작용하게 된다. 우리가 접하게 되는 많은 방법론들의 가정에는 위의 요소들을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에 대한 기본적인 가정들이 설정되어 있다. 조직에서 어떤 특정한 방법론을 도입한다는 것은 그런 가정에 동의하는 것이고 그러한 철학을 받아들인다는 것이기 때문에, 방법론을 채택하기 전에 조직의 근본 문제와 문화에 대해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그리고 위의 요소들 외에 고려해 볼 사항은 위의 요소들은 변동성과 불확실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비용과 예산, 목적은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가변할 가능성이 매우 큰 요소들이다. 대부분의 방법론은 이러한 변동성에 대한 안전장치들을 가정해서 세워져 있다. 변동성의 측면에서 위의 요소들을 다시 살펴본다면 아래와 같이 가정할 수 있다. 위의 그림을 일부 해석해 본다면 일정이 늘어난다면 비용은 늘어나게 된다. 범위가 변경되어도 비용은 늘어나게 된다. 범위와 일정은 상호 의존적이 된다. 만약 위 3가지 요소의 변동성을 통제하지 못하게 된다면 프로젝트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