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Test Case인 게시물 표시

테스트 케이스와 체크리스트의 차이가 뭐여?

테스트 실무에서 가장 혼돈되어 사용되는 용어 중 하나가 테스트 케이스와 체크리스트입니다. 많은 경우 체크리스트를 테스트 케이스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로 인터넷 커뮤니티나 블로그, ISO, IEEE, ISTQB 등등을 검색해보시면 테스트 케이스와 체크리스트에 대한 구분이 다 제각각입니다. 각각에 대한 정의가 다 제각각입니다. 사정이 이러하다보니 많은 사람들이 테스트 케이스와 체크리스트를 잘 구분하지 못하고 혼동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물과 기름처럼 테스트 케이스와 체크리스트를 정확하게 구분할 수는 없겠지만.. ISTQB를 기준으로 말씀드리면 설계 기법을 통해 도출된 것은 테스트 케이스 그렇지 않은 것은 체크리스트라고 생각하시면 쉽습니다. 예를 들면 아래는 결정 테이블 테스팅 기법을 통해 도출된 테스트 케이스의 예제입니다. 실제 테스트 케이스는 위보다 복잡하겠지만 어쨌든 얘기하고 싶은 것은 위와 같이 설계 기법을 통해서 도출된 것은 테스트 케이스라고 합니다. 그런데 딱 보시면 아시겠지만 실제 테스트에서는 저 정도로는 테스트 커버리지를 충분히 만족했다고 얘기하기 힘듭니다. 그렇습니다. 어떤 분들은 테스트 케이스가 전가의 보도, 은 총알 쯤으로 생각하시는데.. 테스트 케이스는 일종의 마지노 선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최소한 제품을 테스트 할때 이정도는 해줘야 한다는 최후의 방어선 정도라고 보시면 됩니다. 전쟁에서 최후의 방어선은 물러설 수 없는 마지막 보루입니다. 하지만 최후의 방어선만 지킨다고 전쟁에서 승리할 수는 없습니다. 프랑스는 마지노 요새만 믿고 있다가 독일에게 깔끔하게 발렸던 과거가 있지요. 전쟁에서 승리하려면 앞으로 나가야하고 치밀한 전략과 전술이 뒷받침 되어야 합니다. 더 높은 커버리지를 도달하고, 충분히 좋은 테스트가 수행되려면 테스트 케이스는 기본이 되어야 하고 거기에 더해서 체크리스트가 따라와 줘야 합니다. 이러한 체크리스트는 팀의 경험과 과거 프로젝트의 데이...

테스트케이스는 누가 만들 것인가?

여러분의 조직에서는 테스트케이스를 누가 만드십니까? 아니, 여러분의 조직에서는 테스트케이스를 만드십니까? 여러분의 조직에서는 얼마나 자주 테스트케이스를 교체하십니까? 많은 경우에 테스트케이스는 테스트 리드나 매니저와 같은 테스터의 장이 만듭니다. 테스터는 그렇게 만들어진 테스트케이스를 가지고 열심히 제품을 테스트 합니다. 아주 일반적인 광경으로 거부감이 없으신가요? 하지만 매번 이렇게 일한다면 테스터는 과연 뭐하는 사람일까요? 만약, 여러분이 성공하는 테스터가 되고 싶으시다면 여러분이 해야할 일을 찾아서 여러분이 하시기 바랍니다. 먼저 여러분이 제품을 분석하고 여러분이 테스트케이스를 만들겠다고 선언하시기 바랍니다. 만약 여러분이 의도적으로 이렇게 하지 않으신다면, 누구도 여러분에게 테스트케이스를 만들라고 하지 않을 것입니다. 여러분이 할 일을 다른 사람이 하게 되는 것입니다. 여러분은 그 사람들의 노예나 기계가 되어 버리는 것입니다. 이것은 조직이라는 기계속에서 닳고 닳아 없어져 버릴 하나의 부속품처럼 된다는 것입니다. 많은 계약직 테스터들이 이렇게 사라져갔습니다. 여러분도 그렇게 사라지고 싶으신가요? 많은 관리자들은 직원들이 스스로 생각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직원들이 스스로 생각한다는 것은 직원들이 밖에 나가서 사고를 치고 회사에 유무형적인 막대한 피해를 끼치는 아주 위험한 행위라고 생각합니다. 관리자는 직원을 신뢰하지 못합니다. 그런데 그 신뢰하지 못하는 직원과 함께 꿈과 미래를 얘기하는 아이러니한 상황을 매일 반복하고 있습니다. 이보다 재미있는 개그가 또 있을까요? 관리자들은 항상 직원들이 자신처럼 생각하기를 바랍니다. 자신과 항상 똑같은 것을 바라보기를 원합니다. 하지만 사람은 그렇게 하지 못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어떤 관리자들은 모든 일을 끌어안고 자폭하기도 합니다. 참 불쌍한 사람이 아닐 수 없습니다. 이런 조직에서 직원들은 관습에 따르고 순응해야만 합니다. 하지만 이런 조직에서 행해지는 테스트는 살충제 패러독스에 빠져들어갈 확률이 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