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뮤리안은 누구일까요?

트위터에 처음 발을 들인 날은 잘 기억이 나지 않습니다.

http://www.whendidyoujointwitter.com/ 에서는 4월 9일이라고 하지만.. 제가 본격적으로 트위터를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6월 경쯤인것 같습니다.

제가 왜 트위터를 시작하게 되었는지는 잘 기억이 나지 않지만 트위터를 하면서 궁금한 점이 생겼습니다. 그래서 지난 2009년 7월 29일 트위터에 자그마한 설문을 하나 올렸었고 24분의 귀중한 분들이 의견을 주셨습니다.

트위터에 올렸던 설문은 과연 나를 누구라고 생각하느냐? 에 대한 질문으로 트위터에 아무런 정보가 제공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람들은 트윗만으로 나를 과연 누구라고 추측하고 있는지에 대한 것을 알고 싶었습니다.

과연 내가 많은 사람들에게 인식되고 싶었던 모습으로 비치고 있는지에 대한 것도 돌아보고 싶었습니다.

결론은 혹시나? 했지만 역시나였습니다.

24 분중 내 정체를 정확히 아는 분은 3분이었습니다. 11분은 모른다고 답하셨습니다. 소개글에 적힌 테스팅 에반젤리스트나 테스팅 컨설턴트로 아시는 분이 8분, 개발자 아니면 공대생 같다는 분도 계셨습니다.

그래서 추가로 저를 follow 하게 된 이유를 물어보았습니다. 8분은 왜 follow 하게 되었는지 정확히 기억하지 못하셨습니다. 소개글이나 프로필 사진이 특이해서 follow 하신 분이 6분, IT 또는 테스팅 분야에 관심이 있으시거나 같은 분야라서 follow 하신 분이 3분, RT 트윗을 통해 follow 하신 분이 2분, 그밖에 게임이나 검색, 동호회, 메일링 리스트 등을 통해 나를 follow 하셨습니다.

2가지 사항을 놓고 보았을 때 대체로 많은 분들이 나를 follow 하실 때 특정한 동기가 없는 듯 했습니다. 그리고 그러다 보니 저에 대해 잘 파악하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머.. 물론 저의 잘못도 있었지만..

그래서 결심하게 되었습니다. 블로그를 다시 시작해보자.. 트윗 만으로는 나의 생각이나 내가 하고 싶은 말은 전달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으니 우선 내 생각이나 내가 하고 싶은 말은 잘 전달하고 그들의 대답을 귀기울여 들어보기로 결힘했습니다. 이것이 이 블로그를 다시 시작한 계기가 되었습니다.

전 글을 잘 쓰지 못합니다. 생각도 짧습니다. 하지만 이 블로그와 트위터를 통해 좀 더 많은 사람과 대화를 하고 싶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나의 이 외침에 대답을 해주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마지막으로 저에 대한 간략한 소개를 하고 끝을 맺을까 합니다.

이름: 비밀이라기에는 이미 아시는 분은 다 아시더군요. 하지만 그냥 뮤리안으로 불러주셨으면 좋겠습니다.

나이: 40대 초반.. (아직 젊어요!!)

결혼 했습니다. 그리고 세 아이의 아버지입니다.

술, 담배, 커피 전혀 먹지도 피지도 않습니다. 각종 인스턴스 식품도 별로 안좋아합니다. 좋아하는 것은 아내가 해주는 음식..

그리고 일상에서 항상 우리옷을 입고 다닙니다. 회사에서만 캐쥬얼한 옷을 입습니다.

하는 일은 테스팅에 관련된 모든 일은 다합니다. 프로세스 개선 및 구축, 팀 구축, 매니지먼트, 수행 등등등..

저는 확인한 바로는 국내 유일이자 국내 최초의 테스팅 에반젤리스트입니다. 명함에도 제 직함은 테스팅 에반젤리스트로 적혀 있습니다.

제가 어디서 일하는 지는 당분간 비밀로 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 테스팅에 대해 알고 계시는 분들은 제가 다니는 회사에 대해 다 알고 계십니다. 하지만 제가 아직 제가 다니는 회사의 다른 분들보다 경력이나 지식이 부족해서 괜히 회사에 누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어느 회사의 누구라기 보다는 테스팅에 대한 열정이 가득한 누구로 기억되고 싶습니다.

그리고 저를 불러주시는 곳이 있으시면 어디든 달려가서 테스팅에 대해 얘기하고 싶습니다.

무료로 코칭을 해드릴 수도 있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지금까지 뮤리안의 시작하는 글이었습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스위치봇 & 스위치봇 허브 미니 간단 사용기

제 블로그에 예전부터 오셨던 분들은 제가 사브작 사브작 홈 오토메이션을 어설프게 해온 것을 아실겁니다. 작년부터 너무 하고 싶었던 도어락 자동화에 도전해봤습니다. 우리 나라에 자체 서비스로 앱을 통해 도어락을 제어하는 제품은 꽤 있습니다. 게이트맨도 있고, 키위도 있고, 삼성도 있죠.. 그런데.. 전 그것보다 구글 어시스턴트를 지원하는 도어락이 필요했는데... 그런건 안만들더라구요.. 꼭 필요한건 아니지만 웬지 해보고 싶은데... 언제 제품이 출시될지도 몰라서.. 가능한 방법을 찾아보다가.. 스위치봇이라는 제품으로 도어락을 버튼을 꾹 누르는 방법을 찾아서 스위치봇이 직구가 아닌 국내에 출시되었길래 낼름 구매해서 도전해봤습니다. 스위치봇 제품에 대한 내용이나 구매는  https://www.wakers.shop/  에서 하시면 됩니다. 저는 스위치봇에 스위치봇을 구글 홈에 연결시키기 위해 스위치봇 허브 미니까지 구매했습니다. 스위치봇 허브 미니가 없으면 스위치봇을 외부에서 제어하거나 구글 홈에 연결할 수 없습니다. 그리고 제가 스위치봇 허브 미니를 구매한 이유 중 다른 하나는 이 제품이 RF 리모컨 기능이 지원됩니다. 집에 있는 모니터를 제어할 필요가 있어서 이참 저참으로 같이 구매했습니다. 제품 등록은 어렵지 않습니다. 여기서는 스위치봇 허브 미니에 RF 리모컨을 등록해서 구글 어시스턴트로 제어하는 방법을 소개해드릴까 합니다. 제가 스위치봇 허브 미니로 모니터를 제어하고 싶었던 부분은 컴퓨터에서 크롬캐스트로 외부 입력을 때에 따라 바꿔야 하는데.. 그때마다 리모컨을 찾는게 너무 불편해서였습니다.  어차피 리모컨은 외부 입력 바꿀 때 빼고는 쓸 일도 없는지라.. 매번 어디로 사라지면 정말 불편해서 이걸 자동화 하고 싶었습니다. 그런데, 처음에 스위치봇 허브 미니를 등록하고 여기에 리모컨을 등록하니.. 구글 홈에 등록된 리모컨이 자동으로 등록이 됩니다. 그런데, 등록된걸 확인해보니 전원 On/Off만 제어되는 것이고, 나머지 버튼은 구글 홈...

코디에서 클라우드 저장소 연동해서 비디오 라이브러리 생성하기

저희 집에는 TV가 없습니다. 모니터만 있지요.. 몇년 전까지만 해도 IPTV를 이용했지만.. 자주 보는 것도 아니고.. 비용도 비용인지라.. 그냥 TV를 없앴습니다. 사실은 기레기 시키들 보기 싫어서 KBS 수신료 내는거 싫어서 그냥 TV를 없애버렸습니다. 대신에 스마트폰에서 OTT 서비스 실행해서 크롬캐스트로 전송해서 보고 싶은 프로그램만 봤었는데 슬슬 불편해서 고민고민하다 그냥 질렀습니다. TV 보는 것도 불편했지만 다른 이유는 PC에 저장된 동영상을 보고 싶을 때 매번 PC를 켜야하는 것도 불편하더라고요. 저희 집 컴이 이제 10년이 넘어서.. 부팅 부터가.. ㅠㅠ 그래서 오피스 365 월결제를 끊으면 원드라이브 1테라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원드라이브에 제가 가지고 있는 영화 200여편을 몽땅 올렸는데.. 원드라이브에 있는 영화를 스마트폰에서 실행해서 크롬캐스트로 전송하는 것도 불편하더군요. 어쨌든 이런 저런 이유로 너무 불편해서.. 지금은 사라진 TELEBEE 의 미박스 3에 글로벌 롬을 올려서 싸게 판다는 정보를 입수하고 그냥 질렀습니다. 싸다고 하는데 싼지는 모르겠지만.. 크롬캐스트 울트라보다는 싸더라구요. 넷플릭스를 이용하지는 않지만 조건만 맞으면 4K도 재생되고 국내 AS도 된다고 해서 질렀습니다. 관련 정보는 네이버 카페 [Eddy Lab] UHD 미니 PC 포럼 에서 보실 수 있고, 지금도 구매가 가능한지는 모르겠지만 MiBox3-EddyLab 에디션 안드로이드 셋탑 에서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안드로이드 셋탑은 질렀는데.. 국내 IPTV처럼 친절하게 설정되어 있는 셋탑이 아닌지라 처음 켜보고 뭐부터 해야할지 참 막막하더라구요. 우선은 중요한건 TV를 편하게 보고 싶은것과 원드라이브의 영화를 편하게 감상하는 것이기 때문에 여기에 중점을 두고 네이버 카페와 구글을 하염없이 떠돌아다녀보니.. 코디라고 하는 앱이 가장 정보가 많다는 것을 알게되었습니다. 그래서 우선 무작정 코디를 설치했습니다. 코디...

프로젝트의 3요소 - Project Management

프로젝트는 예산, 일정, 품질 3가지 요소로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물론 위 3가지 요소 외에도 개발 범위, 팀워크, 자원 조달 등 여러가지 요소들도 고려해 볼 수 있지만, 가장 중요한 요소를 꼽는다면 예산, 일정, 품질일 것이다. 위에서 말한 여러가지 요소들은 프로젝트를 계획하여 완료하는 순간까지 복합적으로 작용해서 프로젝트의 성과를 제한하게 된다. 위의 요소들을 잘 통제한다면 성공적인 프로젝트가 되는 것이고 그렇지 못한다면 실패하거나 사라지게 될 것이다. 프로젝트 관리란 그런 면에서 제한된 자원을 가지고 목적한 바를 제한된 기간내에 최소의 비용으로 완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을 도식화 한다면 아래와 같은 그림으로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위의 그림에 보는 것처럼 일정과 품질, 예산은 우리의 프로젝트가 목적하는 바를 달성하도록 하기 위해 상호 연관되어 작용하게 된다. 우리가 접하게 되는 많은 방법론들의 가정에는 위의 요소들을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에 대한 기본적인 가정들이 설정되어 있다. 조직에서 어떤 특정한 방법론을 도입한다는 것은 그런 가정에 동의하는 것이고 그러한 철학을 받아들인다는 것이기 때문에, 방법론을 채택하기 전에 조직의 근본 문제와 문화에 대해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그리고 위의 요소들 외에 고려해 볼 사항은 위의 요소들은 변동성과 불확실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비용과 예산, 목적은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가변할 가능성이 매우 큰 요소들이다. 대부분의 방법론은 이러한 변동성에 대한 안전장치들을 가정해서 세워져 있다. 변동성의 측면에서 위의 요소들을 다시 살펴본다면 아래와 같이 가정할 수 있다. 위의 그림을 일부 해석해 본다면 일정이 늘어난다면 비용은 늘어나게 된다. 범위가 변경되어도 비용은 늘어나게 된다. 범위와 일정은 상호 의존적이 된다. 만약 위 3가지 요소의 변동성을 통제하지 못하게 된다면 프로젝트는...